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가 교재 목차 | |||||
I. 집합과 자연수 |
1. 집합 |
1 |
(1) 집합의 뜻과 표현 |
(1) 집합이란 무엇인가? |
1 |
(2) 집합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
2 | ||||
(3) 집합은 원소의 개수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
3 | ||||
2 |
(2)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
(1) 부분집합이란 무엇인가? |
4 | ||
3 |
(3) 집합의 연산 |
(1) 교집합이란 무엇인가? |
5 | ||
(2) 합집합이란 무엇인가? |
6 | ||||
(3) 합집합과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
7 | ||||
(4) 여집합, 차집합이란 무엇인가? |
8 | ||||
2.자연수의 성질 |
4 |
(1) 소인수분해 |
(1) 소수란 무엇인가? |
9 | |
(2) 거듭제곱이란 무엇인가? |
10 | ||||
(3) 소인수분해는 어떻게 하는가? |
11 | ||||
5 |
(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1) 최대공약수란 무엇인가? |
12 | ||
(2)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어떻게 구하는가? |
13 | ||||
(3) 최소공배수란 무엇인가? |
14 | ||||
(4)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최소공배수를 어떻게 구하는가? |
15 | ||||
3. 십진법과 이진법 |
6 |
(1) 십진법 |
(1) 십진법이란 무엇인가? |
16 | |
7 |
(2) 이진법 |
(1) 이진법이란 무엇인가? |
17 | ||
(2) 이진법으로 나타낸 수의 덧셈,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18 | ||||
|
|
|
|
|
|
II. 정수와 유리수 |
1. 정수와 유리수 |
8 |
(1) 정수와 유리수의 뜻 |
(1) 양수, 음수는 어떤 수인가? |
19 |
(2) 정수는 어떤 수인가? |
20 | ||||
(3) 유리수는 어떤 수인가? |
21 | ||||
9 |
(2) 수의 대소 관계 |
(1) 수의 절대값이란 무엇인가? |
22 | ||
(2) 수의 대소 관계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23 | ||||
2. 유리수의 계산 |
10 |
(1) 덧셈 |
(1) 유리수의 덧셈은 어떻게 하는가? |
24 | |
(2) 덧셈의 교환법칙, 결합법칙이란 무엇인가? |
25 | ||||
11 |
(2) 뺄셈 |
(1) 유리수의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26 | ||
12 |
(3) 곱셈 |
(1) 유리수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가? |
27 | ||
(2) 곱셈의 교환법칙, 결합법칙이란 무엇인가? |
28 | ||||
13 |
(4) 나눗셈 |
(1) 유리수의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가? |
29 | ||
(2) 역수란 무엇인가? 또, 역수를 이용한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가? |
20 | ||||
(3)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혼합된 계산은 어떻게 하는가? |
31 | ||||
(4) 분배법칙이란 무엇인가? |
32 | ||||
|
|
|
|
|
|
III. 문자와 식 |
1. 문자와 식 |
14 |
(1) 문자의 사용 |
(1) 문자를 사용하여 식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
33 |
(2) 문자를 사용한 식을 어떻게 간단히 나타내는가? |
34 | ||||
15 |
(2) 식의 값 |
(1) 식의 값은 어떻게 구하는가? |
35 | ||
16 |
(3) 일차식의 계산 |
(1) 항이란 무엇인가? 또, 다항식이란 무엇인가? |
36 | ||
(2) 일차식과 수의 곱셈,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가? |
37 | ||||
(3)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38 | ||||
2. 등식 |
17 |
(1) 방정식과 그 해 |
(1) 등식이란 무엇인가? |
39 | |
(2) 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또, 그 해란 무엇인가? |
40 | ||||
18 |
(2) 등식의 성질 |
(1) 등식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41 | ||
(2)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어떻게 푸는가? |
42 | ||||
3. 일차방정식 |
19 |
(1) 일차방정식의 풀이 |
(1) 일차방정식이란 무엇인가? |
43 | |
(2) 일차방정식은 어떻게 푸는가? |
44 | ||||
20 |
(2) 일차방정식의 활용 |
(1) 일차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45 | ||
|
|
|
|
|
|
IV. 함 수 |
1. 함수 |
21 |
(1) 정비례와 반비례 |
(1) 정비례란 무엇인가? |
46 |
(2) 반비례란 무엇인가? |
47 | ||||
22 |
(2) 함수의 뜻 |
(1) 변수란 무엇인가? |
48 | ||
(2) 함수란 무엇인가? |
49 | ||||
2. 함수의 그래프 |
23 |
(1) 순서쌍과 좌표 |
(1) 수직선 위의 점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
50 | |
(2) 좌표평면 위의 점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
51 | ||||
24 |
(2) 함수의 그래프 |
(1) 함수의 그래프란 무엇인가? |
52 | ||
53 | |||||
54 | |||||
25 |
(3) 함수의 활용 |
(1) 함수를 실생활 문제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
55 |
7 나 교 재 목차 | |||||
|
|
| |||
I. 통계 |
1. 자료의 정리 |
1 |
(1) 도수분포표 |
도수분포표란 무엇인가? |
1 |
도수분포표에서 평균은 어떻게 구하는가? |
2 | ||||
2 |
(2) 히스토그램과 도수분포다각형 |
히스토그램과 도수분포다각형은 어떻게 그리는가? |
3 | ||
2. 자료의 관찰 |
3 |
(1) 상대도수와 그 분포 |
상대도수란 무엇인가? |
4 | |
4 |
(2) 누적도수와 그 분포 |
누적도수란 무엇인가? |
5 | ||
II. 기본도형 |
1. 기본도형 |
5 |
(1) 점, 선, 면 |
기본이 되는 도형은 무엇인가? |
6 |
직선, 반직선, 선분이란 무엇인가? |
7 | ||||
6 |
(2) 각과 평행선 |
각이란 무엇인가? |
8 | ||
맞꼭지각이란 무엇인가? |
9 | ||||
수직이란 무엇인가? |
10 | ||||
