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음식문화와 특징과 종류,
재료의 다양함 (열대 과일과 해산물을 재료로해서 마든 독특한 요리들)
필리핀과 같은 열대 국가에서는 거리 곳곳에서 파인애플, 바나나, 파파야, 망고 등 신선한 열대 과일을쉽게 접할 수 있다.
과일은 후식으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무더위 속에서 갈증을 해소하는 역할도 한다.
필리핀에는 과일 종류도 많지만, 익히지 않고 먹는 우리와는 달리 삶거나 튀기는 등 그 조리 방법도 다양하다. 튀긴 바나나와 삶은 바나나는 한번쯤 꼭 먹어볼 만하다.
쌀밥과 반찬 두 가지로 구성
필리핀에서 쌀은 주식인 동시에 국수나 과자등 여러 가지 형태로도 이용된다.
쌀 농사를 제대로 할수 없는 지역은 옥수수를 하얗게 정맥하여 쌀알 정도의 크기로 부순 것을 쌀과 마찬가지고 물을 부어밥을 짓는다.
육류를 이용한 음식이 주를 이루고, 생선요리와 닭 요리를 많이 먹는다.
고기는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많이 먹으며, 현재에는 금지되었지만 개고기도 먹었었다.필리핀은 해안선이 길어서 생선이많다.생선을 굽거나 조리거나 튀겨서 먹기도 한지만 항구에가까운 사람은 신선한 생선을 먹지만, 대부분은 소금에 절여서 말린 것을 먹는다.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동남아시아 요리법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필리핀은 인도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향신료를 음식에 넣는 것이 박달하지 못했다. 또 ,필리핀은 고추를 많이 사용한다. 새-끼 손가락 만한 크기의 고추를 식초에 절인 것을 시장에서 팔기도 한다.
파티스( patis)라는 조미료를 사용한다
파티스는 젓갈류로 여러 가지 생선을 으깬것이나 작은 새우를 고루 섞어서 큰 통에 담아 저장하는데 생선과 소금의 비율은1:3정도이다.
사우사완(sawsawan)이라는 양념장을 사용한다.
사우사왕은 중국 간장인 도요에 니파야자의 수액을 발효시켜 만든 삭초를 넣고 으깬 마늘을 섞은양념장이다.
외국 음식의 영향
스페인의 영향
필리핀은 16세기부터 19세기말 까지 스페인의 식민지였다. 이때 카톨릭의 포교을 배경으로한 동화정책이 진행되면서 요리 기술과 풍습에도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스페인 요리가 그대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다.
필리핀에서 얻기 쉬운 재료를 써서 이 사람들의 입맛에 알맞게 병형되어서 받아들여졌다.
중국의 영향
오래전부터 중국 상인들의 방문과, 스페인 통치시대의 화교들의 이민으로 중국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기시작했다. (국수류, 춘권- 일상에서 자주 먹는 중국풍 요리)
미국의 영향
필리핀은 1898년부터 세계 제2차대전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통치를 받았다. 미국요리는 마요네즈를 쓰는감자와 닭고기 샐러드와 콩 요리들을 보급시켰다.
독립 후에 미국의 유행이 바로바로 전해져서 셀프서비스의 패스트 푸드 점이나 햄버거점 , 피자점, 들이 번성하고 있다.
필리핀 대표 음식들
시니강( sinigang)
필리핀의 대표적인 생선스프로서 쌀의 뜬물에다 새우, 고급 어종으로 필리핀에서 많이 잡히는 라뿌라뿌(Lapulapu)라는 생선과 조개등과 채소를 많이 넣어서 끊인 신맛이 나는 스프이다.
생선을 대신하여 돼지고기나 닭고기를 넣고 만드는 경우도 있다.
바롯(Balut)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중에 하나로 수정은 되었지만 부화되지 않은 오리알을 17일간인큐베이터에 넣어 두었다가 삶아 먹는 요리이다. 길거리나 시장의 노점 등에서 살 수 있다.
필리핀인들은 이 바루트 요리가 정력과 생식력을 높이는 최음효과를 지녔다고 믿는다.
비빙카(Bibingka)
코코넛 우유로 화이트 치즈를 친 맛이 달콤한 필리핀식 떡이다.
