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M152 根 修行 經
Majjhima Nikāya uparipaṇṇāsapāḷi 5. saḷāyatanavaggo 10. indriyabhāvanāsuttaṃ
중간 길이 니까야, 후반 오십 빠알리, 5. 여섯 들어감* 품, 10. 기능 수행 경
* āyatana(ā-√yat); (心이) 이리로 확장(연장)하여 들어감, 들어간 자리(入-處)
* saḷāyatana; 6入은 舊業(의 과보)이며 苦(聖諦)라고 경에 나타난다.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gajaṅgalāyaṃ {kajaṅgalāyaṃ (sī. pī.), kajjaṅgalāyaṃ (syā. kaṃ.)} viharati
suveḷuvane {veḷuvane (syā. kaṃ.), mukheluvane (sī. pī.)}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가장가라(까장갈라)의 수벨루바나(무켈루 숲)에 머무셨다.
atha kho uttaro māṇavo pārāsiviyantevāsī {pārāsariyantevāsī (sī. pī.), pārāsiriyantevāsī (syā. kaṃ.)}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ā saddhiṃ sammodi.
그때 빠라사이야의 제자인 웃따라 바라문 학도가 세존을 뵈러 갔다.*
뵙고서는 세존과 함께 환담을 나누었다.
* yena ~ tena upasaṅkamati : '~에게 접근하다.' 관용적 표현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aṃ kho uttaraṃ māṇavaṃ pārāsiviyantevāsiṃ bhagavā etadavoca —
환담할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를 교환하고서 한 쪽에 앉았다.
한 쪽에 앉은 빠라사이야의 제자인 웃따라 바라문 학도에게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deseti, uttara, pārāsiviyo brāhmaṇo sāvakānaṃ indriyabhāvanan”ti?
“deseti, bho gotama, pārāsiviyo brāhmaṇo sāvakānaṃ indriyabhāvanan”ti.
웃따라여, 빠라사이야 바라문은 제자들에게 감관 기능 수행*을 가르치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빠라사이야 바라문은 제자들에게 根修行을 가르칩니다.
* indriyabhāvana : 본 경에서 '감관 기능 수행'이란
6入(處)의 根 수행을 말하고 이하 根修行으로 표기한다.
* ti : '~라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질문하셨다.' '~라고 대답했다.'라는 번역은 생략한다.
“yathā kathaṃ pana, uttara, deseti pārāsiviyo brāhmaṇo sāvakānaṃ indriyabhāvanan”ti?
“idha, bho gotama, cakkhunā rūpaṃ na passati, sotena saddaṃ na suṇāti —
evaṃ kho, bho gotama, deseti pārāsiviyo brāhmaṇo sāvakānaṃ indriyabhāvanan”ti.
웃따라여, 그러면 빠라사이야 바라문은 제자들에게 어떻게* 기능 수행을 가르치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여기(*그는) '눈으로 형색을 보지 않는다, 귀로 소리를 듣지 않는다.'(*라는)
고따마 존자시여, 이와 같이 빠라사이야 바라문은 제자들에게 감각기능을 닦는 것을 가르칩니다.
* kathaṃ : √ka'어떻게?'라는 의문문. 앞의 여성명사 kathaṃ는 √kath(kathā); 이야기, 대화
“evaṃ sante kho, uttara, andho bhāvitindriyo bhavissati, badhiro bhāvitindriyo bhavissati;
yathā pārāsiviyassa brāhmaṇassa vacanaṃ.
andho hi, uttara, cakkhunā rūpaṃ na passati, badhiro sotena saddaṃ na suṇātī”ti.
웃따라여, 만약 그렇다면* 장님은 根修行이 된 자가 되고, 벙어리도 根修行이 된 자가 된다.
빠라사이야 바라문의 설명대로 라면.
웃따라여, 장님은 눈으로 형색을 보지 않는다, 벙어리는 귀로 소리를 듣지 않는다.
