=======================
영화 ‘신세계’와 드라마 ‘오징어 게임’
=======================
‘신세계’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대기업의 형태를 갖춘 범죄 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조직의 핵심 간부로 잠입한 경찰관이 종국엔 자신을 파견한 경찰을 버리고 범죄 조직의 보스가 되는 줄거리의 영화였죠.
영화의 제목이 ‘신세계’인 이유는 경찰이 펼친 작전명이 ‘신세계’였기도 하지만 감독이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 세상의 모습 또한 ‘신세계’였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주인공 이자성(이정재 분)은 한편으론 조직을 위해 헌신하고 다른 한편으론 경찰을 위해 헌신하며 심한 내적 갈등을 겪습니다.
그런데 그 내적 갈등의 원인이 남다릅니다.
이자성을 조직 내로 잠입시킨 강과장(최민식 분)은 이자성에게 경찰로서의 자긍심이나 범죄 조직 소탕이란 목표 의식을 고취시키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이 파견한 이자성을 믿지 못해 임신한 자성의 아내를 겁박하여 자성을 감시케 하고, 이자성에겐 경찰을 배신하면 범죄 조직에 정체를 폭로하겠다고 공갈을 치며 경찰에 충성을 강요합니다.
강과장에게 자성은 경찰 동료도 보호해야 할 대상도 아니었고 자신이 세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사용하는 ‘사냥개’와 같은 존재였죠.
범죄 조직 소탕이라는 선(善)을 행하는 경찰이 목표의 달성 방법은 악(惡)을 택한 것입니다.
하지만 자성이 몸담았던 범죄 조직 ‘골드문’은 달랐습니다. 조직의 2인자인 정청(황정민 분)은 자성의 정체를 알게 되었음에도 그를 끌어안습니다.
심지어는 목숨이 끊어지는 그 순간까지도 조직보다 동생의 안전을 걱정하며 그에게 현명한 판단을 하라고 조언합니다.
악(惡)을 행하는 조직폭력배가 죽는 순간까지 의형제를 걱정하는 선(善)을 행한 것이죠.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은 일밖에 모르는 차가운 강과장을 보며 불편함을 느끼고, 따뜻한 인간미가 흐르는 정청을 보며 미소를 짓습니다.
그리고 경찰인 강과장의 죽음에 안도의 한숨을 쉬며 조직폭력배인 정청의 죽음을 보며 안타까워합니다.
영화에서 자성은 거의 웃지 않습니다.
그의 갈등은 한시도 쉬지 않고 이어지죠. 이런 모습은 결국 자성이 두 조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함을 암시합니다.
관객은 내심 자성이 경찰을 버리고 골드문을 선택하길 바라고 결국 그런 결정을 내린 자성을 응원합니다.
그렇게 관객의 선과 악의 경계는 무너집니다.
감독이 제목으로 표현한 신세계는 결국 그런 세계였던 것이죠.
--------------------------------------
며칠 전 딸이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봤는지 물었습니다.
최근 유명한 드라마라 궁금했지만, 시간이 없어 유튜브에서 간추린 영상을 몇 편 봤습니다.
제일 먼저 눈에 띈 것은 주인공 이정재였습니다.
그는 8년 전 신세계에서 보여 준 선과 악의 갈등을 한 번 더 표현했죠.
관객은 주인공을 보며 궁지에 몰렸을 땐 누구나 악한 본성이 드러난다는 것과 그 악한 본성이 상황에 따라 사회에서 용인되며 무엇보다 자신에게 합리화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 그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게 됩니다. 그렇게 드라마 속 455명의 죽음은 한 명의 생존자와 그가 얻게 된 게임머니로 인해 합리화되며 관객의 뇌리에서 너무 쉽게 사라지죠.
드라마는 경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서는 가족과 친구를 버리는 것도 가능하며, 동료가 죽어도 자신이 직접 총을 쏘거나 칼로 찌르지 않았다면 내 잘못이 아니라는 생각을 관객에게 유도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돈이 많으면 사람을 죽이는 것도 게임이 될 수 있고 그렇게 해도 벌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과 동료가 죽을수록 자신이 차지할 수 있는 재화는 많아지므로 때로는 살인도 사회적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줍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 드라마는..
이런 일들이 허용되는 이유가 우리가 생계에 허덕이며 각박한 세상에 내몰렸기 때문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세상은 누군가의 실정(失政)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선택하고 만든 것이며,
우리가 이런 사회를 만든 이유도 부족한 재화를 경쟁적으로 쟁취하려 노력했기 때문이 아니라 원래 타고난 본성이 악(惡)하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이들이 구슬치기와 뽑기처럼 유년의 놀이를 살생의 매개체로 사용한 것은 우리가 나이가 들어 경쟁에 내몰리기 전부터 이미 악(惡)했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살육이 자행되는 예쁜 세트 그리고 총으로 가차 없이 탈락자의 머리를 날리는 귀여운 캐릭터의 진행 요원들은 다른 관객들에게 ‘너희도 겉과 속이 다르다’며 자백을 강요하죠.
그리고 그런 요구를 관객은 받아들입니다.
‘성악설(性惡說)’
우리가 우리의 본성을 악하다고 인정하기 시작하면 그다음에 기다리는 것은 법과 통제입니다. 스스로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게 되니까요.
왜 하필 지금 넷플릭스에서 이러한 드라마를 방영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많은 분이 시즌 2를 기다리며 주인공 이정재가 멋지게 돌아와 악의 무리를 소탕하고 우리가 잠시나마 인정했던 부끄러운 본성을 선한 방향으로 되돌려 주리라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 드라마의 2편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들이 드라마를 통해 원했던 목표는 모두 이루었으니까요.
------------------------------------------
P.S. 진행 요원이 마스크를 쓴 이유는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행할 수 없는 잔인한 살인도 집단의 익명성 뒤에 숨으면 얼마든지 자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드라마를 본 관객은 얼굴 없는 진행요원을 욕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마스크가 이렇게 무서운 물건입니다.
<김상수님 페북 펌>
https://www.facebook.com/100001732884601/posts/4430811756986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