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經 濟 學 碩 士 學 位 論 文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女性의 參與方案에 關한 硏究
- 永 登 浦 區 地 域 을 中 心 으 로 -
A Study on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Youngdeungpo district -
指 導 敎 授 全 道 一
明 知 大 學 校 社 會 敎 育 大 學 院
地 域 社 會 開 發 學 科
地 域 社 會 開 發 專 攻
金 鎭 韻
1992 年 12 月 日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女性의 參與方案에 關한 硏究
- 永 登 浦 區 地 域 을 中 心 으 로 -
A Study on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Youngdeungpo district -
이 論文을 碩士學位論文으로 提出함.
1992 年 12 月 日
明 知 大 學 校 社 會 敎 育 大 學 院
地 域 社 會 開 發 學 科
地 域 社 會 開 發 專 攻
金 鎭 韻
金 鎭 韻 의 碩 士 學 位 論 文 을 認 准 함.
主 審 委 員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印
副 審 委 員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印
副 審 委 員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印
1 9 9 2 年 1 2 月 日
明 知 大 學 校 社 會 敎 育 大 學 院
감 사 의 글
유난히도 무더웠던 여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건강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끝까지 귀한 결실을 맺게 인도해 주신 하나님께 먼저 영광을 돌립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특별한 관심으로 지도 편달해 주셨던 전도일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아울러 지도해 주신 최병익 교수님과 김기옥 교수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뒷바라지에 힘써 주시고 애써주신 신길교회 성도님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사소한 것들을 도와준 아내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설문지를 직접 써 주신 신길교회 구역장님들과 특히 설문조사를 위해 발벗고 도와준 처남들에게도 고마움을 표합니다.
이 논문을 펴냄으로 인해 자신에게 무엇보다도 큰 경험과 학문적 도움이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기도해 주신 모든 분들께 두루 감사드립니다.
1992 년 12 월
김 진 운
目 次
Ⅰ. 序論 ............................................... 1
A. 問題의 提起 ..................................... 1
B. 硏究의 目的 ..................................... 4
C. 硏究의 範圍와 限界 .............................. 6
D. 用語의 定義 ..................................... 6
1. 地域社會開發 ................................. 6
2. 女性의 社會參與 ..............................11
Ⅱ. 理論的 背景 ....................................... 16
A. 先行硏究 ....................................... 16
B. 女性 地域社會開發 參與의 障碍要因 .............. 17
1. 生物學的 要因 ............................... 18
2. 文化人類學的 要因 ........................... 19
3. 社會化의 要因 ............................... 20
C. 女性과 地域社會와의 關係 ....................... 22
1. 女性 遍見에 대한 歷史的 考察 ................ 22
2. 女性에 대한 社會的 認識 ..................... 24
3.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女性의 役割 ............. 27
Ⅲ. 硏究方法 및 節次 .................................. 32
A. 硏究對象 ....................................... 32
B. 標本選定 및 特性 ............................... 32
C. 調査道具 ....................................... 33
D. 資料蒐集 ....................................... 34
E. 資料分析方法 ................................... 35
Ⅳ. 硏究結果의 分析 ................................... 36
A. 硏究對象의 一般的 特性 ......................... 36
1. 韓國社會의 女性活動의 特性 .................. 36
2. 地域社會의 女性의 宗敎的 特性 ............... 37
3. 地域社會女性의 學力別 特性 .................. 37
4. 家計 月 平均 收入 ........................... 38
B.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旣婚女性 參與의 問題 ....... 39
1. 地域社會開發의 社會的 理解 不足 ............. 39
2. 地域社會開發의 女性參與의 障碍要因에 따른 ... 43
問題點
3. 地域社會開發의 女性 家族과 敎育問題 ......... 47
4. 女性의 地域社會開發의 克服問題 ............. 52
C.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旣婚 女性의 參與 方案 ...... 54
1.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女性의 意識 變化 ........ 55
2.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女性의 潛在力 活用 ...... 60
3. 女性發展 戰略을 통한 地域社會開發의 ......... 64
活性化 方案