* sante ~ bhavissati : ~이라면(절대처격; √as(atthi) 현재분사) ~일 것이다.
evaṃ vutte, uttaro māṇavo pārāsiviyantevāsī tuṇhībhūto maṅkubhūto pattakkhandho
adhomukho pajjhāyanto appaṭibhāno nisīdi.
이와 같은 언급에 빠라사이야의 제자인 웃따라 바라문 학도는
침묵하게 되고, 우울하게 되고, 어깨를 늘어뜨리고, 고개를 숙이고, 완전히 소진하여,
대꾸도 못하고* 앉아 있었다.
* 침묵 등은 : 정형적 표현.
pajjhāyanto; pa+√dhyai(jhāyati)의 현재분사, 남성 단수 주격이다.
jhāyati는 禪(to show)와 燃燒(to burn,to be consumed,to waste away,to dry up)의
同音異語인데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보인다.
여러 접두사가 붙어 있는 jhāyati.
nijjhāyati, abhijjhāyati, sajjhāyati, vijjhāyati, apajjhāyati, pajjhāyati, ujjhāyati, upanijjhāyati.
atha kho bhagavā uttaraṃ māṇavaṃ pārāsiviyantevāsiṃ
tuṇhībhūtaṃ maṅkubhūtaṃ pattakkhandhaṃ adhomukhaṃ pajjhāyantaṃ appaṭibhānaṃ viditvā
āyasmantaṃ ānandaṃ āmantesi —
그러자 세존께서 빠라사이야의 제자인 웃따라 바라문 학도가
침묵하게 되고, 우울하게 되고, 어깨를 늘어뜨리고, 고개를 숙이고, 완전히 소진하여,
대꾸도 못하고 있는 것을 아시고서, 아난다 존자에게 말씀하셨다.
“aññathā kho, ānanda, deseti pārāsiviyo brāhmaṇo sāvakānaṃ indriyabhāvanaṃ,
aññathā ca pan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hotī”ti.
아난다여, 빠라사이야 바라문이 제자들에게 根修行과 다르게
아난다여, 성스러운 율에서의 위없는 根修行은 다르다.
“etassa, bhagavā, kālo; etassa, sugata, kālo
yaṃ bhagavā ariyass vinaye anuttaraṃ indriyabhāvanaṃ deseyya.
bhagavato sutvā bhikkhū dhāressantī”ti.
세존이시여, 지금이 (적절한) 때입니다. 선서시여, (적절한) 때입니다.
세존께서 성스러운 율에서의 위없는 根修行을 설하실.
세존으로부터 듣고서 비구들은 수지할 것입니다.
“tenahānanda, suṇā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āyasmā ānando bhagavato paccassosi. bhagavā etadavoca —
아난다여, 그러면 들어라, 잘 주의를 기울여라, 말할 것이다.
'예, 세존이시여.'라고 아난다 존자는 세존에게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였다.
“kathañc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hoti?
아난다여, 어떤 것이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인가?
idhānanda,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아난다여, 여기 비구에게 눈으로 형색을 보고서, 마노에 드는 것이 생겨나고,
마노에 들지 않은 것이 생겨나고, 마노에 들거나 들지 않은 것이 생겨난다.*
* manāpa : 心意識의 意(mana) + 동사의 사역형(āpa-ya)처럼 쓰인 명사 접미사(āpa)
manāpāmanāpa : 대상에 대해서 마음(意)에 드는 부분도 있고 들지 않는 부분도 있는 것을 말한다.
정확한 어감을 알지 못해서 이후로는 加意, 非意, 加非意로 번역한다.
다만 (6)根-(6)境을 (見聞嗅嘗接)識하고서 加意, 非意, 加非意가 공통적으로 나오고
[imesaṃ kho, brāhmaṇa, pañcannaṃ indriyānaṃ nānāvisayānaṃ nānāgocarānaṃ
na aññamaññassa gocaravisayaṃ paccanubhontānaṃ mano paṭisaraṇaṃ,
manova nesaṃ gocaravisayaṃ paccanubhotī”ti.