크리스피 파타(Crispy Pata)
간장, 마늘, 카라만시(Kalamansi) 제 놓은 족발을 튀긴 요리인데 필리핀 사람들이 무척 좋아한다.
아도보(Adobo)
필리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중에 하나인 아도보는 닭고기나 돼지고기, 또는 오징어를 식초에 담갔다가 마늘, 후추, 간장, 설탕에 재운후 오랫동안 끊인 스튜요리다.
아사도(Asado)
간장에 재운 후 튀긴 다음 마리네이드와 썬 감자, 토마토, 양파, 쥬스와 같이 제공되는요리.
아소(Aso)
중북부 루손에서 인기 있는 개고기 요리로 개고기에 자극성 많은 양념을 넣어 요리를 했다.
마닐라에서는 요즘 찾아보기 힘든 요리이다.
아프리타다(Afritada)
쇠고기에 올리브, 완두콩, 다진 감자, 후추를 넣은 소스를 곁들여 제공되는 스페인식 요리이다.
할로 할로(Halo Halo)
'이것저것 모두'란 뜻으로 우유와 썩은 과일, 옥수수, 흰콩, 색색의 사탕, 얼음과 아이스크림이 들어 있는것. 파르페와 비슷한 형형색색으로된 디저트 요리이다.
카레 카레(Kare Kare)
밥과 채소와 함께 제공되는 피넛소스에 소꼬리나 내장에 야채와 양파, 마늘을 넣고 찐 요리이다.
레촌(Lechon)
생후 며칠 안된 어린 통돼지의 뱃-속에 타마린드라는 잎을 넣은 후에 버터 소스를 발라서 구워낸돼지고기 요리로 걸쭉한 간소스와 제공되는 전통적인 명절음식이다.
빤신(Pancit)
고기, 생선, 새우, 채소 등을 많이 넣고 마늘로 양념하여 볶은 국수요리이다.
룸삐아(Lumpia)
마늘이 들어간 달걀을 살짝 구워서 고기나 생선과 채소 등으로 볶은 요리를 싸먹는 요리이다.
필리핀 대표 과일
망고(Mango)
필리핀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과일로서 쥬스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2월에서 6월 사이가 제철이다. 제철에 싸고 싱싱한 망고를 맛볼 수 있다.
망고 쥬스와 보스카를 섞어 칵테일해도 맛있다.
파파야(Papaya)
소화효소가 많이 들어있어 음식을 먹은 후에 디저트용으로 좋다.
코코넛
야자수라고 부르는 나무의 열매로 위 부분을 잘라 빨대를 꽂아 과즙을 마신다.
껍질은 깎아내고 말려서 빵등을 만들때 넣기도 하고 오일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파인애플(Pineapple)
주요 수출품으로서 쥬스로 많이 사용된다.
스타애플
흰 크림과 같이 과육이 맛있고 값도 매우 저렴하다.
망고스틴
붉은 보라색 껍질로 되어 있으며 필리핀에서는 고급과일이다. 민다나오 섬이 주요 산지이다.
란소네스
껍질을 벗기면 투명한 색깔을 띄는데 8월에서 11월이 제철이다.
두리안
한번 먹어보면 잊을 수 없는 독특한 맛을 지닌 과일이다.
과일의 왕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지만 처음 먹는 사람들에게는 냄새가 매우 역겹다.
자꾸 먹다 보면은 그 맛에 진가를 느낄 수 있다.
먹는 방법은 반으로 자르면 노란색 살이 나오는데 이 노란 살 부위를 먹으면 된다.
이 과일은 8월부터 10월이 수확기이다.
람부탄
부드러운 붉은색 가시가 돋친 열매로서 속을 갈라 흰살을 먹는다.
칼라만시
과일이라 할 수 없고 맛이나 모양이 낑깡을 많이 닮았다.
초록색을 띤 과일인데, 신맛이 나기 때문에 식초나 레몬 대용으로 쓴다.
갈증이 날때 쥬스로 마시면 아주 시원해지며 차로도 마실 수 있다.
잭 후르트
커다란 과일중에 하나이다. 겉 모양은 푸른색을 띄지만 속은 노르스름하며 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