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수정 : 2011년 1월 5일
이 게시물은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내용을 번역한 후, "크메르의 세계"가 연구, 증보한 내용임. |
캄보디아 최정예, 911 공수여단
911 Airborne brigade

<위키피디아 영문판>이 "제911 공수여단"의 장병이라고 소개한 사진. 현재로서는 "크메르의 세계"가 보유한 사진 가운데 가장 정확한 정보의 사진이다. 좌측의 장교는 일반 근무복을 착용한 것으로 보이고, 우측의 하사관으로 보이는 인물이 전투복을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붉은 베레"(Red beret) 항목을 보면, 현재 캄보디아에서 붉은 베레모를 착용하는 것은 "제911 공수여단" 뿐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그것은 이 부대를 창설할 때 훈련과 지원을 맡았던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코파서스"(Kopassus)의 영향일 것이다. 이 사진은 2007년 11월 미국의 전함 "USS 에섹스"(USS Essex) 호가 시하눅빌을 친선방문했을 때 촬영된 것이다. 시하눅빌의 초등학교에 전달될 책을 나르는 모습이라 보고하고 있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즈"(Mass Communications) 2등급 스페샬리스트 Drae Parker가 2007-11-27 촬영하였다. |
1. 캄보디아 군대의 특수부대
"제911 공수여단"(Airborne brigade)은 캄보디아 군대 내에 존재하는 몇몇 특수전 부대들 가운데서도 최정예의 부대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캄보디아군의 특수전 부대들 및 군령권에 따른 상급부대는 다음과 같다.
○ 왕립 캄보디아 군총사령부 예하부대
(1) 제 1 여단 : 여단장 쁘롬 뼁(Prum Pheng) 소장.
(2) 제 911 공수여단 : 여단장 쩝 피억더이(Chap Pheakdey) 소장.
(3) 제 70 여단 : 여단장 마오 소판(Mao Sophann) 소장.
이 중 70여단(B-70)은 1997년까지 훈 센 총리에 충성하는 사병조직으로 알려지기도 했고, 그 해에 발생한 삼 랑시 의원 집회 수류탄 투척사건에 관련된 혐의를 받기도 했다. 이 혐의는 미국인 론 아브니(Ron Abney)의 심각한 부상으로 미국연방수사대(FBI)가 수사에 착수했을 때 우선적으로 주목하고 있었던 조직이다. 아마도 미국과 캄보디아 간 외교관계 개선의 영향으로 보이는데, 미국은 2008년 초에 이 사건의 수사를 사실상 중단했다. 70여단은 2천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호부대(경호단: Bodyguard Unit)는 4천명으로 구성된 별도의 부대이다. 1997년 수류탄 투척사건에 대해서는 국제 인권단체 "휴면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가 지속적으로 이슈화 및 보고를 해오고 있다. |
○ 왕립 캄보디아 육군본부 예하부대
(4) 제11강습여단 : 요응 소콘(Yoeung Sokhon) 준장.
(5) 제14강습여단 : 낌 셍 워온(Kim Seng Ngon) 준장.
○ 왕립 캄보디아 해군본부 예하부대
(6) 2001년 말에 UDT(수중폭파대) 기능을 가진 인력 양성. 그러나 주변국의 눈치를 보느라 공식적인 명칭을 갖지 않은 것으로 보임. 여기에는 교민사회에서 유명한 전병만 씨를 비롯해 한국군의 예비역 인사들이 조력을 한 것으로 보임(이에 관해서는 "여기"를 참조). 당시 이들을 교육시킨 교육대장은 한국인 김종학 씨(1959년생, UDT 16기)로, 그는 이에 대한 공로로 캄보디아 현역 대령 계급을 받았다고 한다.
(7) 2,000명 규모의 해병대 창설이 공식발표된 바 있으나, 위 (6)의 조직과 어떤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됨.
○ 경호부대 (편제상으로는 "관방부" 소속일 것으로 추정됨)
(8) 훈 센 총리의 경호를 전담하는 사실상의 군사조직으로, 총 병력은 4,00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군총사령부 예하 "70 여단"은 이 부대의 외곽 예비전력이다. 경호부대는 다른 특수부대의 우수요원들을 선발해오는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 한국 해병대 출신 인사들이 이들의 훈련을 담당한 최근(2008년)의 사진들이 현재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는 상황이다. 경호부대는 최강의 지상전 전력이며, 여성 요원들도 상당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2008년 1월, 인도의 언론은 캄보디아 특수부대가 4주간 인도 특수부대와 함께 야전훈련 연수를 받기 위해 인도를 방문한 사실을 보도했는데, 이 부대가 어느 부대인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인도와 캄보디아는 군사적으로 매우 통상적으로 교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사진) 911여단 창설에 교육과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코파서스"의 대테러훈련 모습. "코파서스"는 인도네시아 내에서 양민학살 및 인권유린 논란에 휩싸여 있는 군사조직이기도 하다.