“manassa kho, brāhmaṇa, sati paṭisaraṇan”ti. “satiyā kho, brāhmaṇa, vimutti paṭisaraṇan”ti.
(前)5根들, 각각 다른 대상들, 다른 활동영역들이어서 각각 다른 영역과 대상을 경험하지만
이것들의 의지처는 마노(意, mana)이고, 마노가 이들의 영역과 대상을 경험한다.
마노의 의지처는 기억(念, sati)이다. …]라는 말씀에 의하면
6境(색성향미촉법)을 경험하는 마노(意, mana)에 의해서
이들 대상에 대한 加意, 非意, 加非意가 생겨난다고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加意, 非意, 加非意는 기억(念, sati)이 작동하지 않아서
(… dhammaṃ ñatvā sati muṭṭhā) 생겨나고,
(아래의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라는 앎에 의해
기억이) 작동하게 된다(… dhammaṃ ñatvā patissato)면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그는 이와 같이 확연히 안다.
'여기서 나에게 加意가 생겨났고, 非意가 생겨났고, 加非意가 생겨났다.*
그것은 형성된 것이고, 거칠고, 반연하여 생겨난 것이다.*
이것이 고요하고 이것이 수승하다. 그것은 바로 평온이다.'
* uppannaṃ : 생겨난(과거분사; ud-√pad(uppajjati); 일어나다, 생겨나다)
* paṭiccasamuppanna : (加意, 非意, 加非意는) 緣已生
; paṭicca(절대분사) + samuppanna(sam-ud-√pad)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그에게 일어난 加意, 非意, 加非意가 소멸하고, 평온이 확립한다.
seyyathāpi, ānanda, cakkhumā puriso ummīletvā vā nimīleyya, nimīletvā vā ummīleyya;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아난다여, 마치(/예를 들어) 눈 있는 사람이 (눈을) 뜨고는 감고, 감고는 뜨듯이
아난다여, 이와 같이 누구든지 그에게 이와 같이 빠르게, 이와 같이 신속하게, 이와 같이 쉽게
그에게 일어난 加意, 非意, 加非意가 소멸하고, 평온이 확립한다.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cakkhuviññeyyesu rūpesu.
아난다여, 이를 眼識되어질 형색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no sotena saddaṃ sutvā
아난다여, 이어서 비구에게 귀로 소리를 듣고서*
* cakkhunā rūpaṃ disvā '눈으로 형색을 보고서'에 이어서
sotena saddaṃ sutvā '귀로 소리를 듣고서',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jivhāya rasaṃ sāyitvā',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manasā dhammaṃ viññāya'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내용은 동일하고 'seyyathā 마치(/예를 들어)' 부분만 아래와 같이 달리 나타난다.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seyyathāpi, ānanda, balavā puriso appakasireneva
accharaṃ {accharikaṃ (syā. kaṃ. pī. ka.)} pahareyya;
아난다여, 마치 힘센 사람이 쉽게 손가락 튕김을 칠 수 있는 것과 같이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sotaviññeyyesu saddesu.
…
아난다여, 이를 耳識되어질 소리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no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아난다여, 이어서 비구에게 코로 냄새를 맡고서 …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seyyathāpi, ānanda, īsakaṃpoṇe
{īsakapoṇe (sī. syā. kaṃ. pī.), īsakaphaṇe (sī. aṭṭha.),
“majjhe uccaṃ hutvā””ti ṭīkāya saṃsanditabbā}
padumapalāse {paduminipatte (sī. syā. kaṃ. pī.)} udakaphusitāni pavattanti, na saṇṭhanti;
아난다여, 마치 약간 기운 연잎에 물방울들이 닿으면 머물지 않고 흘러 내리 듯이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ghānaviññeyyesu gandhesu.
