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악플달면 쩌리쩌려버려 흥미돋 영화계 투자가 위기라는 말에 영화를 잘 만들면 됐다는 건 핀트가 어긋났다.twt
아마레티 추천 0 조회 4,696 23.03.06 19:51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3.03.06 20:04

    첫댓글 애초에 영화값이 이정도로 안올랐으면 사람들이 영화 엄청나게 따져가면서 안봤음 다양하게 보게하고 싶으면 우선 표값부터 정상화시키길..애초에 관객 반타작난 이유가 뭐였는데ㅜㅜ예전엔 개봉작 거의 다 보러다녔는데 요즘은 입소문난거 아니면 안보게돼 ott도 잘나오고..


    사람들 취향 이렇게 단일화되게 만든것도 영화계탓임..영화도 접근성 좋게해서 많이보게해야 취향도 생기지않겠냐고 이러니까 관객들도 지루하지만 보장된 재미만을 추구하지

  • 23.03.06 20:01

    2 나도 딱 이렇게 생각해 영화값 비싸니까 사람들이 시도를 안 함-> 투자자들도 안 될 영화에 투자를 안 함
    나만 해도 영화관 가서 영화 본 지 너무 오래됐다

  • 23.03.06 20:05

    3 영화 퀄리티 따지게 된 이유가 비싸져서잖아 옛날엔 걍 아무거나 봤다고...ㅠㅠㅠ

  • 23.03.06 20:10

    44 검사외전같이 억지 천만 영화 만들려고 황금 시간대 독과점 한 것 부터가…. 글러 먹었음

  • 23.03.06 20:00

    미러링의 비유로서 알탕 영화 탓 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라도 업종 전문이신 분이 나서서 지적해주셔서 감사하다
    보수적인 투자만 늘리면 소수로 대변되는 여성 영화인들의 자리도 위태로워질거 같아.. ㅜ
    다양한 영화를 직접 봐주는 우리의 역할도 생각해봐야할듯

  • 23.03.06 20:00

    그렇구만… 안타까운 현실이긴 한데 그럼 소비자가 뭘 어떻게 해줘야 하지? 물가 이만큼 오른 상황에서 비싸고 재미없는 영화를 보긴 싫어 전문가들 요지는 다양한 영화를 봐달라는 건가? 어떻게 살리면 좋을지도 같이 의견 제시해주면 고민해볼 거 같음 ㅠㅠ

  • 23.03.06 20:03

    아니 그래도 재밌는 몇몇 영화들은 입소문나고 잘됐잖아 일반 소비자들이 영화계에 무슨 애정이 그리 크다고 그저그런영화까지 15000원-16000원 내가며 봐야함 ㅜㅜ 영화계에서 큰일났다 싶으면 마케팅을 바꿔봐야지 원래 무슨 시장이든 소비자 시류 못 읽으면 뒤쳐지는거 당연한거아님?

  • 23.03.06 20:06

    나도 그러길래 잘하지 그랬냐는 핀트가 어긋난 반응 같다고 생각했는데 전반적으로 공감가 근데 또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팝콘무비의 시대라며 시네마라 부를 수 있는 것들이 사라져간다고 비판과 염려를 하는거보면 비단 한국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판도가 변하는 중인건가봐 그나마 헐리우드는 워낙 자본의 규모가 크고 관객도 내수와 수출이 어느정도 되니까 다양한 이야기를 다룬 소위 팝콘무비가 아닌 영화들의 사양길도 완만하겠지만 한국은...ㅠ

  • 23.03.06 20:07

    경기 침체와 더불어 예전보다 더 보수적인 태도로 BEP 달성이 보장된 영화에만 투자하려는 성향과 더불어 영화판 고인물 문화도 한몫하는 거 같음 특히 의사결정권이 있는 고인물 아저씨들~~~

  • 23.03.06 20:07

    영화값 8000원 시대 일땐 이런 고민 안 했는데, 평일 저녁에 14000원인 거 보고 진짜 깜짝 놀람 진짜 한국 영화 시장 가라앉고 있어 근데 이걸 소비자 탓하기도 애매하고 ㅠ

  • 23.03.06 20:12

    범죄도시같은 영화만 주구장창 나올 생각하니 암담하다 진짜

  • 23.03.06 20:17

    범도2는 천만 넘었고 지금 상영중인 다음 소희는 아직 10만을 못넘었어.. 솔직히 알탕여부가 흥행 가르는 건 아님

  • 23.03.06 20:22

    옛날에는 한국영화도 할일없으면 보고오고 그랬는데 요즘은 특별관상영에 최적화된 대작이라고해야되나..? 그런영화들만 보게되는것 같아 한국영화가 어떻게해야 흥하려나..나는 티켓값을 내리는게 방법인것 같은뎀 그럴일은 없을것 같고 안타깝다 ㅠㅜ 물가만 고공상승중이니.. 더욱더 악순환의 연속인듯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꼭 sf 아니더라도 영화 제작비는 몇십억 들어서 투자 안받으면 만들기 힘들지 개런티도 개런티지만 영화 만드는것 자체가 돈 많이 들어ㅠ

  • 23.03.06 20:44

    범죄도시 공조 생각보다 씨지 범벅이여요.... 일반영화도 생각보다 씨지는 많이 들어가.. 씨지값 비쌈.. 글고 제작비가 낮으면 퀄리티도 낮아질 수밖에 없어ㅠ 이건 찐임..

  • 23.03.06 20:55

    일본이 딱 저짝나서 실사화만 오질라게 찍어내고 있잖아
    최소한 평타는 칠 수 있는거만 투자하고 나머지는 리스크 있다고 투자 꺼려해서
    일본 역대 영화 순위 1-10위 대부분이 드라마 영화판, 애니 극장판인데
    이대로 가면 한국도 오징어게임 극장판, 범죄도시 특별편 이런거만 나오게 될듯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