"제911 공수여단"의 명칭에 대해서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경우 "공수특공대대"(Para-Commando Battalion)란 표현을 사용했고, 여타 자료에서는 단순히 "특수부대"(Special Force)란 용어를 사용했는데, 캄보디아 국방부의 자료를 보면 분명하게 "공수여단"(Airborne brigade)이란 영문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의 특수부대들이 그러하듯, 여단이라고는 해도 병력규모는 연대급(2,000명 정도)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캄보디아의 정규사단인 "군구"의 경우 한 군구마다 병력이 3,500명 정도이다.
"공수부대"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적의 후방으로 침투하여 교란시키는 것을 제1의 임무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의 공군력을 살펴보면, 이들을 집단으로 실어나를만한 공중수송전력이 별로 보이질 않는다. 즉 고정익 항공기로서의 수송기가 보이지 않는 것이다(이에 관해서는 본 카페 내 게시물인 "캄보디아 공군이 보유한 항공기들"을 참조하라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총사령부" 직속의 3개 여단 중, 이들에게만 유독 "공수"(Airborne)라는 수식어를 붙인 것을 보면, 상당히 중요한 군사력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이와 유사한 문제는 해군이 창설하기로 발표한 해병대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해병대의 기본임무는 "상륙작전"이다. 그러나 캄보디아 해군은 전투병력 상륙이나 수송을 전문으로 할 함정을 갖고 있지 않고, 향후 단기간 안에 보유할 것으로도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이들이 창설할 해병대는 새로운 소속의 "특수부대"가 될 확률이 높다. 더구나 그 2,000명 병력 대부분을 육군에서 소속전환 형식으로 창설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는데, 영세한 캄보디아 군대로서 장비의 현대화보다는 인적 자원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방향, 즉 전체 군대에서 특수부대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려는 것이 아닌가도 추측된다. 또한 "무력이 곧 권력"임을 몸으로 체득하고 있는 훈 센 총리의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특수부대들을 여러 소속으로 분산 소속시킴으로서, 혹시라도 발생할 지 모를 불미한 사태(?)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인지도 알 수 없다. 이는 좀 과도한 추측이긴 하지만, 그 가능성은 조금은 있다고 생각된다.
2. 제 911 공수여단 개요

"제911 공수여단"의 여단사령부는 프놈펜에 있다. 육군 소속의 정규군의 경우, 수도를 포함해 전국의 지방별로 총 6개의 군구와 17개 국경수비대대가 분산되어 포진해 있고, 이들에 대해 증원용 혹은 예비전력으로 하나의 추가 사단이 프놈펜에 배치되어 있는데, 아마도 대부분의 특수부대들은 예비전력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프놈펜에 주둔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경우 "제911 공수여단"을 육군의 예하부대로 보고했지만, 캄보디아 국방부 자료를 보면, 이 부대는 분명하게 "육군본부"가 아닌 그보다 상급기관인 "군총사령부"(합참본부와 유사)의 군령권을 받고 있다.
"제911 공수여단"의 대부분의 장병은 인도네시아 육군특수부대 "코파서스"(Kopassus)에게서 훈련을 받았고, 동일하게 붉은 베레모를 착용하는 것을 비롯해 복장과 장비 등도 유사한 것을 사용한다. 2002년 <신동아> 1월호를 보면, 한국인 김경환 씨(당시 35세, 대북첩보부대 HID 출신)가 이 부대 장교 107명에게 레인저 훈련을 시킨 사례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어찌되었든 이들은 선발된 요원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이고, 그 훈련과정에서 특정한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붉은 베레모와 뱃지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부대는 자체 내에 "수중특공대"(Naval Commando), "저격조"(Sniper unit), "대테러조"(anti-terrorist units)를 각각 1개 부대씩 두고 있다.