…
아난다여, 이를 鼻識되어질 냄새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no jivhāya rasaṃ sāyitvā
아난다여, 여기 비구에게 혀로 맛을 맛보고서 …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seyyathāpi, ānanda, balavā puriso jivhagge kheḷapiṇḍaṃ saṃyūhitvā
appakasirena vameyya {sandhameyya (ka.)};
아난다여, 마치 힘 센 사람이 혀 끝에 침 덩어리를 모아서 쉽게 뱉듯이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jivhāviññeyyesu rasesu.
…
아난다여, 이를 舌識되어질 맛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no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아난다여, 이어서 비구에게 몸으로 감촉을 접하고서 …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seyyathāpi, ānanda, balavā puriso
samiñjitaṃ vā bāhaṃ pasāreyya, pasāritaṃ vā bāhaṃ samiñjeyya;
아난다여, 마치 힘 센 사람이 접은 팔을 펴고, 편 팔을 굽히듯이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kāyaviññeyyesu phoṭṭhabbesu.
…
아난다여, 이를 身識되어질 감촉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no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아난다여, 이어서 비구에게 意로 法을 識하고서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evaṃ pajānāti —
‘uppannaṃ kho me id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tañca kho saṅkhataṃ oḷārikaṃ paṭiccasamuppannaṃ.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 upekkhā’ti.
tassa taṃ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加意가 생겨나고, 非意가 생겨나고, 加非意가 생겨난다.
그는 이와 같이 확연히 안다.
'여기서 나에게 加意가 생겨났고, 非意가 생겨났고, 加非意가 생겨났다.
그것은 형성된 것이고, 거칠고, 반연하여 생겨난 것이다.*
이것이 고요하고 이것이 수승하다. 그것은 바로 평온이다.'
seyyathāpi, ānanda, balavā puriso divasaṃsantatte {divasasantette (sī.)} ayokaṭāhe
dve vā tīṇi vā udakaphusitāni nipāteyya.
dandho, ānanda, udakaphusitānaṃ nipāto,
atha kho naṃ khippameva parikkhayaṃ pariyādānaṃ gaccheyya;
아난다여, 마치 힘 센 사람이 온종일 달구어진 철 냄비에 두 세 방울의 물을 흩으면
아난다여,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이 (오히려) 늦고, 증발하고 사라지는 것은 빠른 것 같이
evameva kho, ānanda, yassa kassaci evaṃsīghaṃ evaṃtuvaṭaṃ evaṃappakasirena
uppannaṃ manāpaṃ uppannaṃ amanāpaṃ uppannaṃ manāpāmanāpaṃ nirujjhati,
upekkhā saṇṭhāti —
아난다여, 이와 같이 누구든지 그에게 이와 같이 빠르게, 이와 같이 신속하게, 이와 같이 쉽게
그에게 일어난 加意, 非意, 加非意가 소멸하고, 평온이 확립한다.
ayaṃ vuccat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manoviññeyyesu dhammesu.
아난다여, 이를 意識되어질 法들에 대한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라 부른다.
evaṃ kho, ānanda,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hoti.
아난다여, 이(상)이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이다.
“kathañcānanda, sekho hoti pāṭipado?
아난다여, 有學의 도닦음은 어떠한가?
idhānanda,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tena uppannena manāpena uppannena amanāpena uppannena manāpāmanāpena
aṭṭīyati harāyati jigucchati.
sotena saddaṃ sutvā ... pe ...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jivhāya rasaṃ sāyitvā...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tena uppannena manāpena uppannena amanāpena uppannena manāpāmanāpena
aṭṭīyati harāyati jigucchati.
아난다여, 여기 비구에게 눈으로 형색을 보고서, …귀로 소리를 듣고서, … 코로 냄새를 맡고서, …
혀로 맛을 맛보고서, … 몸으로 감촉을 접하고서, … 意로 法을 識하고서
加意가 일어나고, 非意가 일어나고, 加非意가 일어난다.