4. 社會團體活用을 통한 地域社會開發의 .......... 68
女性參與方案
D. 評價 ........................................... 72
1. 評價 ........................................ 72
E. 女性의 地域社會開發 參與方案 ................... 77
1. 女性의 社會參與 ............................. 77
2. 女性의 團體活動 參與 ........................ 79
3. 女性의 政治參與 ............................. 80
Ⅴ. 政策建議 및 結論 .................................. 83
A. 政策建議 ....................................... 83
B. 結論 ........................................... 86
參考文獻 .............................................. 89
英文抄錄 .............................................. 91
附錄 - 設問紙 ......................................... 94
表 目 次
<표 Ⅰ- 1> 응답자의 연령별 특성 ........................ 36
<표 Ⅰ- 2> 여성의 종교별 특성 .......................... 37
<표 Ⅰ- 3> 여성의 학력별 특성 .......................... 38
<표 Ⅰ- 4> 가정의 월수입 ............................... 38
<표 Ⅱ- 1> 연령별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이해 ............ 41
<표 Ⅱ- 2> 주거지역별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 ........ 42
<표 Ⅱ- 3> 주거연한별 지역사회 행사 참여도 ............. 43
<표 Ⅲ- 1> 주거연한별 사회활동 참여의 장애요인 ......... 45
<표 Ⅲ- 2> 주거지역별 “지역사회개발” 이해실태 .......... 47
<표 Ⅳ- 1> 시부모와의 동거여부와 지역사회의 행사참여도와
의 관계 ..................................... 48
<표 Ⅳ- 2> 연령별 사회활동에 있어서의 장애요인 ......... 49
<표 Ⅳ- 3> 남편의 직업별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이해 ..... 51
<표 Ⅴ- 1> 주거연한별 “지역사회개발” 내용이해 실태 ..... 53
<표 Ⅴ- 2> 연령별 지역사회 행사참여 종류 ............... 54
<표 Ⅵ- 1> 연령별 사회활동의 참여의지 .................. 57
<표 Ⅵ- 2> 주거연한별 향후 지역사회개발활동 참여의지 ... 58
<표 Ⅵ- 3> 연령별 지역사회 행사참여도 .................. 59
<표 Ⅶ- 1> 주거연한별 지역사회 행사 참여동기 ........... 61
<표 Ⅶ- 2> 연령별 향후 지역사회활동 참여의지 ........... 62
<표 Ⅶ- 3> 월소득별 지역사회의 개선 요구사항 ........... 64
<표 Ⅷ- 1> 주거지역별 향후 지역사회개발활동 참여의지 ... 66
<표 Ⅷ- 2> 종교별 지역사회행사 참여종류 ................ 67
<표 Ⅸ- 1> 월소득별 지역사회에 요구하는 여성사회활동 ... 70
<표 Ⅸ- 2> 주거연한별 지역사회행사 참여종류 ............ 71
Ⅰ. 序 論
A. 問題의 提起
우리나라의 地域社會開發 事業은 1971년에 시작된 새마을운동이 주축이 되었고, 이 운동은 한국 역사에 유례없는 광범위하고 대규모적인 凡社會 運動으로 확산되었다. 새마을운동은 더 나은, 더 부유한 마을을, 더 나아가서는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를 建設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協同하는 운동이었다. 또한 이 운동은 勤勉,自助,協同의 정신을 기반으로 社會的,經濟的으로 제기된 성장 요인을 효과적으로 보완하기위하여 企劃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종합연구소, 지역사회개발과 사회혁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1983), p.67
그러나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地域事業들이 국가 정책과 새마을운동의 사업구조에만 맞추어 표준화되는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현재 한국의 地域社會開發의 당면 과제중 가장 본질적인 것은 주민의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社會 參與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즉 地域社會 여성들로 하여금 사회에 대한 主人意識을 갖고 地域社會開發 計劃의 樹立과 實踐 過程에 적극 참여하도록 교육하고 훈련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이는 곧 여성의 역할을 學習시키고 민주 사회의 토대를 구축하는 일이 되는 것이다. 더우기 한국의 地域社會開發에 있어서 이러한 근본적인 과제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는 모든 시민에게 해당된다. 憲法에도 국민은 누구든지 政治, 經濟, 社會, 文化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성별에 의해 差別을 받지 않는다고 規定하고 있듯이 여성은 어떠한 차별도 받지 않고 모든 사회 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기본 권리가 보장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 여성은 이미 社會敎育의 필요성에 맞는 사회변화, 개인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合理的인 方案에 대한 참여는 많은 여성 단체들에 의하여 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아직도 여성 社會敎育이 남성과 동질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여성들에게 이에 대한 參與를 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는 社會敎育이 확산되어 진다면 수용될 수 있는 자세가 조성되어 있다는 사실은 매우 긍정적인 현실이다.