동위각, 엇각이란 무엇인가? |
11 | ||||
평행한 두 직선 사이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2 | ||||
2. 위치 관계 |
7 |
(1) 두 직선의 위치 관계 |
한 평면 위에서 직선과 직선 사이에는 어떤 위치 관계가 있는가? |
13 | |
공간에서 직선과 직선 사이에는 어떤 위치 관계가 있는가? |
14 | ||||
8 |
(2)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 |
직선과 평면 사이에는 어떤 위치 관계가 있는가? |
15 | ||
3. 작도와 합동 |
9 |
(1) 간단한 도형의 작도 |
작도란 무엇인가? |
16 | |
각의 이등분선을 어떻게 작도하는가? |
17 | ||||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을 어떻게 작도하는가? |
18 | ||||
주어진 각과 크기가 같은 각을 어떻게 작도하는가? |
19 | ||||
10 |
(2) 삼각형의 작도 |
삼각형에서 대변, 대각이란 무엇인가? |
20 | ||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진 삼각형을 어떻게 그리는가? |
21 | ||||
두 변의 길이와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진 삼각형을 어떻게 그리는가? |
22 | ||||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각의 크기가 주어진 삼각형을 어떻게 그리는가? |
23 | ||||
11 |
(3) 삼각형의 합동 |
도형의 합동이란 무엇인가? |
24 | ||
두 삼각형은 어떤 경우에 합동인가? |
25 | ||||
III. 도형의 성질 |
1. 평면도형의 성질 |
12 |
(1) 다각형 |
다각형이란 무엇인가? |
26 |
13 |
(2) 원과 부채꼴 |
원, 호, 현이란 무엇인가? |
27 | ||
부채꼴이란 무엇인가? |
28 | ||||
중심각과 호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9 | ||||
원과 직선 사이에는 어떤 위치 관계가 있는가? |
30 | ||||
2. 입체도형의 성질 |
14 |
(1) 다면체 |
다면체란 무엇인가? |
31 | |
정다면체란 무엇인가? |
32 | ||||
15 |
(2) 회전체 |
회전체란 무엇인가? |
33 | ||
IV. 측 정 |
1. 평면도형의 측정 |
16 |
(1) 다각형의 내각과 외각 |
삼각형의 내각과 외각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34 |
다각형에서 외각의 크기의 합은 어떻게 구하는가? |
35 | ||||
17 |
(2)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를 어떻게 구하는가? |
36 | ||
2. 입체도형의 측정 |
18 |
(1) 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
기둥의 겉넓이는 어떻게 구하는가? |
37 | |
기둥의 부피는 어떻게 구하는가? |
38 | ||||
19 |
(2) 뿔의 겉넓이와 부피 |
뿔의 겉넓이는 어떻게 구하는가? |
39 | ||
뿔의 부피는 어떻게 구하는가? |
40 | ||||
20 |
(3) 구의 겉넓이와 부피 |
구의 겉넓이는 어떻게 구하는가? |
41 | ||
구의 부피는 어떻게 구하는가? |
42 |
8 가 교 재 목차 | |||||
|
|
|
| ||
I. 유리수 |
1. 유리수와 소수 |
1 |
(1) 유리수의 소수 |
유한소수, 무한소수란 무엇인가? |
1 |
2 |
(2) 유리수와 순환소수 |
순환소수란 무엇인가? |
2 | ||
순환소수를 분수로 어떻게 나타내는가? |
3 | ||||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분수는 모두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가? |
4 | ||||
II. 근사값 |
1. 근사값과 그 계산 |
3 |
(1) 근사값과 오차 |
근사값이란 무엇인가? 또, 오차란 무엇인가? |
5 |
참값의 범위와 오차의 한계는 어떻게 구하는가/ |
6 | ||||
4 |
(2) 근사값의 표현 |
유효숫자란 무엇인가? |
7 | ||
근사값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
8 | ||||
5 |
(3) 근사값의 덧셈과 뺄셈 |
근사값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9 | ||
III. 식의 계산 |
1. 단항식의 계산 |
6 |
(1) 지수법칙 |
10 | |
11 | |||||
12 | |||||
13 | |||||
7 |
(2) 단항식의 곱셈과 나눗셈 |
단항식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가? |
14 | ||
단항식의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가/ |
15 | ||||
2. 다항식의 계산 |
8 |
(1)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 |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16 | |
9 |
(2) 다항식과 단항식의 곱셈과 나눗셈 |
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가? |
17 | ||
다항식을 단항식으로 어떻게 나누는가? |
18 | ||||
10 |
(3) 등식의 변형 |
주어진 식의 문자에 다른 식을 어떻게 대입하는가? |
19 | ||
등식은 어떻게 변형하는가? |
20 | ||||
IV. 방정식과 부등식 |
1. 연립방정식 |
11 |
(1)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또, 그 해란 무엇인가? |
21 |
12 |
(2) 연립방정식 |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도, 그 해란 무엇인가? |
22 | ||
2. 연립방정식의 풀이 |
13 |
(1) 연립방정식의 풀이 |
가감법이란 무엇인가? |
23 | |
대입법이란 무엇인가? |
24 | ||||
14 |
(2) 연립방정식의 활용 |
문제 해결에 연립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25 | ||
3. 부등식 |
15 |
(1) 부등식과 그 해 |
부등식이란 무엇인가? 또, 그 해란 무엇인가? |
26 | |
16 |
(2) 부등식의 성질 |
부등식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27 | ||
4. 일차부등식 |
17 |
(1) 일차부등식의 풀이 |
일차부등식이란 무엇인가?, 도, 일차부등식은 어떻게 푸는가? |
28 | |
18 |
(2) 연립부등식 |
연립부등식이란 무엇인가?, 도, 연립부등식의 해는 어떻게 구하는가? |
29 | ||
19 |
(3) 일차부등식의 활용 |
문제 해결에 일차부등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30 | ||
문제 해결에 연립부등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31 | ||||
V. 일차함수 |
1. 일차함수와 그 그래프 |
20 |
