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가면/박인환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시 읽기> 세월이 가면/박인환
1955에 쓴 것으로 알려진 박인환의 시 <세월이 가면>은 우리들 세대에게는 박인희의 노래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이 시를 읽다가 무심코 노래 멜로디를 읊조리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이 노래 가사가 시였어?’하고 놀랄지도 모른다.
흔히 박인환의 시를 평하면서 ‘한국전쟁을 통해 겪은 비운과 시대적 불안감에서 비롯되는 삶의 중압감이 시인으로 하여금 체념과 무력감에 젖게 하며, 그의 시는 쉽사리 감상에 빠지고 만다’고들 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이 시 역시 그 범주에서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단, 이 시를 읽으며 구태여 한국전쟁의 아픔을 떠올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저 사랑과 이별 그 뒤에 남는 추억 정도로 이해하면 충분하지 않을까.
한 때 ‘그 사람’과 사랑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몰라도 그 사람은 떠나고 없다. 남아 있는 것은 그와 나눴던 사랑의 흔적들 – 추억뿐이다. 시 속 화자는 바로 그 추억에 잠겨 있는 것이다. ‘그 사람 이름은 잊었’는데 ‘그 눈동자 입술은 / 내 가슴에 있’단다. 사랑했던 사람 이름은 잊고 눈동자와 입술만 가슴에 남아 있다고? 그럴 수가 있을까 – 가 아니라 가슴에 남은 기억, 추억이 그만큼 또렷하다는 것이 아닐까. 자신을 바라보던 사랑의 눈빛 그리고 입맞춤을 했던 입술의 감촉이 그만큼 강렬하게 남아 있다는 의미가 된다.
‘바람이 불고 / 비가 올 때’를 굳이 고난의 시간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그저 시시때때로 혹은 자주 정도면 충분하다. 그만큼 수시로 그와 달콤한 사랑을 나누었던 ‘저 유리창 밖 /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는 것이다.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이라고? 그렇다 사랑하던 사람은 가버렸지만, (사랑을 나누었던) 옛날(의 추억)은 남아 있을 것이다. 바로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리고 그 공원의 ‘벤치’이다. 그 사람이 가버렸으니 벤치 위에는 나뭇잎이 떨어져 흙이 되고 다시 나뭇잎이 그것을 덮어버렸다. 그만큼 세월이 흘렀다. 그렇게 ‘우리들 사랑이 / 사라진다 해도’ 그의 눈빛, 입술의 감촉은 아직도 ‘내 가슴에 있’다. 그것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다. 사랑이 없으니 가슴마저 서늘해진 것이리라.
어느 평자가 말한 것처럼 시 속 화자는 ‘아름다웠던 시절에 대한 동경과 그리움을 통해’ 분명 ‘상실의 슬픔과 고뇌를 밟으면서 방황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시인의 손길을 거치면 가버린 사랑에 대한 추억 혹은 슬픔이 이렇게 아름다워진다. 시인이니 그렇다.
―http://blog.naver.com/lby56(이병렬 교수의 블로그, 현산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