이진분, “여성의 사회, 문화 참여와 사회교육”, 여성사회 참
여를 위한 사회교육 단체의 과제, (서울:한국여성개발월,1990)
pp.77-78
그러나 기존의 社會制度와 관념은 여전히 여성이 남성과 대등한 입장에서 사회적 役割을 遂行하는데 많은 제약을 가하고 있다. 특히 여성들의 性役割은 많은 편견과 제약을 안고 있다. 한국여성개발원 편, 현대사회와 여성의 역할 , (서울:한국여
성개발원,1987), p.113
役割은 성별에 따라 社會, 文化的으로 형성화된 役割을 말하며 이는 社會化 과정을 통해 학습되는데 전통적으로 男性性, 女性性이라고 간주되던 분리점을 깨뜨리고 양자의 합일을 이상적으로 하는것이 그 중심주제이다. 김희강, 새로운 性役割 槪念에 關한 一硏究, (서울: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1980), p.4
父長社會가 규정한 여성의 性役割은 여성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社會參與를 억제함으로써 사회발전에 있어서 障碍 要因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리고 女性에게는 사회적으로 제한되는 활동이 더욱 두드러져 女性이 가지는 社會參與의 可能性이 부정되고 가정과 개인적 역할에 관심이 제한되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의무와 권리를 다하지 못하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女性의 社會的 參與를 活成化하기위해서는 性役割이 규정하는 부당성 또는 모순성을 극복하고 女性의 사회활동 기회와 영역을 근본적으로 제한시키는 制度的, 文化的 제약 등을 改善해야 한다.
이 硏究는 家父長 社會에 뿌리깊은 여성의 사회적 參與에 대한 차별과 편견의 시정은 地域社會開發을 위해 불가피하게 요청되는 기본 과제라는 점을 認識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여 硏究하고자 한다.
1) 女性의 地域社會開發에 대한 參與實態는 어떠한가?
2) 女性의 地域社會開發 이해에 대한 問題點은 어떤 것이
있나?
3) 地域社會開發 參與에 있어서 女性의 生物學的 障碍는
무엇인가?
4) 地域社會開發 參與에 있어서 女性의 社會學的 障碍는
무엇인가?
5) 女性의 地域社會開發 參與에 있어서 參與 團體 또는 利
用施設은 어떤 것인가?
6) 女性의 地域社會開發 參與에 대한 意識은 어떠한가?
7) 女性의 地域社會開發 參與에 대한 活成化 方案은 무엇
인가?
B. 硏究의 目的
地域社會開發이나 女性參與 부분에 있어서 능동적이지 못한 부분이 현대에 와서는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인류 역사는 政治, 經濟, 社會, 文化 등의 차원에서 소외되고 혜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새롭게 역사에 同參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 革命과 미국의 시민 革命 이후 신분제도, 노예제도 등이 폐지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남성들은 시민권을 획득했으나 여성들은 그 대열에서 제외되었다. 오늘날 地域社會開發에 女性 參與가 전개되고 있는 여성운동은 自覺하는 여성들의 용기있는 적응의 결과요, 동시에 인류 역사의 변화 방향에 대한 여성 자신의 自覺의 결과라 볼 수 있다.
