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료]
한국 문헌 사료: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사절요>>, <<고려사>>,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일본 문헌 사료: <<고사기>>, <<일본서기>>, <<속일본후기>>, <<신찬성씨록>>
중국 문헌 사료: <<후한서>>, <<삼국지>>, <<진서>>, <<송서>>, <<남제서>>, <<태평어람>>, <<한원>>.
금석문: <<광개토왕릉비문>>, <<양직공도>>, <<영일 냉수리 신라비>>, <<단양 신라 적성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경주 남산 신성비>>, <<진경대사탑비문>>.
지리지 및 지도: <<경상도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산경표>>(신경준, 조선 영조대), <<청구도>>, <<대동여지도>>, <<여지도서>>, <<영지요선>>,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증보문헌비고>>, 기타 각종 읍지.
[연구 논저]
가미타니(神谷正弘), 1982, <경상북도 고령 벽화고분에 대하여>, <<고문화논집>> 하권, 삼정차랑박사고희기념논문집간행회.
강종훈, 1999, <<역주 숭선전지>>, 숭선전.
경상남도,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00, <<진주 남강 유적과 고대 일본 -고대 한일문화교류의 제양상->>.
고관민, 1990, <영락10년, 고구려 광개토왕의 신라구원전에 대하여>, <<조선사연구회논문집>> 27, 조선사연구회.
고관민, 1993. <일본서기 계체기 근강모야신 조선파견기사의 검토>, <<대판 경제법과대학 아시아연구소 년보>> 4.
고령군, 한국상고사학회, 2001, <<대가야와 주변제국>>, 제2회 대가야사 국제학술세미나 발표요지.
곽장근, 1999,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곽장근, 2000, <소백산맥 이서지역의 석곽묘 변천과정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18,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서울.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2, <함안 도항리 고분군 발굴조사>, <<영남고고학>> 11.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2, <함안 도항리 토광목곽묘 수습조사>, <<영남고고학>> 10.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 <<묘제와 출토 유물로 본 소가야>>,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개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발표요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1, <<가야시기 창녕지방의 역사, 고고학적 성격>>,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년도 학술대회 발표요지.
권오영, 1992, <고대 영남지방의 순장>, <<한국고대사논총>> 4, 한국고대사회연구소.
권오영, 1996, <삼한의 ‘국’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주현, 1994, <아라가야의 성립과 발전>, <<계명사학>> 4, 계명대학교 사학과.
권주현, 1995, <안야국에 대하여 -3세기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50.
권주현, 1998, <가야 문화사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주현, 2000, <고자국의 역사적 전개와 그 문화>,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권학수, 1985, <가야 제국의 성장과 환경>, <<백산학보>> 30, 31합.
권학수, 1993, <가야 고분의 종합 편년>, <<영남고고학>> 12.
권학수, 1993. <가야의 복합사회 출현>, <<한국상고사학보>> 13.
권학수, 1994, <가야 제국의 상관관계와 연맹구조>, <<한국고고학보>> 31.
권학수, 2001, <구미 교과서 및 백과사전류의 가야사 서술>,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기노시타(木下禮仁), 1961, <“일본서기”에 보이는 ‘백제사료’의 사료적 가치에 대하여>, <<조선학보>> 21, 22합.
기토(鬼頭淸明), 1974, <가라제국의 사적 발전에 대하여>, <<조선사연구회논문집>> 11.
기토(鬼頭淸明), 1976, <<일본 고대국가의 형성과 동아시아>>, 교창서방.
김기웅, 1978, <<가야의 고분>>, 학생사, 도쿄.
김기웅, 1979, <가야의 관모에 대하여 -성주 가암동 파괴고분 출토 금동관을 중심으로->, <<문화재>> 12, 문화재관리국.
김기웅, 1988, <고고학상으로 본 기마민족의 동래설과 가야문제>, <<가야문화>> 1, 가야문화연구원.
김동욱, 1966, <우륵 12곡에 대하여>, <<신라가야문화>> 1.
김동호, 1986, <고고학상에서 본 소가야 문화의 제문제>, <<영남고고학>> 1.
김동호, 1990, <창녕 계성지구 고분군의 재검토>, <<고고역사학지>> 5, 6합.
김두철, 1992, <신라와 가야의 마구>,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두철, 1993, <삼국시대 비(?)의 연구 -비의 계통연구를 중심으로->, <<영남고고학>> 13.
김병모, 1987, <가락국 허황옥의 출자 -아유타국고->, <<삼불 김원룡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Ⅰ(고고학편).
김병모, 1992, <가락국 수로왕비 탄생지>, <<한국상고사학보>> 9.
김병모, 1994, <<김수로왕비 허황옥>>, 조선일보사.
김복순, 1990, <<신라 화엄종 연구>>, 민족사.
김복순, 1995, <대가야의 불교>, <<가야사연구 -대가야의 정치와 문화->>, 경상북도.
김봉식, 1800, <<가락삼왕사적고>>.
김상현, 1985, <신라 화엄학승의 계보와 그 활동>, <<신라문화>> 제1, 2집
김석형, 1963, <삼한, 삼국의 일본열도 내 분국에 대하여>, <<력사과학>> 1963-1.
김석형, 1966, <<초기 조일관계 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김세기, 1985, <수혈식 묘제의 연구 -가야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7, 18합.
김세기, 1988, <성주 성산동 고분 -제38, 39, 57, 58, 59호분 조사개요->, <<개관 10주년 기념 성주 성산동 고분 특별전 도록>>, 계명대학교 박물관.
김세기, 1995, <대가야 묘제의 변천>, <<가야사연구>>, 경상북도.
김세기, 1996, <가야인의 삶과 죽음>, <<가야사의 새로운 이해>>.
김세기, 1997, <가야의 순장과 왕권>, <<가야 제국의 왕권>>(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김세기, 2000, <고분자료로 본 대가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세기, 2001, <대가야의 발전과 주변제국>, <<대가야와 주변제국>>, 제2회 대가야사 국제 학술세미나 발표요지, 고령군, 한국상고사학회.
김세기, 노중국, 박천수, 이명식, 이희준, 주보돈 편, 1998, <<가야문화도록>>, 경상북도.
김시우 편, 권덕영, 김상환 역, 1998, <<덕양전지>>,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영하, 1984, <광개토대왕비와 왜 -신묘년기사의 결자보입을 중심으로->, <<홍익사학>> 창간호.
김용섭, 1983, <전근대의 토지제도>, <<한국학입문>>.
김용성, 1989, <경산, 대구 지역 삼국시대 고분의 계층화와 지역집단>, <<영남고고학>> 6.
김용성, 1996, <토기에 의한 대구, 경산 지역 고대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보>> 35.
김원룡, 1960, <<신라 토기의 연구>>(국립박물관총서 갑 제4), 을유문화사.
김원룡, 1963, <김해 무계리 지석묘의 출토품 -청동기를 반출하는 신례->, <<동아문화>> 1.
김원룡, 1981, <<신라 토기>>, 열화당.
김원룡, 1982, <김해 부원동기의 설정>, <<한국고고학보>> 12.
김원룡, 1983, <소위 와질토기에 대하여 -원삼국 고고학상의 새 문제->, <<역사학보>> 99, 100합.
김원룡, 1987, <<한국 고고학 개설>>, 제3판, 일지사.
김원태 역주, 1980, <<숭선전지>>, 숭선전.
김은숙, 1991, <신찬성씨록의 가야계 씨족>,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재원, 윤무병, 1967, <<한국 지석묘 연구>>, 국립박물관.
김재현, 1991, <가야고지 출토 단각고배에 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7.
김정완, 1993, <함안 지역 도질토기의 편년 연구>, <<제2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발표 및 토론요지>>.
김정완, 1994, <함안권역 도질토기의 편년과 분포 변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완, 1997, <신라와 가야토기의 발생 및 변화과정>, <<한국고대의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김정학, 1969, <웅천 패총 연구>, <<아세아연구>> Ⅹ-4,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김정학, 1977, <<임나와 일본>>, 소학관, 도쿄.
김정학, 1981, <김해 예안리 85호분 출토 편두골에 대하여 -위지 한전의 편두기사와 관련하여->, <<한우근교수 정년퇴임기념 사학논총>>.
김정학, 1982, <고대국가의 발달(가야)>, <<한국고고학보>> 12.
김정학, 1983, <가야사의 연구>, <<사학연구>> 37, 한국사학회.
김정학, 1987, <가야의 국가형성단계>, <<정신문화연구>> 32.
김정학, 1990, <<한국 상고사 연구>>, 범우출판사.
김정호, 1864, <<대동지지>>.
김종철, 1982, <대가야묘제의 편년 연구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9.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김종철, 1984, <고분에 나타나는 삼국시대 순장 양상 -가야, 신라 지역을 중심으로->, <<윤무병박사 회갑기념논총>>.
김종철, 1988, <북부지역 가야문화의 고고학적 고찰 -고령, 성주, 대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1, 한국고대사연구회 편, 지식산업사.