(1) 일차함수 |
일차함수란 무엇인가? |
32 |
21 |
(2) 일차함수의 그래프 |
일차함수 y=ax + b의 그래프는 어떤 모양인가? |
33 | ||
평행이동이란 무엇인가? |
34 | ||||
그래프의 x절편과 y절편이란 무엇인가? |
35 | ||||
그래프의 기울기란 무엇인가? |
36 | ||||
22 |
(3)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
두 점을 이용하여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어떻게 그리는가? |
37 | ||
기울기와 y절편을 이용하여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어떻게 그리는가? |
38 | ||||
기울기와 그래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39 | ||||
23 |
(4)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 |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 일차함수는 어떻게 구하는가? |
40 | ||
기울기와 한 점을 알 때, 일차함수는 어떻게 구하는가? |
41 | ||||
두 점을 알 때, 일차함수는 어떻게 구하는가? |
42 | ||||
2. 일차함수의 활용 |
24 |
(1)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일차방정식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43 | |
25 |
(2) 연립방정식과 그래프 |
그래프를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을 풀 수 있는가? |
44 | ||
26 |
(3) 일차함수의 활용 |
일차함수를 여러가지 문제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
45 |
8 나 교 재 목 차 | |||||
|
|
|
|
|
|
I. 확률 |
1. 확률과 그 기본성질 |
1 |
(1) 경우의 수 |
사건이란 무엇인가? |
1 |
사건 A 또는 사건 B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ㅐ 구하는가? |
2 | ||||
두 사건 A, B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구하는가? |
3 | ||||
2 |
(2) 확률의 뜻과 성질 |
확률이란 무엇인가? |
4 | ||
확륭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5 | ||||
2. 확률의 계산 |
3 |
(1) 확률의 계산 |
사건 A 또는 사건 B가 일어날 확률은 어떻게 구하는가? |
6 | |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은 어떻게 구하는가? |
7 | ||||
II. 도형의 성질 |
1. 삼각형의 성질 |
4 |
(1) 명제와 증명 |
명제란 무엇인가? 또, 가정과 결론이란 무엇인가? |
8 |
용어의 정의란 무엇인가? 또, 증명, 정리란 무엇인가? |
9 | ||||
5 |
(2)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
이등변삼각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0 | ||
6 |
(3) 직각삼각형의 합동 |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이란 무엇인가? |
11 | ||
7 |
(4)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외심이란 무엇인가? |
12 | ||
삼각형의 내심이란 무엇인가? |
13 | ||||
2. 사각형의 성질 |
8 |
(1) 평행사변형 |
평행사변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4 | |
사각형이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
15 | ||||
9 |
(2) 여러 가지 사각형 |
직사각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6 | ||
마름모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7 | ||||
정사각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8 | ||||
사다리꼴과 여러 가지 사각형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19 | ||||
III. 도형의 닮음 |
1. 도형의 닮음 |
10 |
(1) 닮은 도형 |
닮은 도형이란 무엇인가? |
20 |
11 |
(2) 닮음의 위치 |
닮음의 위치, 닮음의 중심이란 무엇인가? |
21 | ||
12 |
(3) 삼각형의 닮음 조건 |
삼각형의 닮음조건은 무엇인가? |
22 | ||
2. 닮음의 응용 |
13 |
(1) 삼각형과 평행선 |
삼각형의 한 변에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선분과 삼각형의 변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3 | |
평행선 사이에 있는 선분의 길이의 비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24 | ||||
14 |
(2) 삼각형의 중점연결 정리 |
삼각형의 중점연결 정리란 무엇인가? |
25 | ||
삼각형의 무게중심이란 무엇인가? |
26 | ||||
15 |
(3) 닮은 도형의 넓이와 부피 |
닮음비와 넓이의 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7 | ||
닮음비와 부피의 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8 |
9 가 교 재 목 차 | |||||
|
|
|
| ||
I. 실수와 그 계산 |
1. 제곱근과 실수 |
1 |
(1) 제곱근과 그 성질 |
제곱근이란 무엇인가? |
1 |
제곱근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2 | ||||
제곱근의 대소 관계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3 | ||||
2 |
(2) 무리수 |
무리수는 어떤 수인가? |
4 | ||
3 |
(3) 수직선과 실수의 대소 관계 |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어떻게 나타내는가? |
5 | ||
실수의 대소 관계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6 | ||||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
4 |
(1)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
제곱근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가? |
7 | |
제곱근의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가? |
8 | ||||
분모의 유리화란 무엇인가? |
9 | ||||
5 |
(2) 제곱근의 덧셈과 뺄셈 |
