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 목 | 등록문화재 제112호 |
---|---|
명 칭 |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
분 류 | 등록문화재 / 기타/ 산업시설/ 산업시설 |
수량/면적 | 폭3m, 길이120m, 높이30m |
지 정 일 | 2004.09.04 |
소 재 지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산81-2, 갈말읍 정연리 1496 외 1필지(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갈말읍 정연리 경계) |
시 대 | 일제강점기 |
소 유 자 | 한국전력공사 |
관 리 자 |
철원군수 |
설 명 |
이 교량은 1926년 세워진 금강산 전기철도용 교량이다. 금강산 전기철도는 철원역을 시발로 종착역인 내금강역까지 총 연장 116.6㎞에 달했으며 일본회사인 철춘철도주식회사에 의해 부설되었다. 요금은 당시 쌀 한가마 값인 7원 56전으로 1936년 당시 이용객은 연간 15만4천여명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창도의 풍부한 유화철을 흥암을 경유하여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한 지하자원 수탈 및 금강산 관광용으로 운행되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에서 북한에 의해 군수물자 수송에 사용되었다. 금강산 전기철도의 흔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남북분단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금강산전기철도의 흔적을 그대로 간직한 이 교량은 2004년 9월 4일 등록문화재 112호로 지정되었다. |
---|
*답사 당시 찍은 사진들 중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 사진들만 나름 골라 올렸으나,
문제를 제기하실 경우 해당 사진을 자르고 다른 사진으로 대신하겠습니다.
찾아가시는 길)
서울 등에서 지경리까지 가신 후 택시를 타시는 방법과 동송까지 가신 후 정연리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신 다음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경리가는 시외버스로는 서울 수유동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와수리행 일반 시외버스와 무정차 시외버스,
동서울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와수리행 일반 시외버스가 있습니다. (동서울터미널
에서는 문혜리 다음에 와수리로 넘어가지만 경험상 지경리에서 의정부로 가려는 길에
동서울행이 오길래 잡았더니 정차하더군요.)
수유역 4번 출구에서 나와 정면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작은 조립식
건물과 길가 가판대 옆 정류장 표지판이 보이면 수유동 정류장입니다.
수유동 정류장에서 와수리행 시외버스는 일반 시외가 06:10, 07:00, 07:55, 08:40, 09:30,
10:25, 11:25, 12:10, 13:00, 13:55, 14:40, 15:30, 16:25, 17:25, 18:10, 18:55, 19:55, 20:45
에 있고 무정차 시외버스는 06:50~19:50(매시 50분 출발), 21:00에 있습니다. 지경리까지는 똑같이
8,400원이고 무정차는 1시간 50분, 일반 시외는 2시간 10~20분 잡으시면 됩니다. KD 인수 후
최근 확인한 결과 위와 같이 시외버스 시간이 바뀌었고 있었던 수유동 컨테이너
표 사는 곳은 사실상 폐쇄되었습니다. 버스에서 운임을 현금이나 카드로 내셔야 합니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와수리행 일반 시외버스는 06:25, 07:35, 08:25, 09:35, 10:25, 11:35, 12:25,
13:35, 14:25, 15:35, 16:25, 17:35, 18:25, 19:35, 20:30에 있습니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지경리가 경유지로 나오지 않고 운임도 쓰여있지가 않습니다. 나와있지 않아 자세히 물어보셔야
할 것 같구요. 대략 운임은 9,500원대, 소요시간은 2시간 40분 정도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버스가 자주 밀리는 동부간선도로를 지나가므로 동서울에서 가는 건 비추입니다. 수유동에서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지경리에 내리시면 내리는 곳 근처에 개인택시가 있습니다. 만일 택시 사무실에 계시면
전선휴게소 간다고 말씀드리고 택시를 타시면 되고, 안계시면 개인택시 번호인 033-458-0169 혹은
017-265-0521로 연락하시면 되겠습니다. 택시 운임은 제가 갔을 당시 13,000원~15,000원이었으나
전국의 대대적인 택시 운임 인상으로 지금은 20,000원+@를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택시를 타고 가는 길 중간에 도창리 검문소를 지나가게 됩니다. 검문소에 들를 때 전선휴게소
매운탕 먹으러 왔다고 말한 다음 전선휴게소에서 어떻게 돌아올지를 말하고, 신분증을 맡기시면
됩니다. 그러면 임시 출입증을 받게 되는데, 다시 검문소에 돌아올 때까지 꼭 간직하셔야 합니다.