한국여성개발원 편, 현대사회와 여성의 역할, (서울:한국여성
개발원,1987), p.3
이제 여성은 인류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자신뿐만아니라 전체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현대와 미래 사회에서 보다 能動的인 役割을 담당해 내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에 부응할 수 있도록 여성 개개인의 기대, 욕구 및 潛在力과 사회의 변화와 발전 과정상의 필요를 동시에 充足시켜줄 수 있는 女性의 參與 모델이 설정되고 구체적인 實踐 方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을 기존 사회가 부과하는 역할 규범을 내면화하고 그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는 受動的 존재로 파악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 관계 및 사회 변화에 能動的으로 참여하고, 나아가 변화를 창조해 가는 행동의 主體者라는 관점에서 출발되어야 한다. 마가렛 L.앤더슨, 성의 사회학, 이동원, 김미숙 공역, (서울:
이화여대출판부,1987) p.126
아울러 本 硏究는 현대 사회의 현실에 입각한 地域社會發展의 개념은 무엇이며, 특히 한국의 地域社會開發의 과제를 女性의 社會參與方案과 그 役割을 중심으로 규명해 나가고자 한다.
地域社會는 한정된 지역내에서 그 구성원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相互依存的 사회집단들의 集合體이다. 김채윤, 권태환, 홍두승, 사회학개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
부,1986), p.210
러한 集合體는 地域의 共同, 生活의 共同, 文化의 共同이라는 3가지 기본 요소를 갖는데 가장 작게는 하나의 동네(local community)가 되며, 크게는 地方社會(regional community), 國家社會(nati-
onal community), 國際社會(international community)가 각기 한 단위가 된다. 고영복, 현대사회학, (서울:법문사,1979), p.158
러한 地域社會는 그 구성원에 의해 개발되고 발전되어야 한다.
이 硏究는 이러한 地域社會開發을 女性의 參與와 그 役割로 조명해봄으로써 문제 제기에서 거론한 논점을 규명하고 그 答案을 提示하는 데 硏究目的을 두었다.
C. 硏究의 範圍와 限界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地域社會 구성원의 역할은 여러가지 방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規定될 수 있다. 이 硏究에서는 일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地域社會 구성원들의 活動을 調査하였다. 이 硏究에서 다루는 地域社會의 환경과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硏究의 範圍와 限界를 다음과 같이 제한해 둔다.
1) 空間的 硏究 範圍로써 서울市의 永登浦區를 選定하였다.
2) 硏究對象은 1992년 5월 1일부터 15일까지 서울特別市 永
登浦區의 住民 가운데 設問에 응해 준 500명의 女性으로
국한하였다. 그렇기때문에 사회의 전반적인 女性의 地
域社會開發 參與 活動 및 役割로 일반화하기에는 地域的
특성 및 생활양식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다소 차이가 있
을 것이다.
3) 硏究對象의 分析은 社會 活動이 가능한 30세 이상 60세
만의 女性으로써 年齡, 敎育水準, 所得水準, 住居 地域,
住居年限, 宗敎, 社會活動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調査,
分析하였다.
D. 用語의 定義
1. 地域社會開發
세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시작된 地域社會開發(com-
munity development)은 1950년대 초에는 그 추진 국가가 약 7개국 정도에 불과하던 것이 오늘날에는 세계 각국에서 거의 모든 국가가 전개하고 있는 住民運動 내지 國家施策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1950년대에 地域社會開發이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이 용어의 사용 빈도가 날로 늘어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전개와 함께 日常의 用語化가 되어 있는 현실이다. 먼저 학자들의 地域社會開發에 대한 槪念規定을 보면 샌더스(I.T.Sanders)는 “地域社會開發은 일정 지역주민들에 의하여, 창안되고 수행되는 計劃된 經濟, 技術, 사회의 發展過程 (process)이고 운동(movement)이다”