제곱근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하는가? |
10 | ||
6 |
(3) 제곱근의 근사값 |
제곱근표를 이용하여 제곱근의 근사값을 어떻게 구하는가? |
11 | ||
II. 식의 계산 |
1. 다항식의 곲셈 |
7 |
(1) 다항식의 곱셈 |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가? |
12 |
8 |
(2) 곱셈 공식 |
13 | |||
(a+b)(a-b)는 어떻게 전개하는가? |
14 | ||||
(x+a)(x+b), (ax+b)(cx+d)는 어떻게 전개하는가? |
15 | ||||
9 |
(3) 곱셈 공식의 활용 |
여러 가지 계산에 곱셈 공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16 | ||
2. 인수분해 |
10 |
(1) 인수분해의 뜻 |
인수분해란 무엇인가? |
17 | |
11 |
(2) 인수분해의 공식 |
18 | |||
19 | |||||
x2+(a+b)x+ab, acx2+(ad+bc)x+bd는 어떻게 인수분해하는가? |
20 | ||||
12 |
(3) 인수분해의 활용 |
인수분해 공식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
21 | ||
III. 이차방정식 |
1. 이차방정식 |
13 |
(1) 이차방정식과 그 해 |
이차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또, 그 해란 무엇인가? |
22 |
14 |
(2) 이차방정식의 풀이 |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어떻게 푸는가? |
23 | ||
제곱근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어떻게 푸는가? |
24 | ||||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어떻게 푸는가? |
25 | ||||
2. 이차방정식의 활용 |
15 |
(1) 근의 공식 |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란 무엇인가? |
26 | |
16 |
(2) 이차방정식의 활용 |
이차방정식을 문제 해결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
27 | ||
IV. 이차함수 |
1. 이차함수와 그 그래프 |
17 |
(1) 이차함수의 뜻 |
이차함수란 무엇인가? |
28 |
18 |
이차함수 y=ax2의 그래프는 어떻게 그리는가? |
29 | |||
19 |
30 | ||||
31 | |||||
32 | |||||
20 |
33 | ||||
21 |
(3) 이차함수의 최대값과 최소값 그래프 |
이차함수의 최대값이란 무엇인가? 또, 최소값이란 무엇인가? |
34 |
9 나 교 재 목 차 | |||||
|
|
|
| ||
I. 통계 |
1. 상관관계 |
1 |
(1) 상관도 |
상관도란 무엇인가? |
1 |
2 |
(2) 상관표 |
상관표란 무엇인가? |
2 | ||
II. 피타고라스의 정리 |
1. 피타고라스의 정리 |
3 |
(1) 피타고라스의 정리 |
피타고라스의 정리란 무엇인가? |
3 |
4 |
(2)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역 |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으면 직각삼각형이 되는가? |
4 | ||
2.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
5 |
(1) 평면도형에의 활용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평면도형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
5 | |
6 |
(2) 입체도형에의 활용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입체도형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
6 | ||
III. 원의 성질 |
1. 원과 직선 |
7 |
(1) 원의 중심과 현 |
원의 현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7 |
8 |
(2) 원의 접선 |
원의 접선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8 | ||
2. 원주각 |
9 |
(1) 원주각 |
원주각과 중심각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9 | |
원주각과 호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10 | ||||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을 조건은 무엇인가? |
11 | ||||
10 |
(2) 원과 사각형 |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
12 | ||
11 |
(3)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 |
접선과 그 접점을 지나는 현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어떻게 구하는가? |
13 | ||
12 |
(4) 원과 비례 |
원의 두 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14 | ||
IV. 삼각비 |
1. 삼각비 |
13 |
(1) 삼각비 |
삼각비란 무엇인가? |
15 |
14 |
(2) 삼각비의 값 |
30°, 45°, 60°의 삼각비의 값은 어떻게 구하는가? |
16 | ||
예각의 삼각비의 값은 어떻게 구하는가? |
17 | ||||
2. 삼각비의 활용 |
15 |
(1) 거리 구하기 |
삼각비를 이용하여 거리를 어떻게 구하는가? |
18 | |
16 |
(2) 넓이 구하기 |
삼각비를 이용하여 넓이를 어떻게 구하는가? |
19 |
kmu 10가 교재 목차 | |||||
I. 수와 연산 |
I-1. 집합과 명제 |
1 |
I-1-1. 집합 |
(1) 진부분집합과 서로소인 집합 |
1 |
(2) 집합의 기본 연산법칙 |
2 | ||||
(3) 드 모르간의 법칙 |
3 | ||||
2 |
I-1-2. 명제 |
(1) 명제 |
4 | ||
(2) 역, 이, 대우 |
5 | ||||
(3)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
6 | ||||
I-2. 실수와 복소수 |
3 |
I-2-1. 실수 |
(1) 실수의 연산에 대한 성질 |
7 | |
(2) 실수의 대소 관계 |
8 | ||||
4 |
I-2-2. 복소수 |
(1) 복소수의 뜻 |
9 | ||
(2) 복소수의 성질 |
10 | ||||
(3) 음수의 제곱근 |
11 | ||||
II 식과 그 연산 |
II-1 다항식 |
5 |
II-1-1 다항식과 그 연산 |
(1) 다항식의 덧셈, 뺄셈 |
12 |
(2) 다항식의 곱셈 |
13 | ||||
(3) 다항식의 나눗셈 |
14 | ||||
6 |
II-1-2 항등식 |
(1) 항등식의 성질 |
15 | ||
7 |
II-1-3 나머지정리 |
(1) 나머지 정리 |
16 | ||
8 |
II-1-4 인수분해 |
(1) 공식을 이용한 인수분해 |
17 | ||
(2) 변형을 이용한 인수분해 |
18 | ||||