김창호, 1987, <고신라 적석목곽분의 400년 상한설에 대한 의문>, <<영남고고학>> 4.
김창호, 1990, <백제 칠지도 명문의 재검토 -일본학계의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반론->, <<역사교육논집>> 13, 14합, 역사교육학회.
김철준, 1952, <신라 상대사회의 Dual Organization>, <<역사학보>> 1, 2.
김철준, 1962, <신라 상고세계와 그 기년>, <<역사학보>> 17, 18합.
김철준, 1964, <한국고대국가발달사>, <<한국문화사대계>> 1,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김철준, 1990, <<한국고대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철준, 1990, <<한국고대사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철준, 최병헌 편저, 1986, <<사료로 본 한국사>>(고대 편), 일지사.
김태식, 1985, <5세기 후반 대가야의 발전에 대한 연구>, <<한국사론>> 1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김태식, 1986, <후기가야제국의 성장기반 고찰>, <<부산사학>> 11, 부산사학회.
김태식, 1988, <6세기 전반 가야남부제국의 소멸과정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1, 지식산업사.
김태식, 1990, <가야의 사회발전단계>,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한국고대사연구회 편, 민음사.
김태식, 1990, <임나일본부 문제의 연구현황과 전망>, <<가라문화>> 8,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김태식, 1991, <530년대 안라의 ‘일본부’ 경영에 대하여>, <<울산사학>> 4, 울산대학교 사학과.
김태식, 1991, <가야사 연구의 시간적, 공간적 범위>,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태식, 1992, <6세기 중엽 가야의 멸망에 대한 연구>, <<한국고대사논총>> 4,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태식, 1993, <<가야연맹사>>, 일조각.
김태식, 1994, <광개토왕릉비문의 임나가라와 ‘안라인수병’>, <<한국고대사논총>> 6,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태식, 1994, <함안 안라국의 성장과 변천>, <<한국사연구>> 86, 한국사연구회.
김태식, 1996, <대가야의 세계와 도설지>, <<진단학보>> 81호.
김태식, 1998, <가락국기 소재 허왕후 설화의 성격>, <<한국사연구>> 102, 한국사연구회.
김태식, 1999, <김해 수로왕릉과 허왕후릉의 보수과정 검토>, <<한국사론>> 41, 42 (일계 김철준선생 10주기 추모논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김태식, 2000, <가야연맹체의 성격 재론>, <<한국고대사논총>> 10,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태식, 2000, <역사학에서 본 고령 가라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김태식, 2001, <4-5세기 국제정세와 가야연맹의 변동>,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김태식, 2001, <중등학교 교과서(국사 및 사회)의 가야사 서술과 문제점>,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김태식, 2002,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3권, 서울: 푸른역사.
김태식, 이익주 편, 1992, <<가야사 사료집성>>,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김택영, 1905, <<역사집략>>.
김해시, 1991, <<가야사의 재조명>>, 김해시 승격 1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1992, <<가야와 동아시아>>, 가야사 국제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1997, <<가야와 고대일본>>, 제3회 가야사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김해시, 1998, <<가야와 신라>>, 제4회 가야사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1998, <<가야사논집 1 -가야와 고대 일본->>.
김해시, 1999, <<가야의 대외교섭>>, 제5회 가야사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2000, <<가야와 백제>>, 제6회 가야사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2001,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현구, 1985, <<대화정권의 대외관계 연구>>, 길천홍문관, 도쿄.
김현구, 1993, <<임나일본부 연구 -한반도 남부 경영론 비판->>, 일조각.
김형곤, 1995, <아라가야의 형성과정 연구 -고고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가라문화>> 12.
나카(那珂通世), 1893, <고구려 고비고>, <<사학잡지>> 통권 47, 48, 49.
나카(那珂通世), 1895, <삼한고 (조선고사고 제5장)>, <<사학잡지>> 6-6.
나카(那珂通世), 1896, <가라고 (조선고사고 제8장)>, <<사학잡지>> 7-3, 7-5.
나카(那珂通世), 1958, <<외교석사>>, 암파서점.
남재우, 1995, <가야사에서의 '연맹'의 의미>. <<창원사학>> 2.
남재우, 1997, <안라국의 성장과 대외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남재우, 2000, <문헌으로 본 안라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노중국, 1988, <<백제 정치사 연구>>, 일조각.
노중국, 1992, <창녕 진흥왕척경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Ⅱ>>,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노중국, 1995, <대가야의 정치, 사회구조>, <<가야사 연구 -대가야의 정치와 문화->>, 경상북도.
노중국, 2000, <한국사 개설서의 가야사 서술>,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노태돈, 1975, <삼국시대의 부에 관한 연구>, <<한국사론>> 2.
노태돈, 1992, <광개토왕릉비문>, <<역주한국고대금석문>> 제1권,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노태돈, 2000, <삼국시대의 부와 부체제 -부체제론 비판에 대한 재검토->, <<한국고대사논총>> 10,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니시타니(西谷正), 1993, <가야와 왜 문물교류>, <<가야사론 -국제학술회의논문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니시타니(西谷正), 1995, <가야의 철 -철정->, <<가야제국의 철>>,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다나카(田中俊明), 1990, <우륵 12곡과 대가야 연맹>, <<동양사학연구>> 48-4.
다나카(田中俊明), 1992, <<대가야 연맹의 흥망과 임나>>, 길천홍문관, 도쿄.
다나카(田中俊明), 1997, <가야제국의 왕권에 대한 사견>, <<가야제국의 왕권>>,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다케타(武田幸男), 1974, <신라 법흥왕대의 율령과 의관제>, <<고대조선과 일본>>, 조선사연구회 편, 용계서사.
다케타(武田幸男), 1977, <금석문자료에서 본 신라 관위제>, <<에가미(江上波夫)교수 고희기념논문집>>.
다케타(武田幸男), 1988, <<광개토왕릉비 원석탁본 집성>>, 동경대학 출판회.
다케타니(竹谷俊夫), 1985, <초기 스에키의 계보에 관한 일고찰 -화염형투창을 가진 도기를 중심으로->, <<천리대학학보>> 145.
다케타니(竹谷俊夫), 1990, <텐리 참고관 장 고령 출토의 도질토기에 대하여>, <<가야통신>> 19, 20합집.
다케타니(竹谷俊夫), 1992, <긴키 지방과 금관가야>, <<고고학저널>> 350.
동아대학교, 2000, <고성 송학동고분군 현장설명회 자료>.
무라카미(村上四男), 1961, <금관국의 세계와 졸지공>, <<조선학보>> 21, 22합집.
무라카미(村上四男), 1978, <<조선고대사연구>>.
문경현, 1973, <진한의 철산과 신라의 강성>, <<대구사학>> 7, 8합.
미시나(三品彰英), 1962, <<일본서기 조선 관계기사 고증>> 상권.
미시나(三品彰英), 1966, <‘계체기’의 제문제 -특히 근강모야신의 소전을 중심으로 하여->, <<일본서기연구>> 2, 각서방, 도쿄.
미야사키(宮崎市定), 1992, <수수께끼의 칠지도 -5세기의 동아시아와 일본->>, 중앙공론사.
미즈노(水野祐), 1987, <<평석 위지왜인전>>, 웅산각출판.
미즈타니(水谷悌二郞), 1959, <호태왕비고>, <<서품>> 100.
미즈타니(水谷悌二郞), 1977, <<호태왕비고>>, 개명서원.
박광춘, 1990, <가야, 규슈의 수혈계 횡구식 석실의 원류에 대하여>, <<고대조선과 일본>>.
박광춘, 1992, <가야의 수혈식석곽묘 기원에 대한 연구>, <<고고역사학지>> 8, 동아대학교 박물관.
박광춘, 1992, <일본 규슈 북부지역의 신라, 가야계 유물, 유적>,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박광춘, 1997, <가야의 묘제와 왕권>, <<가야제국의 왕권>>,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박보현, 1987, <수지형 입화식관의 계통>, <<영남고고학>> 4.
박순발, 2000, <가야와 한성 백제>, <<가야와 백제>>, 제16회 가야사학술회의 요지문, 김해.
박승규, 1992, <일단장방형투창 고배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 11.
박승규, 1993, <경남 서남부 지역 도질토기에 대한 연구 -진주식 토기와 관련하여->, <<경상사학>> 9, 27쪽.
박승규, 1996, <고찰>, <<고령 쾌빈동 고분군>>, 영남매장문화연구원.
박승규, 2000, <5-6세기 의령 지역 집단의 교류와 변동>, <<학산 김정학선생 송수기념논총>>, 학연문화사, 서울.
박승규, 2000, <고고학을 통해 본 소가야>,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한국고고학회.
박시형, 1966,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박천수, 1993, <삼국시대 창녕지역 집단의 성격연구>, <<영남고고학>> 13호.
박천수, 1994, <도래계 문물에서 본 가야와 왜에 있어서의 정치적 변동>, <<동아시아 고대사>>, 고고학연구회, 도쿄.