그는 그러한 일어난 加意, 일어난 非意, 일어난 加非意에 대해
부끄러워하고 수치스러워하고 혐오한다.
evaṃ kho, ānanda, sekho hoti pāṭipado.
아난다여, 이(상)이 有學의 도닦음이다.
“kathañcānanda, ariyo hoti bhāvitindriyo?
아난다여, 성스러운 修行된 根은 어떠한가?*
* 서두에서는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성스러운 율에서 위없는 根修行
idhānanda,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아난다여, 여기 비구에게 눈으로 형색을 보고서
加意가 일어나고, 非意가 일어나고, 加非意가 일어난다.
so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paṭikkūle (sabbatth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그가 만약 '혐오스러운 것에 대해서 혐오스럽지 않는 인상을 지닌 자가* 살리라.'라고 원하면
거기서 혐오스럽지 않은 인상을 지닌 자가 머문다.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만약 '혐오스럽지 않은 것에 대해서 혐오스러운 인상을 지닌 자가 살리라.'라고 원하면
거기서 혐오스러운 인상을 지닌 자가 머문다.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만약 '혐오스러운 것과 혐오스럽지 않은 것에 대해서 혐오스럽지 않은 인상을 지닌 자가 살리라.'
라고 원하면 거기서 혐오스럽지 않은 인상을 지닌 자가 머문다.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만약 '혐오스럽지 않은 것과 혐오스러운 것에 대해서 혐오스러운 인상을 지닌 자가 살리라.'
라고 원하면 거기서 혐오스러운 인상을 지닌 자가 머문다.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만약 '혐오스러운 것과 혐오스럽지 않은 것을 제쳐두고서
평온한 자, 기억한 자, 즉각 알아차린 자가 살리라.'라고 원하면
거기서 평온한 자, 기억한 자, 즉각 알아차린 자가가 머문다.
* saññī : 인상을 지닌 자: 나는 (인)想하면서
* sato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본 글에서 나타난다. sampajāno는 卽時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evaṃ kho, ānanda, ariyo hoti bhāvitindriyo.
아난다여, 이(상)이 有學의 도닦음이다.
“iti kho, ānanda, desitā mayā ariyassa vinaye anuttarā indriyabhāvanā,
desito sekho pāṭipado, desito ariyo bhāvitindriyo.
아난다여, 이와 같이 나에의해 성스러운 위없는 根修行이 설해졌고,
有學의 도닦음이 설해졌고, 성스러운 修行된 根이 설해졌다.
yaṃ kho, ānanda,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아난다여, 스승의 해야 할 것이 제자들에게 이익 추구에 의해 연민에 의해 연민을 취하여
무엇이든 그것은 나에 의해 했다.
etāni, ānanda,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ānanda,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아난다여, 여기 나무 밑들이, 여기 빈집들이 (있다).
아난다여, (너희들은) 드러내라. 방일하지 말라. 나중에 후회하지 말라.*
이것이 우리들의 가르침이다.
* jhāyatha : 2인칭 복수 명령형; 참선하라(禪) - 드러내라(示/單), 드러내서 알아라, 알고서 보아라.
pamādattha와 ahuvattha의 -ttha는 단순과거(impf)의 2인칭 복수 남말(P)
(혹은 3인칭 단수 제말(A)의 어미)일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명령형의 다른 사용례는 알지 못한다.
참고로 -tha는 2인칭 복수 현재형 혹은 명령형 어미이다.
[pucchatha, bhikkhave,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micchādiṭṭhiṃ, bhikkhave, pajahatha, sammādiṭṭhiṃ bhāvetha; tattha ca mā pamādattha.]
idamavoca bhagavā.
attamano āyasmā ānand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아난다 존자는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 attamano : 흡족한 마음
indriyabhāvanāsuttaṃ niṭṭhitaṃ dasamaṃ. 10번째(M152) 根 修行 經이 끝났다.
첫댓글
혹시 -ttha 어미를 가지는 2인칭 복수 명령형의 다른 예문을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 유학의 도닦음은 오기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