<위키피디아 영문판>에서 제공하는 911 공수여단 유니폼 사진. (사진: "khemerak" 회원이 2008-02-21 업로드) |
3. 특수부대의 장비
특수부대의 장비는 육군의 여타 부대의 장비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AK-47 (56형) 소총의 경우 제법 믿을만한 성능을 가졌지만, 근접전이나 인질극 등에서 훈련된 정예대원들이 사용하기엔 부정확하고 지나치게 화력이 강하다.
캄보디아 특수부대는 외국 군대 중 “불독새끼”(bullpup) 시리즈인 신형 QBZ-97 공격형 기관총을 가장 먼저 사용한 군대이다. 이 소총은 중국의 지안셰 그룹(Jian She Group)에서 수입했는데, 3점사(한번 발사에 3발씩 나감)와 발사-잠금 기능이 첨가된 것이다.
장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자료는 본 카페 내 게시물인 "캄보디아 육군의 전투장비 현황"에서 "개인화기" 부분을 참조하라.
4. 기 타
현재 온라인 상에서는, 소수이긴 하지만 "911 특수부대", 혹은 "캄보디아 특수부대"로 소개한 사진 몇 장을 얻을 수 있는 상태다. 참고로 이 사진들을 게시한다. 이 사진들에서 나타난 병사들은, 일반 보병이 사용하는 AK-47 소총이 아니라 QBZ-97 공격형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그 점에서 이들이 특수부대인 것은 확실한데, 캄보디아 군인들과 함께 이 게시물을 검토해본 결과 이하의 사진들이 바로 "훈 센 총리 경호단" 소속 병사들로 확인됐다. 다만 911여단 전투원들도 전투 시에는 이들과 유사한 복장 및 장비로 무장할 것으로 생각된다.


2008년 가을 쁘레아위히어 사원 교전이 발생했을 때 AFP가 보도한 사진이다. 이들은 훈 센 총리 경호단 소속이다. 그렇다면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이 발생했을 때, 캄보디아 측에서는 담당부대인 국경수비대 말고도 총리실 직속의 경호단 소속 정예 특수부대를 동원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사진 역시 사원을 배경으로 하는데, 이 사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
(2010년 1월 추가)
|
(동영상: 캄보디아 국영방송) 쁘레아위히어 사원에서 철수한 911공수여단 환영식의 모습(2009년 11월 13일). 개별 병사의 총기수입 상태를 검사하는 훈 센 총리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그가 분명 자신의 정체성 중 상당한 부분을 "군인"이라는 특성에 부여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
(2011년 1월 5일 추가)
다음은 2010년 7월에 공개된 911여단 관련 동영상이다.
|
(동영상) "911여단"은 인도네시아 특수부대인 "코파서스"로부터 매년 정례적인 훈련을 받고 있는데, 이 동영상은 인도네시아 언론이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단장 쩝 피억더이 소장과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인터뷰 내용은 주로 인도네시아에 감사한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
* 위의 동영상의 설명 부분에는 "911여단"의 부대 편제에 관한 설명도 들어 있다. 가장 최근의 정보인 이 설명을 요약,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번역]
주둔지 : 껀달(kandal) 도, 엉스노울(Angsnoul) 군, 깜볼(Kambol) 면, 따께트마이(takethmey) 리.
"911공수여단"의 총 병력 규모는 1,750명으로, 다음과 같이 14개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 공수 특공대 (4개) : 제1대대~제4대대
- 기습 특공대 (5개) : 제5대대~제9대대
- 지원 특공대 (3개) : 제10대대~제12대대
- 근접 보호대 (1개) : 제13대대
- 대테러 부대 (1개) : 제14대대
대테러 부대인 "제14대대"는 캄보디아 최초의 대테러 군사조직이며, "911여단" 내에서 "스와트"(SWAT: 특수기동대) 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제14대대"는 대테러 작전 시 사법권을 갖고 있다.
특수부대는 다음과 같은 정례적인 훈련 및 합동 작전훈련 과정을 이수한다.
- 특수전 훈련 6개 과정 (레드베레 수여)
- 공수훈련 11개 과정
- 자유낙하 3개 과정
- 수쿠버 훈련 3개 과정
- 대테러 훈련 3개 과정
캄보디아 "911여단"은 인도네시아에서도 훈련을 받는다. 훈련장소는 자바(Java) 섬 서부의 반둥(Bandung)에서 22 km 떨어진 "바뚜자자르 훈련소"(Batujajar military training center)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