(3) 인수정리를 이용한 인수분해 |
19 | ||||
9 |
II-1-5 약수와 배수 |
(1) 다항식의 약수와 배수 |
20 | ||
II-1 유리식과 무리식 |
10 |
II-1-1 유리식 |
(1) 유리식의 뜻 |
21 | |
(2) 분수식의 덧셈, 뺄셈 |
22 | ||||
(3) 분수식의 곱셈, 나눗셈 |
23 | ||||
11 |
II-1-2. 무리식 |
(1) 무리식의 뜻과 그 연산 |
24 | ||
(2) 이중근호 |
25 | ||||
III. 방정식과 부등식 |
III-1 이차방정식 |
12 |
III-1-1 이차방정식의 풀이 |
(1) 이차방정식 |
26 |
13 |
III-1-2 판별식 |
(1)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
27 | ||
14 |
III-1-3 근과 계수의 관계 |
(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28 | ||
III-2 여러가지 방정식 |
15 |
III-2-1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1)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의 풀이 |
29 | |
16 |
III-2-2 연립방정식 |
(1)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30 | ||
(2)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이차방정식 |
31 | ||||
III-3 부등식 |
17 |
III-3-1 부등식의 성질 |
(1) 부등식의 성질 |
32 | |
(2) 절대값을 포한 일차부등식 |
33 | ||||
18 |
III-3-2 이차부등식 |
(1) 이차부등식의 풀이 |
34 | ||
19 |
III-3-3 연립이차부등식 |
(1) 연립이차부등식의 풀이 |
35 | ||
20 |
III-3-4 부등식의 증명 |
(1) 절대부등식의 증명 |
36 | ||
IV. 통계 |
IV-1. 산포도 |
21 |
IV-1-1 분산과 표분편차 |
(1) 산포도의 뜻 |
37 |
(2) 분산과 표준편차 |
38 | ||||
(3) 도수분포표에서의 분산과 표준편차 |
39 |
kmu 10나 교재 목차 | ||||
I. 도형의 방정식 |
I-1. 평면좌표 |
I-1-1. 두 점 사이의 거리 |
(1) 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
1 |
I-1-2.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
(1) 수직선 위의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
2 | ||
(2) 평면 위의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
3 | |||
I-2. 직선의 방정식 |
I-2-1. 직선의 방정식 |
(1) 한 점과 기울기가 주어진 직선 |
4 | |
(2) 두 점을 지나는 직선 |
5 | |||
I-2-2. 두 직선의 위치 관계 |
(1) 두 직선의 평행 조건 |
6 | ||
(2) 두 직선의 수직 조건 |
7 | |||
I-2-3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
(1)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
8 | ||
I-3. 원의 방정식 |
I-3-1 원의 방정식 |
(1) 원의 방정식 |
9 | |
I-3-2 두 원의 위치관계 |
(2) 중심거리와 두 원의 위치 관계 |
10 | ||
I-3-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
(1)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
11 | ||
(2) 원의 접선의 방정식 |
12 | |||
I-4. 도형의 이동 |
I-4-1 도형의 평행이동 |
(1) 평행이동 |
13 | |
I-4-2 도형의 대칭이동 |
(1) 대칭이동 |
14 | ||
II 부등식의 영역 |
II-1 부등식의 영역 |
II-1-1 부등식의 영역 |
(1) 부등식의 영역 |
15 |
(2) 연립부등식의 영역 |
16 | |||
II-2. 최대·최소 문제 |
(1) 최대 문제와 최소 문제 |
17 | ||
III. 함 수 |
III- 1 함수 |
III-1-1 함수의 뜻과 그래프 |
(1) 함수의 뜻 |
18 |
(2) 함수의 그래프 |
19 | |||
(3) 항등함수와 상수함수 |
20 | |||
(4) 일대일 대응 |
21 | |||
III-1-2 합성함수 |
(1) 합성함수 |
22 | ||
III-1-3 역함수 |
(1) 역함수의 뜻 |
23 | ||
(2) 역함수 구하기 |
24 | |||
(3) 역함수의 그래프 |
25 | |||
III-2 이차함수의 활용 |
III-2-1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
(1) 이차함수의 최대값과 최소값 |
26 | |
(2) 최대값과 최소값의 활용 |
27 | |||
III-2-2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
(1)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
28 | ||
III-2-3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이차부등식의 관계 |
(1) 이차함수를 이용한 이차방정식의 풀이 |
29 | ||
(2) 이차함수를 이용한 이차부등식의 풀이 |
30 | |||
III-3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
III-3-1 유리함수 |
(1) 유리함수의 뜻 |
31 | |
32 | ||||
33 | ||||
34 | ||||
III-3-2 무리함수 |
(1) 무리함수의 뜻 |
35 | ||
36 | ||||
37 | ||||
IV. 삼각함수 |
IV-1. 삼각함수 |
IV-1-1 일반각과 호도법 |
(1) 일반각의 뜻 |
38 |
(2) 호도법 |
39 | |||
IV-1-2 삼각함수 |
(1) 삼각함수의 뜻 |
40 | ||
(2) 삼각함수의 부호 |
41 | |||
IV-1-3 삼각함수의 성질 |
(1)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
42 | ||
43 | ||||
44 | ||||
45 | ||||
46 | ||||
IV-1-4 삼각함수의 그래프 |
47 | |||
48 | ||||
49 | ||||
IV-1-5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 |
(1) 삼각방정식 |
50 | ||
(2) 삼각부등식 |
51 | |||
IV-2 삼각형에의 응용 |
IV-2-1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
(1)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
52 | |
(2) 코사인법칙 |
53 | |||
IV-2-2 삼각형의 넓이 |
(1) 삼각형의 넓이 |
54 |
kmu 수 I 교재 목차(전반부) | |||||
I. 지수와 로그 |
I-1. 지수 |
1 |
I-1-1.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
(1)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 |