박천수, 1996, <일본 속의 가야문화>, <<가야사의 새로운 이해>>, 경상북도 개도 100주년 기념 가야문화 학술대회 발표요지, 85쪽 도14.
박천수, 1997, <정치체의 상호 관계로 본 대가야 왕권>, <<가야 제국의 왕권>>,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박천수, 1998, <대가야권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보>> 39.
박천수, 1998, <대가야의 역사와 유적>, <<가야문화도록>>, 경상북도.
박천수, 1999,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대가야>,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제2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박천수, 1999, <기대(器臺)를 통하여 본 가야세력의 동향>,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박천수, 2000, <고고학으로 본 가라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백승옥, 1992, <신라, 백제 각축기의 비사벌가야>, <<부대사학>> 15, 16합, 부산대학교 사학과.
백승옥, 1995, <비사벌가야의 형성과 국가적 성격>, <<한국문화연구>> 7.
백승옥, 1995, <탁순의 위치와 성격 -“일본서기” 관계기사 검토를 중심으로->, <<부대사학>> 19, 부산대학교 사학과.
백승옥, 1997, <고성 고자국의 형성과 변천>, <<한국고대사연구>> 11, 한국고대사학회 편, 신서원.
백승충, 1989, <1~3세기 가야세력의 성격과 그 추이>, <<부대사학>> 13.
백승충, 1990, <3~4세기 한반도 남부 지방의 제 세력동향 -초기가야세력권의 변화를 중심으로->, <<부산사학>> 19.
백승충, 1992, <‘우륵십이곡’의 해석문제>,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백승충, 1993, <‘임나부흥회의’의 전개와 그 성격>, <<부대사학>> 17, 부산대학교 사학과.
백승충, 1995, <가라국과 우륵십이곡>, <<부대사학>> 19.
백승충, 1995, <가야의 지역연맹사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승충, 1995, <변한의 성립과 발전 -변진구야국의 성격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 10, 한국고대사학회 편, 신서원.
백승충, 1996, <안라의 이나사, 마도에 대한 검토>, <<지역과 역사>> 2, 부산경남역사연구소.
백승충, 2001, <향토사의 가야사 서술과 문제점>,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부산경남역사연구소 편, 1996, <<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2000,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2001,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가야사 학술심포지엄 발표요지).
사다모리(定森秀夫), 1981, <한국 경상남도 창녕지역 출토 도질토기의 검토>, <<고대문화>> 33-4, 대화서방.
사다모리(定森秀夫), 1987, <한국 경상북도 고령지역 출토 도질토기의 검토>, <<동아시아의 고고와 역사>>(강기경선생 퇴관기념논집) 상, 동붕사출판, 교토.
사다모리(定森秀夫), 1997, <초기 스에키와 한반도제 도질토기>, <<한국고대의 토기>>(특별전 도록), 국립중앙박물관.
사다모리(定三秀夫), 1999, <도질토기에서 본 동일본과 조선>, <<청구학술론집>> 15, 한국문화연구진흥재단, 일본.
사다모리(定森秀夫), 요시이(吉井秀夫), 우치타(內田好昭) 저, 우순희 역, 1990, <한국 경상남도 진주 수정봉 2호분, 옥봉 7호분 출토유물 -동경대학 종합자료관 건축사부문 소장자료의 소개->, <<가야통신>> 19, 20합집.
사에키(佐伯有淸), 1972, <고구려광개토왕능비문의 재검토 -특히 신묘년의 왜관계기사를 둘러싸고->, <<속일본고대사논집>> 상(坂本太郞博士古稀記念), 길천홍문관.
사오토메(早乙女雅博), 1982, <신라, 가야의 관(冠) -오쿠라콜렉션의 연구->, <<Museum>> 372, 동경국립박물관.
사케이(酒井淸治), 2001, <일본 초기 스에키의 계보와 도래인>,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선석열, 1993, <삼국사기 신라본기 가야관계기사의 검토 -초기기록의 기년 추정을 중심으로->, <<부산사학>> 24, 부산사학회.
선석열, 1996, <3세기 후반 변진한 세력권의 변화>, <<가라문화>> 13.
선석열, 1996,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록 문제와 신라국가의 성립>,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기옥, 1991, <‘구지가’ 형성의 문화기반과 역사적 양상>,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송계현, 1988, <삼국시대 철제갑주의 연구 -영남지방 출토품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계현, 1995, <낙동강 하류역의 고대 철생산>, <<가야 제국의 철>>(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송계현, 2001, <4-5세기 동아세아의 갑주>,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스에마쓰(末松保和), 1933, <일한관계>, <<암파강좌일본역사>>, 암파서점.
스에마쓰(末松保和), 1936, <신라육부고>; 1954, <<신라사의 제문제>>.
스에마쓰(末松保和), 1949, <<임나흥망사>>, 대팔주출판; 1956, 재판, 길천홍문관.
스즈키(鈴木英夫), 1987, <가야, 백제와 왜 -‘임나일본부’론->, <<조선사연구회논문집>> 24.
스즈키(鈴木英夫), 1996, <<고대 왜국과 조선제국>>, 청목서점.
스즈키(鈴木靖民) 외, 1998, <<가야는 왜 멸망했는가>>(증보개정판), 대화서방, 도쿄.
스즈키(鈴木靖民), 1988, <호태왕비의 왜의 기사와 왜의 실체>, <<호태왕비와 집안의 벽화고분>>(요미우리 텔레비방송 편), 목이사, 57쪽.
스즈키(鈴木靖民), 1995, <가야[변한]의 철과 왜>, <<가야제국의 철>>,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스즈키(鈴木靖民), 2001, <4-5세기 왜왕권의 전개와 가야>,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신경철, <금관가야의 성립과 연맹의 형성>,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신경철, 1982, <부산, 경남출토 와질계토기>, <<한국고고학보>> 12.
신경철, 1985, <고식등자고>, <<부대사학>> 9.
신경철, 1989, <가야의 무구와 마구 -갑주와 등자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7, 국사편찬위원회.
신경철, 1991, <김해 대성동 고분군의 발굴성과>, <<가야사의 재조명>>(김해시 승격 1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발표요지), 김해시.
신경철, 1992, <김해 예안리 160호분에 대하여 -고분의 발생과 관련하여->, <<가야고고학논총>> 1,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신경철, 1994, <가야 초기 마구에 대하여>, <<부대사학>> 18, 부대사학회.
신경철, 1995, <김해 대성동, 동래 복천동 고분군 점묘 -금관가야 이해의 일단->, <<부대사학>> 19.
신경철, 2000, <영남의 고대 갑주>, <<학산 김정학선생 송수기념논총>>, 학연문화사, 서울.
신경철, 2001, <역사문물 전시회: 갑주>, <<고대 가야 역사문화의 재조명>>(김해시 사이버가야 홈페이지), http://www.gayasa.net.
심봉근, 1981, <한, 일 지석묘의 관계 -형식 및 연대론을 中心으로->, <<한국고고학보>> 10, 11합.
심봉근, 1982, <김해 지내동 옹관묘>, <<한국고고학보>> 12.
심봉근, 1989, <일본 야요이문화 초기의 마제석기에 대한 연구 -한국 마제석검과 관련하여->, <<영남고고학>> 6.
쓰다(津田左右吉), 1913, <임나강역고>, <<조선역사지리연구>> 1; 1964, <<진전좌우길 전집>> 11.
쓰보이(坪井九馬三), 1923, <삼한고>, <<사학잡지>> 34-9.
아나사와(穴澤和光), 우마메(馬目順一), 1974, <창녕 교동 고분군>, <<고고학잡지>> 60-4.
아나사와(穴澤和光), 우마메(馬目順一), 1985. <옥전태도의 원류 -동래 복천동 22호묘 출토 청동제칠두령에 붙여->, <<고문화담총>> 15, 구주고문화연구회.
아유가이(鮎貝房之進), 1937, <일본서기 조선지명고>, <<잡고>> 7 상, 하권.
아즈마(東潮), 1995, <변진과 가야의 철>, <<가야제국의 철>>,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아즈마(東潮), 다나카(田中俊明), 1989, <<한국의 고대유적 -백제, 가야 편->>, 중앙공론사.
안승모, 1997,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생업->, <<한국사>> 2 (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안재호, 1997, <철겸의 변화와 획기>, <<가야고고학논총>> 2,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안재호, 송계현, 1986, <고식 도질토기에 관한 약간의 고찰>, <<영남고고학>> 1.
안재홍, 1947, <6가라국 소고>, <<조선상고사감>> 상권.
안춘배, 1982, <가야 지역 선사문화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12.
안춘배, 1990, <고고학상에서 본 임나일본부설>, <<가라문화>> 8,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안춘배, 1992, <신라와 가야의 토기>,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화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안춘배, 김원경, 반용부, 1990, <가야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김해지역을 中心으로->, <<가야문화연구>> 1, 부산여자대학 가야문화연구소.
