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신화 - 주몽
부여의 금와라는 왕이 있는데 어느 날 그는 사냥을 하다가 '우발수'라는 강가에 이르렀다.
그러다가 유화 부인을 보았다.
유화는 물의 신 하백의 첫째 딸이다. 해모수와 사랑에 빠져서 아버지의 허락 없이 결혼을 해서 쫓겨났다는 것이다. 금와는 그녀를 자신의 대궐로 데리고 갔다.
대궐에 있는 지 며칠 지나지 않았는 데 유화부인은 커다란 알을 하나 낳았다.
금와왕은 그 알을 나쁜 징조라고 여기고 돼지 우리에다가 버렸다.
하지만 돼지들은 먹으려고 들지 않았다.
두 번째로는 들에다가 갔다가 버렸지만 숲에 사는 동물들이 따뜻하게 감싸주었다.
이 소식을 들은 금와는 그것을 칼로 쳤지만 깨지지 않았다.
그래서 금와왕은 알을 유화부인에게 도로 갔다 주었다.
며칠 후, 알은 깨지고 아이가 나왔다.
그는 기가 막히게 화를 잘 쏘았다. 그래서 그의 이름은 '주몽'이다.
동부여의 일곱 왕자들은 주몽을 시기하고 주몽을 산에 나무에 묶었다.
하지만 주몽은 그 나무를 뿌리째 뽑아서 왔다.
그 즈음, 주몽은 예씨라는 아가씨를 아내로 맞이했다.
그리고 유화부인이 동부여를 떠날 시간이라고 해서 주몽은 그곳을 떠났다.
예씨 부인이 임신 중이었다. 아들이면 일곱 고개, 일곱, 골짜기의 일곱 모난 돌 위 소나무 아래에 숨겨둔 곳에서 증표를 찾으라고 하였다.
엄호수라는 강까지 갔었는데 추격 꾼들도 따라왔다. 주몽은 하늘의 자손이고 하백의 손자이니 강에게 도와달라 청하니...... 거북과 물고기들이 다리를 만들어 건널 수 있게 해 주었다.
주몽일행은 계속 남쪽으로 내려갔다. 그러다가 산골 근처의 있는 사람들이 찾아와서 자신들을 받아 달라고 하였다. 주몽은 재사에게는 극, 무골에게는 중실, 묵거에게는 소실이라는 성을 지어주었다. 그래서 졸본 쪽 땅에 고구려라는 나라를 새우고 왕이 되었다.
백제 신화 - 온조
백제를 세운 온조는 주몽의 이붓 아들이다.
우태왕과 소서노의 아들이다.
유리가 태자가 되었을 때, 비류 온조는 고구려를 떠나기로 했다.
고구려를 떠난 지 2년 만에 일행은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 이르렀다. 온조가 이곳이라고 하였지만 비류는 바다가 있는 곳이 좋다며 미추홀로 내려갔다.
온조는 기원전 18년,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 터를 잡고 나라를 세웠다. 위례성은 본디 마한에 속하는 작은 나라이다. 처음 십제라고 지은 나라이름은 나중에 만 백성이 즐겨 부른다는 뜻으로 '백제'가 되었다. 백제는 삼한 중 마한을 정벌하였다.
그리고 점점 강성해 져갔다.
신라 신화 - 박혁거세
사로국은 진한 나라의 12개국 중 하나이고 지금의 경주인 서라벌에 자리잡고 있다.
서라벌 한가운데 알천이 흐르고 숲이 우거져서 경치가 매우 좋고 땅도 기름졌다.
주위에는 사량, 본피, 습비, 등 사로 부족의 여러 씨족이 각각 마을을 이루어 살았는 데,
마을을 대표하는 이를 촌장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여섯 촌장이 알천 냇가의 언덕에 모여 회의를 하고 있는데 양산촌의 나정 우물 옆에서 찬란한 빛이 뻗쳐 나오고 있었다. 그리고 백마 한 필이 꿇어 앉아 빛이 뿜어지는 하늘에 절을 하고 있었다. 보통 일이 아니라면서 여섯 촌장들은 그곳으로 가보았다. 하지만 백마는 어디에도 없고 붉고 큰 알 한 개가 놓여 있었다.
그 알 속에서 나온 아이가 바로 신라의 시조'박혁거세'이다.
그 뒤 양산촌의 알영이라는 곳에서도 닭의 머리에 용이 옆구리에서 여자 아이를 낳고 사라졌다. 이 여자 아이가 바로 박혁거세의 아내인 '알영' 이다.
이들이 다스리는 나라는 풍요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