1 |
(2) 거듭제곱의 성질 |
2 | ||||
2 |
I-1-2. 지수의 확장 |
(1) 0 또는 음의 정수인 지수 |
3 | ||
(2) 유리수인 지수 |
4 | ||||
(3) 실수인 지수 |
5 | ||||
I-2. 로그 |
3 |
I-2-1. 로그와 그 성질 |
(1) 로그의 뜻 |
6 | |
(2) 로그의 성질 |
7 | ||||
4 |
I-2-2. 상용로그 |
(1) 상용로그의 뜻 |
8 | ||
(2) 지표와 가수 |
9 | ||||
(3) 계산기의 활용 |
10 | ||||
(4) 상용로그의 활용 |
11 | ||||
II 행렬 |
II-1 행렬과 그 연산 |
5 |
II-1-1 행렬의 뜻 |
(1) 행렬의 뜻 |
12 |
(2) 서로 같은 행렬 |
13 | ||||
6 |
II-1-2 행렬의 연산 |
(1) 행렬의 덧셈 |
14 | ||
(2) 행렬의 뺄셈 |
15 | ||||
(3) 행렬의 실수배 |
16 | ||||
(4) 행렬의 곱셈 |
17 | ||||
(5) 단위 행렬 |
18 | ||||
II-2 역행렬과 연립일차방정식 |
7 |
II-2-1 역행렬 |
(1) 역행렬의 뜻 |
19 | |
(2) 역행렬의 성질 |
20 | ||||
8 |
II-2-2 연립일차방정식과 행렬 |
(1) 역행렬을 이용한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
21 | ||
III. 수열 |
III-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
9 |
III-1-1 수열의 뜻 |
(1) 수열의 뜻 |
22 |
(2) 수열의 일반항 |
23 | ||||
10 |
III-1-2 등차수열 |
(1) 등차수열의 뜻 |
24 | ||
(2) 등차수열의 일반항 |
25 | ||||
(3) 등차수열의 합 |
26 | ||||
11 |
III-1-3 등비수열 |
(1) 등비수열의 뜻 |
27 | ||
(2) 등비수열의 일반항 |
28 | ||||
(3) 등비수열의 합 |
29 | ||||
(4) 등비수열의 활용 |
30 | ||||
III-2 여러 가지 수열 |
12 |
III-2-1 ∑의 뜻과 성질 |
(1) ∑의 뜻 |
31 | |
(2) ∑의 성질 |
32 | ||||
(3) 여러가지 수열의 합 |
33 | ||||
13 |
III-2-2 계차수열 |
(1) 계차수열의 뜻 |
34 | ||
III-3 수학적 귀납법 |
14 |
III-3-1 수학적귀납법의 원리 |
(1)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 |
35 | |
15 |
III-3-2 수학적귀나법을 이용한 증명 |
(1)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 증명 |
36 | ||
III-4 알고리즘과 순서도 |
16 |
III-4-1 알고리즘 |
(1) 알고리즘 |
37 | |
(2) 기호 A←A+b |
38 | ||||
17 |
III-4-2 순서도 |
(1) 순서도 |
39 | ||
(2) 직선형 순서도 |
40 | ||||
(3) 분기형 순서도 |
41 | ||||
(4) 순환형 순서도 |
42 | ||||
IV. 수열의 극한 |
IV-1. 무한수열의 극한 |
18 |
IV-1-1 무한수열의 수렴, 발산 |
(1) 무한수열의 수렴 |
43 |
(2) 무한수열의 발산 |
44 | ||||
19 |
IV-1-2 무한수열의 극한값 |
(1) 무한수열의 극한에 관한 성질 |
45 | ||
20 |
IV-1-3 무한등비수열의 극한값 |
(1) 무한등비수열의 수렴, 발산 |
46 | ||
IV-2 무한급수 |
21 |
IV-2-1 무한급수의 수렴, 발산 |
(1) 무한급수의 수렴, 발산 |
47 | |
22 |
IV-2-2 무한등비급수의 합과 그 활용 |
(1) 무한등비급수의 합 |
48 | ||
(2) 순환소수와 무한 등비급수 |
49 | ||||
V.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V-1. 지수합수 |
23 |
V-1-1. 지수함수와 그 그래프 |
(1)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
50 |
24 |
V-1-2.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 |
(1) 지수방정식 |
51 | ||
(2) 지수부등식 |
52 | ||||
V-2. 로그함수 |
25 |
V-2-1. 로그함수와 그 그래프 |
(1)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
53 | |
26 |
V-2-2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
(1) 로그방정식 |
54 | ||
(2) 로그부등식 |
55 | ||||
| |||||
kmu 수 I 교재 목차(후반부) | |||||
VI. 순열과 조합 |
VI-1 순열과 조합 |
27 |
VI-1-1 경우의 수 |
(1) 합의 법칙 |
56 |
(2) 곱의 법칙 |
57 | ||||
28 |
VI-1-2 순열 |
(1) 순열 |
58 | ||
(2) 원순열 |
59 | ||||
(3) 중복순열 |
60 | ||||
(4) 같은 것이 있는 순열 |
61 | ||||
29 |
VI-1-3 조합 |
(1) 조합 |
62 | ||
VI-2 이항정리 |
30 |
VI-2-1 파스칼의 삼각형 |
63 | ||
(2) 파스칼의 삼각형 |
64 | ||||
31 |
VI-2-2 이항정리 |
(1) 이항정리 |
65 | ||
(2) 이항정리를 이용한 문제 해결 |
66 | ||||
VII. 확률 |
VII-1 확률 |
32 |
VII-1-1 확률의 뜻 |
(1) 시행과 사건 |
67 |
(2) 통계적 확률 |
68 | ||||
(3) 수학적 확률 |
69 | ||||
33 |
VII-1-2 확률의 기본 성질 |
(1) 확률의 기본 성질 |
70 | ||
(2) 여사건의 확률 |
71 | ||||
VII-2 조건부확률과 사건의 독립성 |
34 |
VII-2-1 조건부 확률 |
(1) 조건부 확률 |
72 | |
35 |
VII-2-2 사건의 독립성 |
(1) 사건의 독립과 종속 |
73 | ||
(2) 독립시행 |
74 | ||||
VIII. 확률분포와 통계적 추정 |
VIII-1. 확률분포 |
36 |
VIII-1-1 이산확률변수 |
(1)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75 |
37 |
VIII-1-2 이산확률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
(1) 평균 |
76 | ||
(2) 분산과 표준편차 |
77 | ||||
(3) 확률변수의 성질 |
78 | ||||
38 |
VIII-1-3 이항분포 |
(1) 이항분포의 뜻 |
79 | ||
(2) 이항분포에서 평균과 분산 |
80 | ||||
(3) 큰수의 법칙 |
81 | ||||
39 |
VIII-1-4 연속확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 |
(1) 연속확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 |
82 | ||
40 |
VIII-1-5 정규분포 |
(1) 정규분포 |
83 | ||
(2) 정규분포의 활용 |
84 | ||||
(3) 이항분포의 정규분포에 의한 근사 |
85 | ||||
VIII-2 통계적 추정 |
41 |
VIII-2-1 모집단과 표본 |
(1) 표본조사 |
86 | |
42 |
VIII-2-2 표본평균의 확률분포 |