야나기다(柳田康雄), 1992. <원삼국시대에 조선반도 남부에서 보이는 일본문화>, <<한국상고사학보>> 11.
야마오(山尾幸久), 1974, <조선 삼국의 군구조직 -고호리의 미야케 연구 서설->, <<고대조선과 일본>>, 조선사연구회 편, 용계서사.
야마오(山尾幸久), 1978, <백제삼서와 일본서기>, <<조선사연구회논문집>> 15.
야마오(山尾幸久), 1978, <임나에 관한 일 시론 -사료의 검토를 중심으로->, <<고대 동아시아 사론집>> 하권, 말송보화박사 고희기념회 편, 길천홍문관.
야마오(山尾幸久), 1983, <<일본 고대 왕권 형성사론>>, 암파서점.
야마오(山尾幸久), 1989, <<고대의 일조관계>>, 각서방.
양주동, 1965,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양홍준, 1981, <고령지산동 고분에서 출토된 동물유해에 관한 고찰>, <<고령지산동고분군>>.
에가미(江上波夫), 1949, <일본민족=문화의 원류와 일본국가의 형성>, <<민족학연구>> 13-3.
에가미(江上波夫), 1967, <<기마민족국가>>, 중앙공론사.
연민수, 1990, <6세기전반 가야제국을 둘러싼 백제, 신라의 동향 -소위 ‘임나일본부‘설의 구명을 위한 서장->, <<신라문화>> 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연민수, 1990, <임나일본부론 -소위 일본부관인의 출자를 중심으로->, <<동국사학>> 24, 동국사학회.
연민수, 1994, <칠지도 명문의 재검토 -연호의 문제와 제작 연대를 중심으로->, <<연보 조선학>> 제4호.
연민수, 1997, <“일본서기”에서 본 가야와 고대일본>, <<가야와 고대일본>>, 가야사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김해시.
연민수, 1998,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오건환, 1991, <완신세 후반의 낙동강 삼각주 및 그 주변 해안의 고환경>,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오노(大野晋), 1957, <<일본어의 기원>>, 암파신서.
오오야마(大山誠一), 1980, <소위 ‘임나일본부’의 성립에 대하여> 상, 중, 하, <<고대문화>> 32-9, 11, 12, 고대학협회, 교토.
오카우치(岡內三眞), 1973. <김해 양동리 출토유물에 대하여>, <<사림>> 56-3.
오쿠다(奧田尙), 1976, <‘임나일본부’와 신라 왜전>, <<고대국가의 형성과 전개>>, 길천홍문관.
왕(王健群), 1984, <<호태왕비의 연구>>, 웅혼사.
요시다(吉田晶), 1975, <고대국가의 형성>, <<암파강좌 일본역사>>(고대2).
요코이(橫井忠直), 1889, <<회여록>> 제5집.
우메하라(梅原末治), 1946, <<조선 고대의 묘제>>, 좌우보간행회.
우재병, 2000, <4-5세기 무기, 무장체계에 보이는 가야와 왜의 교역체계 변동>, <<학산 김정학선생 송수기념논총>>, 학연문화사, 서울.
우재병, 2001, <4-5세기 가야와 왜의 무기, 무장 체제 변동과 그 배경>,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우지남, 1987, <대가야고분의 편년 -토기를 중심으로>, <<삼불 김원룡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Ⅰ(고고학편).
우케타(請田正幸), 1974, <6세기 전기의 일조관계 -임나‘일본부’를 중심으로->, <<조선사연구회논문집>> 11.
윤세영, 1974, <고신라, 가야 고분의 편년에 관하여 -고분 출토 관모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17, 백산학회.
윤세영, 1980, <한국 고대 관모고 -삼국시대 관모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9, 한국고고학회.
윤정희, 1997, <소가야토기의 성립과 전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태영, 1999, <남원지역 출토 고령계 토기>, <<고고학지>> 10,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서울.
이건무, 1992, <다호리 유적 출토 붓(筆)에 대하여>, <<고고학지>> 4,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이건무, 1992, <한국 청동의기의 연구 -이형동기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8.
이건무, 1999, <다호리 유적 출토 부채자루(扇柄)에 대하여>, <<고고학지>> 10,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서울.
이근우, 1985, <일본서기 임나관계 기사에 관하여>, <<청계사학>>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이근우, 1990, <백제본기와 임나문제>, <<가라문화>> 8,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이근우, 1994,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삼서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근우, 2001, <일본 교과서의 가야사 기술과 문제점>,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이기동, 1982, <가야제국의 흥망>, <<한국사강좌>> 1(고대편), 일조각.
이기백, 1962 <대등 고> <<동빈 김상기 교수 화갑기념 사학논총>>.
이난영, 김두철, 1999, <<한국의 마구>>,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과천.
이남규, 1995, <고대 한국의 철기 문화 -가야 철기 문화의 발전 양상->, <<철강보>> 24.
이노우에(井上秀雄), 1973, <<임나일본부와 왜>>, 동출판.
이두현, 1959, <신라오기고>,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논문집>> 9; 1979, <<한국연극사>>, 보성문화사.
이마니시(今西龍), 1919, <가라강역고>, <<사림>> 4-3, 4.
이마니시(今西龍), 1920, <가라강역고 보유>, <<사림>> 5-1.
이마니시(今西龍), 1922 <신라 진흥왕 순수관경비 고>, <<고고학잡지>> 12-11.
이마니시(今西龍), 1922, <기문반파고>, <<사림>> 7-4.
이마니시(今西龍), 1937, <<조선고사의 연구>>, 근택서점; 1970, 재판, 국서간행회.
이문기, 1981, <금석문자료를 통하여 본 신라의 육부>, <<역사교육론집>> 2.
이병도, 1937, <삼한문제의 신고찰>(6), <<진단학보>> 7.
이병도, 1959, <<한국사>> 고대편, 진단학회.
이병도, 1962, <수로왕릉고>, <<역사학보>> 17, 18합.
이병도, 1969, <김유신묘고>, <<김재원박사 회갑기념논총>>.
이병도, 1972, <소나갈질지고>, <<일본서기연구>> 6, 각서방.
이병도, 1976,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이병선, 1982, <<한국고대 국명, 지명 연구>>, 아세아문화사.
이성주, 1987, <선산 가야고분의 연구 -낙산동 고분군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령남고고학>> 4, 영남고고학회.
이성주, 1988, <삼국시대 전기 토기의 연구 -영남지방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1, 한국상고사학회.
이성주, 1991, <원삼국시대 토기의 유형, 계보, 편년, 생산체제>,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이성주, 1993, <1~3세기 가야정치체 성장>, <<한국고대사논총>> 5,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이성주, 1993, <신라, 가야사회 분립과 성장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3.
이성주, 1998, <한국의 환호 취락>, <<환호취락과 농경사회의 형성>>, 구주고고학회, 영남고고학회.
이성주, 1999,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제23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요지, 한국고고학회.
이성주, 2000, <소가야지역의 고분과 출토유물>, <<묘제와 출토유물로 본 소가야>>,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개소10주년 학술대회 요지문
이성주, 2000, <타날문토기의 전개와 도질토기 발생>, <<한국고고학보>> 42, 한국고고학회.
이성주, 김석주, 김석환, 석재은, 1992, <아라가야 중심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한국상고사학보>> 10.
이수광, 1614, <<지봉유설>>.
이순근, 1980, <신라시대 성씨취득과 그 의미>, <<한국사론>> 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이영식, 1985, <가야제국의 국가형성문제>, <<백산학보>> 32.
이영식, 1993, <‘임나일본부’ 관련 씨족의 연구>, <<선사와 고대>> 5.
이영식, 1993, <<가야제국과 임나일본부>>, 길천홍문관, 도쿄.
이영식, 1993, <6세기 중엽의 가야와 왜>, <<가야사론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이영식, 1993, <창녕 교동 11호분 출토 환두대도명>, <<송갑호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이영식, 1994, <구간사회와 가락국의 성립>, <<가야문화>> 7.
이영식, 1994, <신라와 가야제국의 전쟁과 외교>, <<신라의 대외관계연구>>, 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 15.
이영식, 1995, <백제의 가야 진출 과정>, <<한국고대사논총>> 7,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이영식, 1996, <6세기 안라국사 연구>, <<국사관논총>> 62, 국사편찬위원회.
이영식, 2000, <문헌으로 본 가락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이영식, 2001,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이용현, 2001, <5세기 동아세아 속의 가야>, <<4-5세기 동아세아 사회와 가야>>, 제7회 가야사 학술회의, 김해시.
이은창, 1970, <가야 지역 토기의 연구 -낙동강유역 출토 토기양상을 중심으로->, <<신라가야문화>> 2.
이은창, 1981, <신라, 가야토기 편년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23.
이은창, 1982, <가야고분의 편년 연구>, <<한국고고학보>> 12.
이은창, 1987, <가야토기>, <<한국사론>> 17(한국의 고고학 IV), 국사편찬위원회.
이은창, 1992, <선산 낙산동 고분의 연구 Ⅰ>, <<영남고고학>> 10.