출입 시간은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00~17:00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지경리~전선휴게소를 택시를 타면 15~20분 정도 걸립니다. 출입 시간에 맞추기 위해서는
수유동에서 적어도 하절기에는 13시 50분 출발 무정차 시외버스나 14시 10분 출발 일반 시외버스를
타시고 동절기에는 이보다 1시간 앞당겨 타실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전선휴게소 주차장에서 전선휴게소 건물 왼편으로 조금만 가면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안내판이 있고
그 오른쪽으로 금강산 전기철도교량으로 내려가는 인도가 나 있는데 거기로 가서 조그만 나무다리를
건너면 금강산 전기철도교량입니다.
전선휴게소에서 돌아오실 때는 개인택시를 불러 타시거나 아니면 히치 하이킹을 시도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정연리로 가는 방법의 경우 제가 우리나라 철도 관련 문화재 전체를 정리한 글을 올리면서
어느 분이 정연리로 가서 가는 방법도 있다고 해서 아직 확실치는 않지만 여기에 올리고자
합니다. (혹시 보시면 자세하고 확실한 방법을 알려주세요^^;;)
정연리로 가려면 먼저 수유동이나 동서울에서 동송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셔야 합니다.
수유동에서는 05:50, 06:40, 07:30, 08:25, 09:10, 10:00, 11:00, 11:55, 12:40, 13:30, 14:25,
15:10, 16:00, 17:00, 17:55, 18:40, 19:30, 20:20에 일반 시외버스가 출발하고 06:20~19:20
(매시 20분 출발), 20:40에는 무정차 시외버스가 출발합니다. 동송까지는 8,100원입니다.
동서울에서는 06:00~20:50까지 30~48분 간격으로 다니고 06시이후~19시 15분까지
45분, 15분, 57분 출발 패턴으로 갑니다. 19시 15분 이후 20시, 20시 50분에 있고,
운임은 9,800원입니다.
동송(이평리)에서 정연리로 가는 시내버스는 06:30, 09:00, 11:35, 13:35, 15:35, 18:00에 있고
정연리에서는 07:00, 09:35, 12:05, 14:05, 16:05, 18:30에 이평리로 돌아가는 시내버스가 출발합니다.
동송(이평리)~정연리 시내버스가 전선휴게소 근처까지 가는지 모르겠으나 내리면 일정한 도보가
불가피할 것 같다는 것이 제 견해입니다. 그런데 민통선은 지역주민을 제외하고 도보가 불가능하여
동송~정연리 코스로 갈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갔었을 때도 도창리 검문소에서 돈이
모자라 전선휴게소에서 걸어가서 돌아오겠다고 말했다가 잠시 곤욕을 치르고 기사님께도 혼난 적이
있습니다.)
민통선 지역으로 다음 지도는 위성, 일반 모두 나와있지 않고 네이버는 일반지도에 나와있기는 하나
중요지역인 특성을 감안하여 지도는 올리지 않겠습니다.
|
첫댓글 선로랑 다 철거 된건가요???그나마 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없으면 그냥 다리 같네요..
선로는 아주 오래 전에 철거된 듯 합니다. 더해서 말씀드리면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이후 정연리 쪽으로 선로였던 터 흔적만 남아있습니다.
저기 재미있는곳은 저기지역 근처거 군부대가 좌악 깔려있죠..(아직도 저기 소초이름다기억 합니다.)
물이 까끗해서 물고기가 다보이는군요ㅎㅎㅎ
철도공사가아닌 한국전력소유인게 특이하군요. 금강산전철 운영회사가 전력사업으로도 컸었던 점이 작용한것 같군요..
DC 3000V로 운행 했다는게.. ㅎㄷㄷ
반세기가 지나서 그런지 철교외에는 다른 철로흔적을 찾을 수 없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