(1) 모집단의 분포 |
87 | ||
(2) 표본평균의 분포 |
88 | ||||
(3) 표본평균과 정규분포 |
89 | ||||
43 |
VIII-2-3 모평균의 추정 |
(1) 모평균의 추정 |
90 |
kmu 수 II 교재 목차(전반부) | |||||
I. 방정식과 부등식 |
I-1. 방정식 |
1 |
I-1-1. 분수방정식 |
(1) 분수방정식의 뜻 |
1 |
(2) 분수방정식의 풀이 |
2 | ||||
(3) 분수방정식의 활용 |
3 | ||||
2 |
I-1-2. 무리방정식 |
(1) 무리방정식의 뜻 |
4 | ||
(2) 무리방정식의 풀이 |
5 | ||||
(3) 무리방정식의 활용 |
6 | ||||
I-2. 부등식 |
3 |
I-2-1. 삼차부등식과 사차부등식 |
(1) 고차부등식의 뜻 |
7 | |
(2) 고차부등식의 풀이 |
8 | ||||
(3) 연립부등식 |
9 | ||||
4 |
I-2-2. 분수부등식 |
(1) 유리부등식, 분수부등식의 뜻 |
10 | ||
(2) 분수부등식의 풀이 |
11 | ||||
(3) 분수부등식의 활용 |
12 | ||||
II.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
II-1 함수의 극한 |
5 |
II-1-1 함수의 극한 |
(1) 함수의 극한의 뜻 |
13 |
(2) 우극한과 좌극한 |
14 | ||||
6 |
II-1-2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
(1)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
15 | ||
II-2 함수의 연속성 |
7 |
II-2-1 함수의 연속 |
(1) 함수의 연속 |
16 | |
(2) 연속함수 |
17 | ||||
8 |
II-2-2 연속함수의 성질 |
(1) 연속함수의 성질 |
18 | ||
(2) 최대, 최소의 정리 |
19 | ||||
(3) 중간값의 정리 |
20 | ||||
III. 다항함수의 미분법 |
III-1 미분계수와 도함수 |
9 |
III-1-1 미분계수 |
(1) 평균변화율 |
21 |
(2) 순간변화율과 미분계수 |
22 | ||||
(3)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
23 | ||||
(4)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사이의 관계 |
24 | ||||
10 |
III-1-2 도함수 |
(1) 도함수의 뜻 |
25 | ||
(2) 미분법의 공식 |
26 | ||||
III-2 도함수의 활용 |
11 |
III-2-1 접선 |
(1) 접선의 방정식 |
27 | |
12 |
III-2-2 함수의 증가와 감소 |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
28 | ||
13 |
III-2-3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
(1) 극값과 그래프 |
29 | ||
14 |
III-2-4 극대와 극소의 응용 |
(1) 함수의 최대값과 최소값 |
30 | ||
(2)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
31 | ||||
15 |
III-2-5 속도와 가속도 |
(1) 속도와 가속도 |
32 | ||
IV. 다항함수의 적분법 |
IV-1. 다항함수의 적분법 |
16 |
IV-1-1 부정적분 |
(1) 부정적분의 뜻 |
33 |
(2) 부정적분의 계산 |
34 | ||||
17 |
IV-1-2 구분구적법과 정적분 |
(1) 구분구적법 |
35 | ||
(2) 정적분의 뜻 |
36 | ||||
18 |
IV-1-3 정적분의 기본 정리 |
(1) 정적분과 부정적분 |
37 | ||
(2) 정적분의 계산 |
38 | ||||
(3) 정적분과 무한급수 |
39 | ||||
IV-2 정적분의 활용 |
19 |
IV-2-1 넓이 |
(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
40 | |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
41 | ||||
(3)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
42 | ||||
20 |
IV-2-2 부피 |
(1) 회전체의 부피 |
43 | ||
21 |
IV-2-3 속도와 거리 |
(1) 직선 운동 |
44 | ||
| |||||
kmu 수 II 교재 목차(후반부) | |||||
V. 이차곡선 |
V-1. 포물선 |
22 |
V-1-1. 포물선의 방정식 |
(1) 포물선의 뜻 |
45 |
(2) 포물선의 방정식 |
46 | ||||
23 |
V-1-2. 포물선과 직선 |
(1)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 |
47 | ||
(2)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 |
48 | ||||
V-2. 타원 |
24 |
V-2-1. 타원의 방정식 |
(1) 타원의 뜻 |
49 | |
(2) 타원의 방정식 |
50 | ||||
25 |
V-2-2 타원과 직선 |
(1)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
51 | ||
(2)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 |
52 | ||||
V-3 쌍곡선 |
26 |
V-2-1 쌍곡선의 방정식 |
(1) 쌍곡선의 뜻 |
53 | |
(2) 쌍곡선의 방정식 |
54 | ||||
27 |
V-2-2 쌍곡선과 직선 |
(1) 쌍곡선의 점근선 |
55 | ||
(2)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 |
56 | ||||
(3) 쌍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
57 | ||||
(4) 이차곡선의 평행이동 |
58 | ||||
V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
VI-1 공간도형 |
28 |
VI-1-1 직선, 평면의 위치관계 |
(1) 평면의 결정조건 |
59 |
(2) 두 직선의 위치관계 |
60 | ||||
(3)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위치 관계 |
61 | ||||
29 |
VI-1-2 평행과 수직 |
(1)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평행 관계 |
62 | ||
(2)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사이의 수직 관계 |
63 | ||||
(3) 삼수선의 정리 |
64 | ||||
(4) 이면각 |
65 | ||||
30 |
VI-1-3 정사영 |
(1) 정사영의 길이 |
66 | ||
(2) 정사영의 넓이 |
67 | ||||
VI-2 공간좌표 |
31 |
VI-2-1 점의 좌표 |
(1) 공간좌표의 뜻 |
68 | |
32 |
VI-2-2 두 점 사이의 거리 |
(1) 두 점 사이의 거리 |
69 | ||
33 |
VI-2-3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
(1)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
70 | ||
34 |
VI-2-4 구의 방정식 |
(1) 구의 방정식 |
71 | ||