이인숙, 1988, <가야시대 장신구 양식고 -관류와 이식, 경식을 중심으로->, <<수암 이경선박사 정년기념특집 한국학논총>> 14,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이인숙, 1992, <신라와 가야의 장신구>,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이재창, 장경호, 장충식, 1997, <<해인사>>, 빛깔있는 책들 145, 대원사.
이재현, 1995, <변, 진한사회의 발전 과정 -목곽묘의 출현 배경과 관련하여->, <<영남고고학>> 17.
이재현, 2000, <가야지역 출토 동경과 교역체계>, <<한국고대사논총>> 9,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이정희, 1985, <고대 일본의 정치적 세력 형성에 대하여 -임나일본부와의 관계 검토를 위한 일 시론으로->, <<한국전통문화연구>> 1, 효성여자대학교.
이종기, 1977, <<가락국탐사>>, 일지사.
이종욱, 1980, <신라 상고시대의 육촌과 육부>, <<진단학보>> 49.
이주헌, 1996, <함안지방의 고분문화 -말이산 34호분의 검토->, <<연보>>,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이주헌, 2000, <아라가야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이중환, 1751, <<택리지>>.
이진희, 1972, <<광개토왕비의 연구>>, 길천홍문관, 도쿄.
이한상, 1995, <5~6세기 신라의 변경지배방식>, <<한국사론>>, 3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이한상, 1995, <대가야계 이식의 분류와 편년>, <<고대연구>> 4, 한국고대학회.
이한상, 2000, <대가야권 장신구의 편년과 분포>, <<한국고대사연구>> 18.
이현혜, 1976, <삼한의 국읍과 그 성장에 대하여>, <<역사학보>> 69.
이현혜, 1984, <<삼한사회 형성과정 연구>>, 일조각.
이현혜, 1988, <4세기 가야사회의 교역체계의 변천>, <<한국고대사연구>> 1, 한국고대사연구회.
이현혜, 1990, <한국고대사회의 국가와 농민>, <<한국사 시민강좌>> 제6집, 일조각.
이현혜, 1991, <삼국 시대의 농업기술과 사회발전 -4~5세기 신라사회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8.
이현혜, 1996, <김해지역의 고대 취락과 성>, <<한국고대사논총>> 8,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이형구, 1985, <광개토왕릉비문의 위자(僞字)고>,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이형구, 박노희, 1986, <<광개토왕릉비 신연구>>, 동화출판공사.
이형기, 1997, <소가야연맹체의 성립과 그 추이>, <<민족문화논총>> 1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이형기, 2000, <대가야의 연맹구조에 대한 시론>, <<한국고대사연구>> 18, 한국고대사학회.
이홍직, 1965, <양직공도 논고 -특히 백제국사신 도경을 중심으로->, <<고대60주년 기념론문집 인문과학편>>; 1971,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이희준, 1987, <경주 황남동 제109호분의 구조 재검토>, <<삼불 김원룡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Ⅰ.
이희준, 1994, <고령양식 토기 출토 고분의 편년>, <<영남고고학>> 15.
이희준, 1995, <토기로 본 대가야의 권역과 그 변천>, <<가야사 연구 -대가야의 정치와 문화>>, 경상북도.
이희준, 1995, <황남대총의 연대>, <<영남고고학>> 17.
이희준, 1996, <경주 월성로 가-13호 적석목곽묘의 연대와 의의>, <<석오 윤용진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이희준, 1997, <토기에 의한 신라고분의 분기와 편년>, <<한국고고학보>> 36.
이희준, 1998, <김해 예안리 유적과 신라의 낙동강 서안 진출>, <<한국고고학보>> 39.
이희준, 1999, <신라의 가야 복속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영남고고학>> 25.
이희진, 1994, <가야의 소멸과정을 통해 본 가야-백제-신라관계>, <<역사학보>> 141.
이희진, 1998, <<가야정치사연구>>, 학연문화사.
이희진, 2000, <<임나와 가야>>, 동방미디어.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1995, <<가야제국의 철>>, 신서원.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1997, <<가야제국의 왕권>>, 신서원.
인제대학교 김해발전전략연구원, 2000, <<봉황대유적과 대성동고분군의 정비방안연구>>.
임병태, 1967, <신라소경고>, <<역사학보>> 35, 36합.
임효택, 1978, <낙동강 하류 가야 토광묘의 연구>, <<한국고고학보>> 4.
임효택, 1979, <낙동강 하류 예안리 석관묘 -가야 묘제의 일례->, <<부대사학>> 3.
임효택, 1982, <낙동강 하류역 가야 고분의 검토 -수혈식 장방형 석실묘->, <<한국해양대학논문집>> 17.
임효택, 1989, <부장철정고>, <<가야문화>> 2.
임효택, 1990, <낙동강 하류역 토광묘 문화>, <<영남고고학>> 7.
임효택, 1993, <낙동강 하류역 가야의 토광목관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경숙, 1999, <영남지역 출토 종장판갑에 대한 연구>, <<영남고고학>> 25, 영남고고학회, 부산.
전길희, 1961, <가야 묘제의 연구>, <<이대사원>> 3.
전덕재, 1996, <<신라 육부체제 연구>>, 일조각.
전영래, 1985, <백제 남방 경역의 변천>, <<천관우선생 환력 기념 한국사학논총>>.
전옥년, 1992, <가야의 금동제품에 관하여 -성시구 연구->, <<가야고고학논총>> 1, 가야문화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전호태, 1992, <가야 고분벽화에 관한 일고찰>, <<한국고대사논총>> 4,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정구복, 노중국, 신동하, 김태식, 권덕영 공저, 1997, <<역주삼국사기>> 4(주석편 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두희, 1979, <광개토왕릉비문 신묘년기사의 재검토>, <<역사학보>> 82.
정약용, 1811, <<강역고>>, 삼한총고.
정약용, 1833, <<강역고>> 권2 변진별고.
정인보, 1955, <광개토경평안호태왕 릉비문 석략>, <<용재 백낙준박사 환갑기념 국학논총>>, 사상계사.
정중환, 1956, <진국, 삼한 급 가라의 명칭고>, <<부산대학교 10주년 기념논문집>>.
정중환, 1962, <사로육촌과 육촌인의 출자에 대하여>, <<역사학보>> 17, 18합.
정중환, 1970, <독로국고>, <<백산학보>> 8.
정중환, 1973, <염사치 설화고 -가라 전사의 시고로서->, <<대구사학>> 7, 8합.
정중환, 1973,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삼서에 대하여>, <<아세아학보>> 10.
정중환, 2000, <<가라사연구>>, 혜안.
정징원, 신경철, 1984, <고대 한국 갑주 단상>, <<윤무병박사 회갑기념논총>>.
정징원, 안재호, 1987, <동래 복천동 38호분과 출토유물>, <<삼불 김원룡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Ⅰ(고고학편).
정징원, 홍보식, 1994, <부산지역의 고분문화 -묘제와 고배를 중심으로->, <<부대사학>> 18.
정징원, 홍보식, 1995, <창녕지역의 고분문화>, <<한국문화연구>> 7.
조영제, 1985, <수평구연호에 대한 일고찰 -서부경남 가야후기양식토기의 일양상->, <<경상사학>> 1.
조영제, 1986, <서부경남 노형토기에 대한 일고찰>, <<경상사학>> 2, 경상사학회.
조영제, 1990, <삼각투창 고배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 7.
조영제, 1992, <신라와 가야의 무기, 무구>,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조영제, 1995, <다라국의 경제적 기반>, <<가야제국의 철>>,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편, 신서원.
조영제, 1998, <고찰>, <<사천 월성리 고분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조영제, 2000, <고분군을 통해 본 다라국의 성립과 발전>, <<학산 김정학선생 송수기념논총>>, 학연문화사, 서울.
조영제, 2000, <다라국의 성립에 대한 연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조영현, 1994, <금릉 송죽리 선사유적의 개요>, <<금릉 송죽리 유적 특별전 도록>>.
조영현, 1999, <대가야 수혈식석실분내 부곽의 성격과 축조방식>, <<계명사학>> 10, 계명사학회, 대구.
조영현, 2001, <가야문화재의 보존현황과 대책>,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조인성, 박순발, 1993, <소가야권 유적 지표조사 약보>, <<가라문화>> 10,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조희승, 1994, <<가야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조희승, 김석형, 1988, <<초기조일관계사>> 상, 하, 사회과학출판사.
주보돈, 1979, <신라 중고의 지방통치 조직에 대하여> <<한국사연구>> 23.
주보돈, 1982, <가야 멸망문제에 대한 일고찰 -신라의 팽창과 관련하여->, <<경북사학>> 4.
주보돈, 1992, <단양 적성비>, <<역주 한국 고대 금석문 Ⅱ>>,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주보돈, 1995, <서설 -가야사의 새로운 정립을 위하여>, <<가야사 연구>>, 경상북도.