Iwrin T.Sanders, The Community;Introduction to a social
System, (NewYork:The Ronald Press Co.,1958), pp,406-407
고 제의하고 그것은 시설의 완공이나 물량적 성취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 社會關係의 끊임없는 형성과 변화이고 이를 위해서 관계 주민 모두의 참여와 함께 모든 사람들이 자신들의 行態와 態度를 改善시키는 운동이라고 설명하였다. 또 던햄(A.Dunham)은 “地域社會開發은 地域社會의 생활조건을 개선하고 地域社會의 통합과 自發的 발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組織的 노력이다” A.Dunham, Community Development, (NewYork:National Ass-
ociation of Social Workers,1960), pp.178-186
라고정의하고 있고, 넬슨(L.Nelson), 램시(C.E.Ramsey), 버너(C.Verner) 등은 그들이 共箸한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1960)에서 “地域社會開發은 주민교육정신, 능력의 개발을 그 核心으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L.Nelson, C.E. Ramsey and C. Verner,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NewYork:The Macmillan Co.,1960), p.415
우리나라에서는 1958년 7월 24일 國務會議에서 “일정한 지역내의 주민이 그들 자신의 좀 더 나은 생활을 위하여 공동 또는 개개인의 난관을 發見하고 그것을 解決하기 위해 集團的 또는 個別的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그들 자신의 힘으로 또는 외부(정부와 기타 기관)로 부터 용역이나 물자를 보충받아 實踐 施行하는 社會改善運動의 과정”이라고 정의한 바 있으며 이것은 다시 同年 9월 2일 大統領令 제 1384호의 공시된 “地域社會開發委員會規定 : 제 2조”에 “일정한 지역내의 주민들이 생활의 개선과 향상을 위하여 集團的 또는 個別的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 수행하는 社會改善事業”이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제 견해들을 종합하여 보면 결국은 地域社會주민의 生活向上을 의미하는 것으로 政治, 經濟, 社會, 敎育, 保建
등 제반 요소가 포괄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주민들이 自發的인 노력과 창의를 발휘하여 민주적 발전을 기한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따라서 地域社會開發의 기본요소는 “自助”,“共同目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自助”란 개발대상인 사회의 구성원이 사업의 계획과 집행과정에 직접 參與하는 것을 뜻하며, “共同目的”은 거의 모든 사회의 구성원이 발전과정에서 그 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解決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며, 공동의 目的을 위하여 사업집행에 共同參與하여 地域社會의 改善을 도모한다는 것을 뜻한다.
地域社會라는 말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지만 본 硏究를 보다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하기위해서는 그 의미를 깊이 考察할 필요가 있다. 넬슨(L.Nelson)은 地域社會란 한정된 지역에 거주하면서 共同意識을 가지고 조직체계를 통하여 共通된 利益을 추구하는 제 활동을 분담, 수행하는 人間集團이라고 정의했다. L.Nelson, Rural Sociology, (New York : American Book Co.
1949), p.71
리고 맥클버(R.M.Maclver)는 地域社會를 일정 지역에서 영위되는 自然發生的 共同生活(area of common life)이라고 하고 地域社會의 기초는 地域性(locality)과 地域社會意識(community sentiment)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했다. Robert M.Maclver, "Community:A Sociological study", Being
an Attempt of set out the Nature & Fundamental Laws of
Social Life, (London:Macmilan co.,1924), p.46 재인용
를 종합해 보면 地域社會란 일정한 地理的 空間안에서 주민들과 共屬意識을 갖고 對面的(face-to-face) 接觸關係가 이루어지는 범위를 말하는 것이다.