VII. 벡터 |
VII-1 벡터의 연산 |
35 |
VII-1-1 벡터의 뜻 |
(1) 벡터의 뜻 |
72 |
(2) 두 벡터가 같을 조건 |
73 | ||||
36 |
VII-1-2 벡터의 덧셈과 뺄셈 |
(1) 벡터의 덧셈 |
74 | ||
(2) 벡터의 덧셈의 성질 |
75 | ||||
(3) 벡터의 뺄셈 |
76 | ||||
37 |
VII-1-3 벡터의 실수배 |
(1) 벡터의 실수배 |
77 | ||
(2) 벡터의 실수배의 성질 |
78 | ||||
(3) 벡터의 평행 |
79 | ||||
VII-2 벡터의 내적 |
38 |
VII-2-1 위치벡터 |
(1) 위치 벡터의 뜻 |
80 | |
39 |
VII-2-2 벡터의 성분과 연산 |
(1) 평면벡터의 성분 |
81 | ||
(2) 평면벡터의 연산 |
82 | ||||
(3) 공간벡터의 성분 |
83 | ||||
(4) 공간벡터의 연산 |
84 | ||||
40 |
VII-2-3 벡터의 내적 |
(1) 내적의 뜻 |
85 | ||
(2) 벡터의 내적과 평행 |
86 | ||||
(3) 벡터의 성분과 내적 |
87 | ||||
(4) 두 벡터가 이루는 각 |
88 | ||||
(5) 내적의 연산법칙 |
89 | ||||
VII-3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
41 |
VII-3-1 직선의 방정식 |
(1) 직선의 벡터방정식 |
90 | |
(2) 방향코사인 |
91 | ||||
(3) 두 직선이 이루는 각 |
92 | ||||
42 |
VII-3-2 평면의 방정식 |
(1) 평면의 벡터방정식 |
93 | ||
(2)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
94 | ||||
(3) 평면의 교선의 방정식 |
95 | ||||
(4)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
96 |
kmu 미적분 교재 목차 | |||||
I. 삼각함수 |
I-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1 |
I-1-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1 |
(2)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 |
2 | ||||
(3) 삼각함수의 합성 |
3 | ||||
2 |
I-1-2. 배각의 공식과 반각의 공식 |
(1) 배각의 공식 |
4 | ||
(2) 반각의 공식 |
5 | ||||
(3) 곱을 합 또는 차고, 합 또는 차를 곱으로 고치는 공식 |
6 | ||||
I-2. 삼각방정식 |
3 |
I-2-1. 삼각방정식 |
(1) 삼각방정식의 일반해 |
7 | |
II. 함수의 극한 |
II-1 삼각함수의 극한 |
4 |
II-1-1 삼각함수의 극한 |
(1) 삼각함수의 극한 |
8 |
9 | |||||
II-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
5 |
II-2-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
(1) 지수함수의 극한 |
10 | |
(2) 로그함수의 극한 |
11 | ||||
6 |
II-2-2 무리수 e와 자연로그의 뜻 |
(1) 무리수 e |
12 | ||
(2) 자연로그 |
13 | ||||
III. 미분법 |
III-1 여러가지 함수의 미분법 |
7 |
III-1-1 함수의 몫의 미분법 |
(1) 함수의 몫의 미분법 |
14 |
8 |
III-1-2 합성함수의 미분법 |
(1) 합성함수의 미분법 |
15 | ||
9 |
III-1-3 음하수와 역함수의 미분법 |
(1) 음함수의 미분법 |
16 | ||
10 |
III-1-4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미분법 |
(1)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미분법 |
17 | ||
11 |
III-1-5 삼각함수의 미분법 |
(1) 삼각함수의 미분법 |
18 | ||
12 |
III-1-6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미분법 |
(1) 로그함수의 미분법 |
19 | ||
(2) 지수함수의 미분법 |
20 | ||||
13 |
III-1-7 이계도함수 |
(1) 이계도함수 |
21 | ||
III-2 도함수의 활용 |
14 |
III-2-1 접선의 방정식 |
(1) 접선의 방정식 |
22 | |
15 |
III-2-2 평균값의 정리 |
(1) 롤의 정리 |
23 | ||
(2) 평균값의 정리 |
24 | ||||
16 |
III-2-3 함수의 증가,감소와 극대,극소 |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
25 | ||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
26 | ||||
17 |
III-2-4 그래프의 개형 |
(1) 곡선의 구부러진 모양 |
27 | ||
(2) 그래프의 개형 |
28 | ||||
18 |
III-2-5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
(1) 방정식의 실근의 갯수 |
29 | ||
(2) 부등식에의 활용 |
30 | ||||
19 |
III-2-6 속도와 가속도 |
(1) 직선 위의 운동 |
31 | ||
(2) 평면 위의 운동 |
32 | ||||
IV. 적분법 |
IV-1. 부정적분 |
20 |
IV-1-1 여러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
33 | |
(2) 유리함수의 부정적분 |
34 | ||||
21 |
IV-1-2 치환적분법과 그 활용 |
(1) 치환적분법 |
35 | ||
22 |
IV-1-3 부분적분법과 그 활용 |
(1) 부분적분법 |
36 | ||
IV-2 정적분 |
23 |
IV-2-1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 |
(1) 정적분의 계산 |
37 | |
24 |
IV-2-2 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 |
(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 |
38 | ||
(2) 그래프의 대칭을 이용한 정적분 |
39 | ||||
(3)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
40 | ||||
25 |
IV-2-3 정적분의 응용 |
(1) 정적분과 도함수 |
41 | ||
(2) 정적분과 극한 |
42 | ||||
(3) 정적분과 부등식 |
43 | ||||
IV-3 정적분의 활용 |
26 |
IV-3-1 평면도형의 넓이 |
(1) 곡선과 좌표축 사이의 넓이 |
44 | |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
45 | ||||
27 |
IV-3-2입체도형의 넓이 |
(1) 입체도형의 부피 |
46 | ||
(2) 회전체의 부피 |
47 | ||||
28 |
IV-3-3점의 운동과 곡선의 길이 |
(1) 직선 위의 운동 |
48 | ||
(2) 곡선의 길이 |
49 | ||||
(3) 평면 위의 운동 |
50
|
첫댓글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유익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