지건길, 안승모, 1983, <한반도 선사 시대 출토 곡류와 농구>, <<한국의 농경문화>>, 경기대학.
채상식, 1989, <합천 저포 4호분 출토 토기의 명문>, <<가야>> 2, 가야문화사.
천관우, 1976, <진, 변한제국의 위치 시론>, <<백산학보>> 20.
천관우, 1977, 1978, <복원 가야사> 상, 중, 하, <<문학과 지성>> 28, 29, 31.
천관우, 1979, <광개토왕비문 재론>, <<전해종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일조각.
천관우, 1991, <<가야사 연구>>, 일조각.
최광식, 1995, <대가야의 신앙과 제의>, <<가야사 연구>>, 경상북도.
최남선, 1947, <향악오종이란 무엇입니까>, <<조선상식문답>>.
최남선, 1948, <<조선상식 지리편 -가라>>.
최남선, 1973, <<육당 최남선 전집>> 2, 현암사.
최병헌, 1972, <신라하대 선문9산파의 성립>, <<한국사연구>> 7.
최병헌, 1978, <신라말 김해지방의 호족세력과 호족>, <<한국사론>> 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최병현, 1992, <<신라 고분 연구>>, 일지사.
최병현, 1992, <신라와 가야의 묘제>, <<한국고대사논총>> 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최병현, 1993, <신라 고분 편년의 제문제 -경주 월성로, 복천동, 대성동 고분의 상대편년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30, 한국고고학회.
최병현, 2000, <영남지역 고고학자료의 편년>, <<한국고대사논총>> 10,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최원식, 1985, <신라 하대의 해인사와 화엄종>, <<한국사연구>> 49, 7쪽.
최재석, 1987, <신라의 육촌, 육부>, <<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최정필, 1989, <농경의 기원에 관한 제문제>, <<한국상고사>>, 민음사.
최종규, 1951, <무덤에서 본 삼한사회의 구조 및 특징>,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최종규, 1982, <도질토기 성립전야와 전개>, <<한국고고학보>> 12.
최종규, 1983, <중기고분의 성격에 대한 약간의 고찰>, <<부대사학>> 7.
최종규, 1990, <미술상으로 본 한일관계 -도질토기와 수혜기->, <<고대 한일문화 교류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최종규, 1991, <무덤에서 본 삼한사회의 구조 및 특징>, <<한국고대사논총>>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최종규, 1995, <<삼한 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최종규, 1999, <소엽문 -대가야계 도질토기의 인식수단>, <<고대연구>> 7, 고대연구회, 대전.
최학근, 1959, <<국어 방언학 서설>>, 정연사.
최학근, 1988, <<한국어 계통론에 관한 연구>>, 명문당.
최헌섭, 1992, <함안 도항리 선사유적>, <<한국상고사학보>> 10.
추연식, 1987, <함안 도항리 가야고분군 발굴조사 예보>, <<영남고고학>> 3.
편찬자 미상, 조선 후기, <<동사략>>.
하마타(濱田耕策), 1974, <고구려 광개토왕비문의 연구 -비문의 구조와 사신의 필법을 중심으로->, <<고대조선과 일본>>, 조선사연구회 편, 용계서사.
한(伴信友), 1835, <<중외경위전>>.
한병삼, 1984, <성주출토 일괄 와질토기>, <<윤무병박사 회갑기념논총>>.
한진서, 1823 <<해동역사, 속>> 권3 지리고3 삼한 변진 조.
허만성, 1989, <일본서기 계체 6년 조의 임나 4현 할양 기사에 대한 일 고찰>, <<성심외국어전문대학 논문집>> 8.
홍만종, 1705, <<동국역대총목>>.
홍보식, 1993, <영남지역 횡구식, 횡혈식 석실묘의 형식분류와 편년>, <<영남고고학>> 12.
홍보식, 1999, <고고학으로 본 금관가야 -성립, 위계, 권역->,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제2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도록]
경상남도, 1999, <<남강유역 문화유적 발굴 도록>>, 창원.
경상북도, 1998, <<가야문화 도록>>.
계명대학교 박물관, 1988, <<개관10주년기념 성주 성산동 고분 특별전 도록>>.
계명대학교 박물관, 1994, <<금릉 송죽리 유적 특별전 도록>>.
국립경주박물관, 1987, <<국은 이양선 수집문화재>>.
국립경주박물관, 1996,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1997, <<신라 토우 -신라인의 삶, 그 영원한 현재->>.
국립광주박물관, 1998, <<영산강의 고대문화>>.
국립김해박물관, 1998, <<국립김해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1999,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2000, <<고고학이 찾은 선사와 가야>>.
국립대구박물관, 1994,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2000, <<압독 사람들의 삶과 죽음>>.
국립대구박물관, 2001, <<맥카가트 박사의 대구사랑 문화재사랑>>.
국립부여박물관, 1995, <<박만식 교수 기증 백제토기>>.
국립전주박물관, 2000, <<남원의 역사문물>>.
국립중앙박물관, 1992, <<한국의 청동기문화>>.
국립중앙박물관, 1993, <<한국의 선, 원사토기>>.
국립중앙박물관, 1997,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1997, <<한국 고대의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1998, <<고고유물로 본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백제>>.
국립중앙박물관, 2000, <<겨레와 함께 한 쌀>>.
국립중앙박물관, 2001, <<낙랑>>.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1992, <<한국의 청동기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부산시립박물관, 1991, <<신비의 고대왕국 가야 특별전>>.
국립전주박물관, 1995, <<바다와 제사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국립청주박물관, 1997, <<철의 역사>>.
국립청주박물관, 청주인쇄출판박람회 조직위원회, 2000,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다케타(武田幸男) 편, 1988, <<광개토왕비 원석탁본집성>>, 동경대학 출판회.
동경국립박물관, 1992, <<KAYA>>.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6, <<부산의 역사와 복천동 고분군>>.
부산복천박물관, 2001, <<고대 전사 -고대 전사와 무기->>.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6, <<선사와 고대의 문화>>.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0, <<고구려 한강 유역의 고구려 요새>>.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1, <<2000년전 우리 이웃>>.
신라대학교 박물관, 2000, <<신라대학교 박물관>>.
예술의 전당, 울산광역시, 2000, <<신화, 그 영원한 생명의 노래>>.
조선총독부, 1916, <<조선고적도보>> 3.
창원대학교 박물관, <<가야, 신라의 역사와 문화 발굴유물 특별전>>.
함안문화원, 1999, <<아라가야의 출토유물>>.
호암미술관, 1982, <<호암미술관 명품 도록>>.
[발굴 및 지표조사 보고서]
강인구, 1998, <<창녕 계성리 계남 북5호분>>, 청계사학 14집 별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경남고고학연구소, 1999, <사천 이금동 유적>, <<영남고고학>> 24, 영남고고학회.
경남고고학연구소, 1999, <진주 옥방1지구 유적>, <<영남고고학>> 24, 영남고고학회.
경남고고학연구소, 대한주택공사, 2000, <<함안 도항리 택지개발지역 시굴 및 발굴조사>>.
경남고고학연구소, 부산대학교, 동아대학교, 1999, <<사천 늑도 유적>>.
경남고고학연구소, 진주시, 1999, <<우수리 소가야 묘군>>.
경남고고학연구소, 한국도로공사, 2000, <<고성 두호리 유적>>.
경남고고학연구소, 함안군, 2000, <<도항리, 말산리 유적 -도면->>.
경남고고학연구소, 함안군, 2000, <<도항리, 말산리 유적 -도판->>.
경남고고학연구소, 함안군, 2000, <<도항리, 말산리 유적 -본문->>.
경남대학교 박물관, 1994, <<고성 연당리 고분군>>.
경남대학교 박물관, 1995, <<삼천포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경북대학교 박물관, 1966, <<인동, 불로동, 고령 고아 고분 발굴조사보고>>.
경북대학교 박물관, 1981, <<의성 장림동 고분군>>.
경북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저포리 D지구 유적>>.
경북대학교 박물관, 1989,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보고서 -대구직할시, 달성군->>.
경북대학교 박물관, 경상북도, 1980, <<경상북도 문화재 지표조사보고서(Ⅰ) -대구, 달성, 경산, 칠곡 지구->>.
경북대학교 박물관, 대구직할시, 1989, <<대구 복현동 고분군Ⅰ>>.
경북대학교 박물관, 대구직할시, 1990, <<대구의 문화유적 -선사, 고대->>.
경북대학교 박물관, 대구직할시, 1993, <<대구 팔달동 유적>>.
경상남도, 1977, <<창녕 계성 고분군 발굴조사보고>>.
경상남도, 1981, <<김해 수가리 패총 발굴조사보고>>.
경상남도, 1992, <<남강댐 수몰지구 지표조사보고서>>.
경상남도, 1999, <<남강 선사문화 세미나 요지>>.
경상남도, 남강유적 발굴조사단, 1998, <<남강 선사 유적>>.
경상남도, 인제대학교, 2000, <<진주 남강 유적과 고대 일본>>.