地域社會開發(community development)은 1950초에는 그 추진국가가 약 7개국정도에 불과하던 것이 오늘날에는 세계 각국에서 거의 모든 국가가 전개하고 있는 住民 運動, 또는 國家施策이 되어 있다. 地域社會開發은 추진지역에서 그 지역의 후진성을 극복하고 발전해 가는 과정이기때문에 그 발전의 내용은 각각 처한 상황과 지역 특성, 그리고 目的에 따라 多樣性을 띠고 있다. 샌더스(I.T.Sanders)는 地域社會開發을 일정 지역주민에 의하여 創案되고 수행되는 計劃된 經濟, 技術, 社會의 발전 과정이며 運動이라고 정의했는데 I.T.Sanders, The Community ; Introduction to a Social S-
ystem, (NewYork:The Ronald Press Co.,1958), pp.406-407
이 地域社會開發이 긍정적으로는 社會改善이라는 목적에 귀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政治, 經濟, 社會, 文化 등 전반적 측면을 다룬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특히 주민의 自發的 參與와 活動을 통한 사업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하겠다. 그러므로 여러 정의들을 종합해 보면, 地域社會開發이란 일정한 지역단위에서 정부나 다른 외부의 지원이 있든 없든 간에 그 지역 주민들의 共同 및 協同的 노력에 의하여 그 地域社會의 人的, 物的 資原을 파악, 발굴, 개발하여 그 주민 개개인 또는 전체 집단이 고르게 보다 높은 수준에서 행복한 생활을 누리고 그 地域社會가 그들의 經濟的, 社會的, 文化的 活動의 共同體的 基本 單位가 되어 국가발전에 기여하도록 만드는 과정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새마을운동으로부터 地域社會開發 事業이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새마을운동은 크게 精神啓發, 環景改善, 所得增大 등 3가지 분야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그 사업들의 類型은 대략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地域社會의 발전은 결국 주민들의 생활향상(better living)으로 귀결된다. 미르달(G.Myrdal)은 “地域社會開發의 本質은 주민생활의 모든 분야의 발전을 위한 綜合的인 計劃이다” G.Myrdal, Asia Drama;An Inguiry into the poverty of Nat-
ions, (NewYork:Dantheon,1968), Vol Ⅱ, pp.60-66
라고지적한 바 있는데 확실히 주민생활 전체의 발전이 地域社會開發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는 것이다. 地域社會開發은 事業內容에 의한 분류, 事業主體에 의한 분류, 그리고 事業 推進方法에 의한 분류 등이 있다. 최창호, 지역사회개발행정론, (서울:삼영사,1980), pp.60-66
2. 女性의 社會參與
이 硏究는 앞서 地域社會開發에 있어서 여성의 參與는 필수적이라는 점을 살펴 보았다. 社會參與라 함은 사회구성원이 政治, 經濟, 文化 등 제반 社會問題에 관심을 가지고 그 計劃과 實踐에 參加하여 간섭함을 의미한다. 여성의 社會 參與의 역사는 대단히 오래된다. 아마 인류가 이 지구위에서 자신들의 삶을 영위하기 시작한 이래, 여성들은 끊임없이 어떤 형태로든 재화나 용역의 生産, 交煥 및 消費活動에 參與하여 왔다. 가족들에게 필요한 음식을 장만하고, 집안을 청소하고, 아이들을 기르고 하는 각종의 家事 勞動의 주체로서 뿐만아니라, 논과 밭에 나가 작물을 기른다던가 아니면 공장에 나아가 직접 財貨를 生産한다던가하는 生産的 노동의 담당자로서도 參與하여 왔다. “한국사회와 여성의 역할”, 여성의 활동 참여, (서울:한국여성개
발원,1987), p.89
性參與는 狹義로 해석하면 일정한 직장에 취직하여 임금이나 봉급을 받으며, 노동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를 廣義로 해석하면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교통 및 도로 시설, 문화 공간 및 위락 시설, 방범 및 치안 시설, 위생 및 보건 시설 등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關聯하는 일체의 活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같은 넓은 의미로서 文化 施設, 治安 施設, 保建 施設의 여성 참여 등 크게 세가지 부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첫째, 文化 및 慰樂 施設에 직접 관심을 갖고 참여하고 文
化 施設 확충에 기여하는 것이다.
둘째, 班常會, 講習會, 바자회 등 地域社會開發 行事에 參
與하는 것이다.
세째, 洞 事務所 등을 통해 地域社會의 改善에 대해 직접
관계하여 地域社會의 제반 事業處理에 參與하는 것이
다.
