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익은”, “때가 된”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인
ripe 의 어원은 우리말로 “익어삐” 같습니다
여기서도 ㄱ이 탈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발음을 따른 원래의 형태는 rikpe 정도 되겠지요
“익어삐”와 “익어”는 같은 말입니다
경상도에서는 지금도 “고기 다 익었나?”를
“고기 다 익어삤나?”라고 합니다
“일을 해라”를 “일을 해삐라”라고도 말이죠
이런 경우를 순경음(脣輕音)이라고 합니다
즉, ㅇ과 ㅂ은 같은 것이라고 보라는 뜻입니다
궁금하시면 제 사이트의
“한방에 알아보는 영어는 우리말”을 참조하세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세계의 언어들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봤습니다
“(음식을) 불에 굽는다”, “고기를 익혀줘삐”, “역시 맛이 깊이 있어”,
“바로 익혔어?”, “(잘 익어서) 맛 있당”, “(나랑 잘) 맞아”,
“(덜 익었다) 익혀 먹어”, “(내가) 익히랬다”, “(잘 익혀서) 맛 있더라”,
“(음식은 불에) 찐 (것이 최고여)”등으로 나옵니다
2316. ripe (라이프, 잘 익은, 때가 된, 가능성이 높은):
익어삐, 익어버리다가 어원 (* c, k 탈락현상)
* 남아프리카어: ryp (익어삐) (* c, k 탈락현상)
* 카탈루냐어: madur ((잘) 맞아)
* 중국어: 成熟
* 크로아티아어: zreo (잘 익어) (* c, k 탈락현상)
* 체코어: zrale (잘 익을) (* c, k 탈락현상)
* 덴마크어: moden ((잘) 맞은) (* ㄷ ⇋ ㅈ 호환 관계 적용 시)
* 네덜란드어: rijp (익혀줘삐) (* c, k 탈락현상)
* 핀란드어: kypsa (깊이 있어)
* 프랑스어: mur ((익혀) 먹어) (* c, k 탈락현상)
* 독일어: rief (익어삐) (* c, k 탈락현상)
* 헝가리어: erett (익히랬다) (* c, k 탈락현상)
* 아이슬란드어: broskaður (바로 익혔어)
* 인도네시아어: matang ((잘익어서) 맛있당)
* 아일랜드어: aibi ((잘) 익어삐) (* c, k 탈락현상)
* 이탈리아어: maturo ((잘 익어서) 맛있더라)
* 한국, 일본: ripe ((잘) 익어삐)
* 말레이시아어: masak ((잘 익어서) 맛있을까)
* 노르웨이어: meden ((잘) 먹었다는) (* c, k 탈락현상)
* 폴란드어: dojrzaly (발음: 도이자위)
* 포르투갈, 스페인: maduro ((잘 익어서) 맛있더라)
* 스웨덴어: mogen ((맛있게) 먹은)
* 터키어: olgun ((음식을) 불에 구운) (* ㅇ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베트남어: chin (발음: 찐) ((음식을 불에) 찐)
ripe = rikpe = 익어삐 = 익어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