경상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중반계 분묘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88, <<합천 옥전 고분군 Ⅰ -목곽묘->>.
경상대학교 박물관, 1989, <<진주 가좌동 고분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0, <<가야문화권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합천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0, <<하동 고이리 유적>>.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0, <<합천 옥전 고분군 Ⅱ -M3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2, <<합천 옥전 고분군 Ⅲ -M1, M2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3, <<합천 옥전 고분군 Ⅳ -M4, M6, M7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3, <<합천 옥전 고분군 Ⅴ -M10, M11, M18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4, <<의령 예둔리 분묘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4, <<의령 중동리 고분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4, <<함안 황사리 분묘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7, <<합천 옥전고분군 Ⅵ -23, 28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8, <<합천 옥전고분군 Ⅶ -12, 20, 24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9, <<합천 옥전 고분군 Ⅷ -5, 7, 35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2000, <<의령 운곡리 고분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2000, <<합천 옥전 고분군 Ⅸ -67-A,B, 73~76호분->>.
경상대학교 박물관, 2000, <의령 경산리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2000년 6월 5일).
경상대학교 박물관, 경남개발공사, 1998, <<사천 월성리 고분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경상남도, 1999, <<진주 대평리 옥방 2지구 선사유적>>.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박물관, 1986, <<가야 문화유적 보존 및 자연자원 개발계획>>.
경상북도, 영남대학교 박물관, 1987, <<경상북도 문화재 지표조사보고서Ⅳ -상주시, 상주군, 점촌시, 선산군, 문경군, 예천군->>.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고령군, 2000, <<고령 운수 봉평리 지석묘>>.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고령군, 2000, <<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본문Ⅱ: 횡혈(구)식석실묘->>.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고령군, 2000, <<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본문I : 수혈식석곽묘->>.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고령군, 2000, <<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사진->>.
경성대학교 박물관, 1989, <<김해 칠산동 고분군 Ⅰ>>.
경성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대성동 고분군 Ⅰ>>.
경성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대성동 고분군 Ⅱ>>.
경성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화목동 유적>>.
계명대학교 박물관, 1981, <<고령 지산동 고분군>>.
계명대학교 박물관, 1984,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 실측조사보고>>.
계명대학교 박물관, 1995, <<고령 본관동 고분군>>.
계명대학교 박물관, 고령군, 경상북도, 문화재관리국, 1998, <<문화유적 분포지도 -고령군->>.
고령군, 1979, <<대가야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고령군, 계명대학교 박물관, 1985,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보고 -고령군->>.
국립경주박물관, 1996,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경북대학교 박물관, 경주시, 1990, <<경주시 월성로 고분군>>.
국립대구박물관, 고령군, 1996, <<주산성 지표조사보고서>>.
국립박물관, 1948, <<호우총과 은령총>>.
국립박물관, 1962, <<의성 탑리 고분>>.
국립박물관, 1967, <<한국 지석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1992, <<고성 패총>>.
국립중앙박물관, 1998, <<동래 낙민동 패총>>.
국립중앙박물관, 경상남도, 2001, <<창원 다호리 유적>>.
국립진주박물관, 1987, <<합천 반계제 고분군>>.
국립진주박물관, 고성군, 1990, <<고성 율대리 2호분>>.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4, <<창원 가음정동 유적>>.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6, <<함안 암각화 고분>>.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7, <<함안 도항리 고분군 Ⅰ>>.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8, <<함안 성산산성>>.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9, <<창원 상남 지석묘군>>.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9, <<함안 도항리 고분군 Ⅱ>>.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9, <함안 오곡리 가마실 유적>, <<연보>>.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 <<울산 조일리 고분군>>.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 <<창원 봉림사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 <<함안 도항리 고분군 Ⅲ>>.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경남대학교 박물관, 1994, <<소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5, <<아라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 -함안군의 선사, 고대 유적->>.
군산대학교 박물관, 1998, <<장수 삼고리 고분군>>.
김동호, 1972, <부산 칠산동 제1호고분 발굴조사보고>, <<문화재>> 6.
김정완, 1987, <합천 송림리 반계제 유적 발굴조사개보>, <<영남고고학>> 3.
김해시, 1998, <<김해의 고분문화>>.
김해시, 경성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구지로 분묘군>>.
김해시, 경성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대성동 고분군 주변지역 시굴조사>>.
김형곤, 1990, <함안 일원 고분출토 토기류>, <<가야통신>> 19, 20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박물관, 1999, <<사천 송지리 옛 무덤떼>>.
대구대학교 박물관, 1992, <<성주 독용산성 지표조사보고서>>.
대구대학교 박물관, 1994, <<성주댐 수몰지구 지표조사보고서>>.
대구대학교 박물관, 성주군, 1993, <<성주 용신농공단지내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대구대학교 박물관, 성주군, 2000, <<성주 가야산성 지표조사보고서>>.
동아대학교 박물관, 1970, <<동래 복천동 제1호고분 발굴조사보고>>.
동아대학교 박물관, 1972, <<함양 상백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
동아대학교 박물관, 1977, <<고성 송천리 솔섬 석관묘>>.
동아대학교 박물관, 1978, <<사천 예수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1, <<김해 부원동 유적>>.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2, <<합천 삼가 고분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4, <<가야문화권 정밀지표조서 보고서 -경남 고성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4, <<상노대도 -부 동래 복천동 고분, 고성 동외동 패총>>.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5,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보고 -경남 창녕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6,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보고서 -울산시, 울주군, 양산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6, <<합천 봉계리 고분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창리 고분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89, <<합천 봉계리 유적>>.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0, <<의령 석곡리 지석묘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1, <<양산 금조총>>.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2, <<창녕 교동 고분군>>.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5, <<거제시 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8, <<거제 아주동 유적>>.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9, <<김해 구산동 유적>>.
동아대학교 박물관, 2000, <<고성 송학동 고분군 현장설명회 자료>>.
동아대학교 박물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3, <<금관가야권 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
동아대학교 박물관, 김해시, 1998, <<문화유적 분포지도 -김해시->>.
동아대학교 박물관, 한국토지공사, 1996, <<진해 용원 유적 -도판, 부록->>.
동아대학교 박물관, 한국토지공사, 1996, <<진해 용원 유적 -본문->>.
동아대학교 박물관, 한국토지공사, 2000, <<양산 물금 유적>>.
동의대학교 박물관, 1987, <<거창, 합천 큰돌 무덤>>.
동의대학교 박물관, 1988, <<대야리 주거지Ⅰ>>.
동의대학교 박물관, 1989, <<늑도 주거지>>.
동의대학교 박물관, 1996, <<창원 도계동 고분군>>.
동의대학교 박물관, 1999, <<산청 사월리 유적>>.
동의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양동리 고분문화>>.
문화재관리국, 1974, <<안동 수몰지구 유적조사보고>>.
문화재관리국, 1974, <안동군 마동 고분 발굴조사>, <<1973년도 안동수몰지구 유적발굴보고>>.
문화재관리국, 1974, <<천마총>>.
문화재관리국, 1976, <<경주 황남동 98호고분(남분) 발굴약보고>>.
문화재관리국, 1976, <<마산 외동 성산패총 발굴조사보고>>.
문화재연구소, 1977, <<문화유적 총람>>.
문화재연구소, 1985, <<황남대총>>.
문화재연구소, 1989, <<김해 양동리 고분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연구소, 1991, <<남원 건지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연구소, 1994, <<진양 대평리 유적>>.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ocp.go.kr/IRS/docs/-문화재탐방-경상북도-상주-고령가야국태조왕비릉).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ocp.go.kr/IRS/docs/-문화재탐방-충청북도-진천-길상사)
부경대학교 박물관, 1998, <<김해 대성동 소성 유적>>.
부경대학교 박물관, 1998, <<산청 사월리 환호 유적>>.
부경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 구산동 고분>>.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7, <<동래 복천동 고분군 -제5차 발굴조사 99~109호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7, <<범방 패총 Ⅱ>>.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7, <<부산의 삼한시대 유적과 유물 Ⅰ -동래 패총->>.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7, <<부산의 삼한시대 유적과 유물 Ⅱ>>.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9, <김해 화정지구 1, 2유적>>, <<영남고고학>> 24, 영남고고학회.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6, <<부산의 역사와 복천동고분군>>.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7, <<부산의 선사유적과 유물>>.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8, <<동래 복천동 93, 95호분>>.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경상남도, 1998, <<진주 귀곡동 대촌 유적>>.
부산대학교 박물관, 1973, <<오륜대 고분군 발굴조사보고>>.
부산대학교 박물관, 1977, <<부산시 문화재 지표조사보고서>>.
