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묘사의 뜻 : 어떤 대상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림을 그리듯이 생생한게 나타내는 방법이다. 묘사는 주로 감각적인 인상에 크게 의존하여 대상이 주는 ( ) 일시적으로 대상에 대한 정확한 식별과 느낌이 묘사의 바탕이 된다.
(2) 묘사의 방법
① 묘사할 대상의 모양과 크기 등을 정확하게 관찰하여 표현한다.
② 전체적인 모양, 크기, 색깔 등을 말한다.
③ 왼쪽→오른쪽, 윗부분→아랫부분, 가까운 곳→먼 곳 등의 일정한 순서를 정하고 그에 따른다.
< 참고 > 묘사의 순서
·수평적 순서 : 대상이 수평적 구조로 된 경우. '왼쪽→오른쪽'이나 그 반대의 순서로 묘사한다.
예) 마을의 풍경
·수직적 순서 : 대상이 수직적 구조로 된 경우. '위→아래'나 그 반대의 순서로 묘사한다.
예) 사람의 얼굴
·순환적 순서 : 순환적 구조로 된 현상을 묘사할 경우에는 시계 방향 등의 순서에 의해 묘사한다.
예) 인체의 혈액 순환
④ 대상의 주된 초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묘사한다.
●묘사(描寫)
1. 묘사의 방법
묘사하려면, 표현하려는 공간이나 대상 전체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순서를 정하여 각 부분을 차례차례로 표현해야 한다. 묘사의 순서를 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1. 전체를 먼저 표현하고 부분을 다음에 표현하거나, 반대로 부분을 하나하나 표현하고 맨나중에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1.2 공간이나 대상의 어느 쪽에서 묘사를 시작하고 계속하고 끝낼 것인지를 정한다. 이 경우 앞을 먼저 묘사하고 옆을 다음에 표현하고 뒤를 나중에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1.3 한 지점에서 바라보는 산이나 마을이나 도시와 같은 큰 공간을 묘사할 때에는 동쪽으로부터 차례로 서쪽으로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할 수도 있으며, 북쪽으로부터 차례로 남쪽으로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할 수 있다.
1.4 공간이나 대상으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보는 모습을 먼저 묘사하고 차츰 먼 곳에서 보는 모습을 묘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묘사할 수도 있다.
예문) 이지러는 졌으나 보름을 갓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뭇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팔십리의 밤길, 고개를 둘이나 넘 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 길이 좁은 까닭에 세 사람은 나귀를 타고 외줄로 늘어섰다. 방울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이효석 <메밀꽃필무렵>
* 묘사하기
(1) 뜻 : 어떤 대상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림을 그리듯이 나타내는 방법이다.
(2) 종류
① 객관적 묘사 : 어떤 대상에 대하여 감각 기관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사실 그대로 정확하게 나타내는 방법
② 주관적 묘사 : 어떤 대상에 대하여 관찰한 내용에 대한 글쓴이 나름대로의 독특한 느낌을 나타내는 방법
(3) 방법
①묘사의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질문
ⓐ 묘사 대상에 대해 본 것, 또는 느낀 것은 무엇인가?
ⓑ 묘사 대상은 어떤 부분들로 나누어 지며, 각 부분의 특징은 무엇인가?
① 묘상의 순서를 정하기 위한 질문
ⓐ 전체에 관한 내용과 각 부분에 관한 내용 중에서 어느 쪽을 먼저 묘사할 것인가?
ⓑ 각 부분에 관한 내용들은 어떤 순서로 묘사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