地域社會의 여성들은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그리고 한 가정의 주부로서 役割하는데는 그의 활동의 영역이 틀 속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 전반에 걸쳐 널리 參與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주부의 책임과 역할을 이행하기 위하여 社會 參與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변화에 따른 地域社會의 새로운 요청을 인식하는데 敏感해야 하겠고, 이에 부응하는 여성의 役割을 계속 提案해야 할 것이다. 사실 “參與”는 “參豫”와 동일어로서 그 의미는 참가하여 관계함을 의미하는데 학력개발사, 새국어대사전, (서울:학력개발사,1990), p.896
그語義대로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야말로 “參與”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1960년대 이후 經濟開發計劃의 추구로 인한 산업화 과정은 그 속도가 매우 급격하였으며, 이러한 가속화된 산업화의 추구는 사회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意識과 價置觀의 변화를 수반하면서 家族構成에로, 女性意識에로 그 변화의 폭을 넓혀 갔다. 한국여성개발원 편, 여성백서, (서울:한국여성개발원,1985)
p.130
대부분의 地域社會의 여성들이 가정 주부로서의 役割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과거와 같이 기존의 役割을 그대로 답습하기 보다는 개인의 特性이나 能力을 고려하는 경향이 늘게 되었다.
첫째, 地域社會의 여성의 役割 變化는 사회전반적인 價値
觀과 사회 조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둘째, 地域社會의 여성의 役割 變化는 여성의 生活 樣式
(life style)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는 窮極
的으로 그들의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친다.
세째, 地域社會의 여성의 役割은 傳統的 家族 意思決定
(family decision making)양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네째, 地域社會의 여성의 役割 認識의 變化는 地域社會의
活成化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여성의 役割이 변함에 따라서 남성의 役割, 生活
樣式의 變化가 수반된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여성의 役割이 매우 多樣化됨에 따라 役割의 多樣性을 반영해 주는 개념이 필요하며, 여성 役割의 意識 變化로 사회 전반에 舊習을 답습했던 價置觀에 대해 새로운 변화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여성의 參與는 地域社會開發에 犯罪 豫防, 上․下水道 改善, 불우이웃돕기, 養老院 運營, 敎育 事業, 道路 包裝 등에 관심을 갖고 改善을 위한 관계에까지 參與하는 것을 말하고 이렇게 할때 여성의 役割은 구체화될 수 있다.
以上의 언급을 토대로 할 때,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여성의 活動은 구체적으로 3가지 방향으로 模索될 수 있다.
첫째, 여성이 市民運動(또는 地域住民運動), 그리고 自願奉
仕活動에 參與하는 것이다.
둘째, 여성이 社會運動에 參與하는 것이다. 社會運動이란
사회변동을 增進시키거나 이에 적응하기위해 지속적
이고 집합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뚜렷한 目標와 理念,
그리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장기적으로 實
踐하는 活動이다.
세째, 여성이 自願奉仕活動에 參與하는 것이다. 自願奉仕
活動은 민주사회의 한 시민으로써 自發的인 參與精神
을 가지고 地域社會問題를 豫防, 解決하고 또 福祉를
향상하는데 協力하는 活動을 말한다.
한국여성개발원 편, 여성발전과 지도자, (서울:한국여성개
발원,1988), p.126
이상의 3가지 活動 方案의 提示는 여성의 社會參與活動에서 직업을 제외시키고 주로 地域社會開發의 측면에 촛점을 맞춘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社會參與의 방법은 일정한 형식의 단계와 과정을 가질 때 더욱 건전한 것으로 認識될 수 있다. 테일러(C.C.Taylor)는 地域社會開發 과정의 4단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arper and Dunham,Community Organization in Action,(New
York:Association Press,1972), pp.530-532
1) 주민들이 共通的으로 認識하고 있는 요구에 관해 組織的
인 討議를 거친 후,
2) 選定된 事業을 遂行해 나가기 위한 組織的 計劃의 樹立
이 필요하고,
3) 그 集團의 物的, 社會的, 經濟的인 潛在力을 總動員하여
여성이 이에 參與하게 하고,
4) 繼續的인 地域社會事業 遂行을 위한 주민의 요구와 결단
을 造成하고 여기서 여성이 자신의 役割을 감당해야 한
다.
따라서 地域社會開發은 하나의 이념이나 행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발전을 지향하는 持續的인 과정인 것이다. 그리하여 開發事業을 效率的으로 유도할 수 있는 組織과 이를 뒷받침하는 行政力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직과 행정은 주민의 요구와 地域社會의 發展 目標에 일치해야 함은 물론 地域社會 제반 요건의 變化에 敏感하게 대응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