부산대학교 박물관, 1979, <<부산 화명동 고분군>>.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2, <<동래 복천동 고분군 Ⅰ -도면, 도판->>.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3, <<동래 복천동 고분군 Ⅰ -본문->>.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5, <<김해 예안리 고분군 Ⅰ>>.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5, <<울주 양동 유적 조사보고>>.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6, <<함양 백천리 1호분>>.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저포리 E지구 유적>>.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8,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 보고서 -사천군, 하동군->>
부산대학교 박물관, 1988, <<부산 노포동 유적>>.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0, <<부산 동래 복천동 고분군 Ⅱ -본문->>.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2, <<김해 례안리 고분군 Ⅱ -도판->>.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3, <<김해 예안리 고분군 Ⅱ -본문->>.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6, <<동래 복천동 고분군 Ⅲ>>.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7, <김해 대청유적>, <<영남고고학>> 21, 영남고고학회, 부산.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8, <<김해 봉황대 유적>>, 부산.
부산대학교 박물관, 대진고속도로유적 합동발굴조사단, 1998, <<함양 백천 유적>>, 부산.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82, <<산청 중촌리 고분군>>.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84. <<창원 삼동동 옹관묘>>.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85, <<합천댐 수몰지구 지표조사보고서>>.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88, <<거창 임불리 천덕사지 -부 합천 계산리 고분군->>.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92, <<가덕도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 1993, <<산청군 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83, <<부산 덕천동 고분>>.
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85, <<부산 노포동 고분>>.
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88, <<부산 노포동 유적 Ⅱ>>.
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90, <<부산 두구동 임석유적>>.
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93, <<생곡동 가달 고분군>>.
부산직할시립박물관, 부산직할시 동래교육구청, 1990, <<동래 복천동 내성 유적>>.
선문대학교, 경상남도, 2001, <<진주 대평리 옥방 5지구 선사 유적>>.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1989, <<김해 퇴래리 유적>>.
성주군,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00, <<문화유적 분포지도 -성주군->>.
신라대학교, 1997, <산청 소남리 유적>, <<영남고고학>> 20, 영남고고학회.
아나사와(穴澤和光), 우마메(馬目順一), 1974, <창녕 교동 고분군>, <<고고학잡지>> 60-4.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 1996, <<안라국 고성>>.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 1997, <<함안 고인돌>>.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 함안군, 2000, <<문화유적 분포지도 -함안군->>.
안재호, 전옥년, 김두철, 우순희, 1987, <합천 저포리 E지구 발굴조사개보>, <<영남고고학>> 3.
영남대학교 박물관, 1968, <<창녕 계남리 고분>>.
영남대학교 박물관, 1975, <<황남동 고분 발굴조사개보>>.
영남대학교 박물관, 1978, <<구암동 고분 발굴조사보고>>.
영남대학교 박물관, 1985, <<조영동 발굴조사보고>>.
영남대학교 박물관, 1986, <<경산 지표조사보고>>.
영남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저포 고분 A 발굴조사보고>>.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1, <<경산 북사리 고분군>>.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1, <<경산 임당동 고분군 Ⅰ>>.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1, <<창녕 계성리 고분군 -계남 1, 4호분->>.
영남대학교 박물관, 대구광역시 도시개발공사, 1999, <<시지의 문화유적 Ⅰ~Ⅷ>>.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토지개발공사 경북지사, 1993, <<임당동 유적 시굴조사보고서>>.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1996, <<고령 쾌빈동 고분군>>.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고령군, 1998, <<고령 지산동 30호분>>.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의령군, 1997, <<의령 천곡리 고분군Ⅰ>>.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의령군, 1997, <<의령 천곡리 고분군Ⅱ>>.
울산대학교 박물관, 2000, <<경주 봉길 고분군>>.
울산대학교 박물관,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2000, <<울산 달천 유적>>.
의령문화원, 경상대학교 박물관, 1994, <<의령의 선사 가야유적>>.
이건무, 1988, <의창 다호리 유적 발굴조사>, <<영남고고학>> 5.
이건무, 이영훈, 윤광진, 신대곤, 1989, <의창 다호리 유적 발굴진전보고(Ⅰ)>, <<고고학지>> 1.
이건무, 윤광진, 신대곤, 김두철, 1991, <창원 다호리 유적 발굴진전보고(Ⅱ)>, <<고고학지>> 3,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이건무, 윤광진, 신대곤, 정성희, 1993, <창원 다호리 유적 발굴진전보고(Ⅲ)>, <<고고학지>> 5,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이건무, 송의정, 정성희, 한봉규, 1995, <창원 다호리 유적 발굴진전보고(Ⅳ)>, <<고고학지>> 7,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이은창, 1992, <선산 낙산동 고분의 연구 Ⅰ>, <<영남고고학>> 10.
이화여대 박물관, 1975, <<조탑동 고분 발굴조사보고>>.
이화여대 박물관, 1977, <<중가구동 고분 발굴조사보고>>.
임효택, 1991, <김해 양동리 제162호 토광목곽묘 발굴조사개요>, 발굴지도위원회 현장보고자료.
임효택, 곽동철, 1996, <김해 유하리 전 왕릉>, <<동의사학>> 9, 10합, 동의대학교 사학회.
전북대학교 박물관, 1989, <<두락리>>.
전영래, 1974, <임실 금성리 석곽묘군>, <<전북유적조사보고>> 제3집, 전라북도박물관.
전영래, 1981, <<남원 초촌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전주시립박물관.
전영래, 1983, <<남원 월산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시청, 익산지방 국토관리청, 2000, <<순천 죽내리 유적>>.
조선총독부, 1920, <<경상북도 선산군, 달성군, 고령군, 성주군, 김천군, 경상남도 함안군, 창녕군 조사보고>>(대정6년도 고적조사보고).
조선총독부, 1922, <<경상북도, 경상남도 고분 조사보고>>(대정7년도 고적조사보고 제1책).
조선총독부, 1923, <<김해 패총 발굴조사보고>>(대정9년도 고적조사보고 제1책).
조선총독부, 1924, <<경주 금관총과 그 유보>>.
조선총독부, 1924, <<대정11년도 고적조사보고>> 제1책.
조선총독부, 1927, <<양산 부부총과 그 유물>>, 고적조사특별보고 제3책.
조선총독부, 1931, <<경상북도 달서군 달서면 고분 조사보고>>(대정12년도 고적조사보고 제1책).
조선총독부, 1932, <<경주 금령총, 식리총 발굴조사보고>>.
조선총독부, 1937, <<경주 황남리 제109분, 황오리 제14호분 조사보고>>.
조인성, 박순발, 1993, <소가야권 유적 지표조사 약보 -고성군 일대의 청동기시대 ~ 가야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가라문화>> 10,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창원대학교 박물관, 1987, <<창원 도계동고분군Ⅰ>>.
창원대학교 박물관, 1988, <<합천 저포리 B 고분군>>.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0, <<마산 현동 유적>>.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2, <<함안 아라가야의 고분군(Ⅰ)>>.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7, <<창원의 선사, 고대 취락>>.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7, <창원 남산 환호 취락 유적>, <<영남고고학>> 21, 영남고고학회.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9, <<울산 일산동 고분군>>.
창원대학교 박물관, 경상남도, 진해시, 1999, <<진해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창원대학교 박물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5, <<아라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 -함안군의 선사, 고대 유적->>.
창원대학교 박물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6, <<대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거창군의 문화유적->>.
창원대학교 박물관, 양산시, 1996, <<양산시 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
창원대학교 박물관, 창원시, 1996, <<창원 남산유적 시굴조사보고>>.
창원대학교 박물관, 한국도로공사, 1995, <<함안 오곡리 유적>>.
창원대학교 박물관, 한국도로공사, 1999,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예정지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
창원대학교 박물관, 한국도로공사, 2000, <<함안 가마실 유적>>.
창원시,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5, <<창원시 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서>>.
최헌섭, 1992, <함안 도항리 선사유적>, <<한국상고사학보>> 10.
한국도로공사, 창원대학교 박물관, 1995, <<함안 오곡리 유적>>.
한국토지공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 <<경산 임당 유적 Ⅴ -도면, 도판->>.
한병삼, 1984, <성주 출토 일괄 와질토기>, <<윤무병박사 회갑기념논총>>.
한양대학교 박물관, 경상남도, 1999, <<진주 내촌리 고분군 유적>>, 서울.
한양대학교 박물관, 경상남도, 1999, <<진주 상촌리 2호 지석묘 및 선사유적>>, 서울.
한영희, 김정완, 1985, <거창 말흘리 고분>, <<국립박물관 고적조사보고>> 제17책, 국립중앙박물관.
한영희, 이상수, 1990, <창녕 교동 11호분 출토 유명원두대도>, <<고고학지>> 2, 한국고고미술연구소.
합천문화원,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0, <합천군 문화유적의 조사연구>, <<합천지역의 역사와 문화>>.
호암미술관, 2000, <<창녕 계성 고분군>>(상)(하), 용인.
홍진근, 1992, <고령 반운리 와질토기 유적>, <<영남고고학>> 10.
효성여자대학교 박물관, 1982, <<신라 가야 토기요지>>.
효성여자대학교 박물관, 1987, <<합천 저포리 C, D지구 유적>>.
[홍익대 김태식 교수 홈페이지 자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