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산(蓮華山) 옥천사(玉泉寺)
신라의 성인 원효대사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의상조사는
당나라 유학시 그곳 종남산에서 지엄선사로부터 화엄의 오묘한 뜻을 깨닫고 귀국하여
화엄대의(華嚴大義)를 선양하면서 국내의 영지를 택해서 '화엄십찰'을 세웠는데,
옥천사는 그 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창건되었다.
옥천사 옥천각(玉泉閣)
경내에 달고 맛있는 물이 끊이지 않고 솟는 샘이 있어 절 이름을 '옥천사'라 부르게 되었고,
연전엔 '한국의 명수'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소문난 물맛을 자랑하고 있다.
지금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쌍계사의 수말사로 진주권 불교의 중심도량이다.
옥천사 일주문(一柱門)
옥천사는 창건 이후 수차례 중창하였으나
조선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완전 소실된 것을,
인조 17년(1639년) 학명대사가 대둔리 촌락에서 유숙하다가
신인이 지시하는 곳에 대가람의 형국이 나타나는 영몽을 꾸고
다음날 이곳을 찾아 명당의 절터를 알고 의오대사와 힘을 합하여 7번째의 중창을 시작하였다.
옥천사 범종각(梵鍾閣)
이때 건립한 것으로는 인조 22년(1644년)에 동상당을 세웠고
인조 23년에 심검당을 세웠으며 효종 5년에는 법당과 궁선당을 세우고
현종 5년에는 성요, 승안, 돈계화상 등의 원력으로 정문을 건립하여 그 규모를 확장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옛 신라고찰의 맥을 잇고 면목을 갖추었고,
그 뒤 숙종3년에 묘욱선사가 법화외사를 열고 대중을 모아 묵루각, 향적전, 만월당을 세우고,
다음 해에는 관음전, 청계당, 옥련암을 세웠으며 한해 넘어서는 동상당을 중창하고
그 다음에는 승당과 선당, 정문, 시왕전, 백련암을 중창하였으며
영조 40년에는 '자방루'를 건립하였으니 이것이 8번째의 중창이다.
옥천사 해탈문(解脫門)
임진왜란 이후로 두 번째의 환란을 입은 천년 고찰에
구제의 손길을 펴신 분은 화농화상이었고 때는 고종 25년이었다.
화상은 난동으로 황폐해진 경내를 정돈하고 적묵당과 탐진당을 중수하였으며
각 암자도 면목을 일신케 하였는데 옥천사의 오늘을 있게 한 위대한 공이 아닐 수 없다.
이때를 9번째 중창으로 부르고 있다.
옥천사는 근대 선지식의 한 분이신 '청담 순호'대선사의 출가도량으로
'자방루' 앞 마당에 부도탑과 탑비 등이 조성되어 있다.
옥천사 적묵당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로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495호인 '임자명반자'와
도지정문화재인 자방루, 향로, 대종, 대웅전 및 소장품 119점과
천연기념물로 청련암의 '찰피나무'가 있다.
암자로는 백련암, 청련암, 연대암 등의 부속암자가 있으며,
옥천사 임자명반자, 배불, 옥천사 소장품 등 120여점의 불교유물의 보관관리를 위한
'유물전시관(보장각)'이 건립되어 연화산도립공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불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옥천사 대웅전(大雄殿)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는 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효종 8년(1657)에 용성화상이 다시 지었으며,
그 후에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단층에,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갖춘 목조기와 건물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으로
내부의 천장은 2단으로 된 우물천장이고, 불단이 있으며 그 뒤에는 탱화가 걸려있다.
대웅전 앞에는 좌우에 괘불을 거는 당간지주가 있으며,
조선시대 사찰불전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물이다.
옥천사 명부전(冥府殿)
명부전은 조선 중기에 중창되었으며,시왕상과 인왕상 등이 모셔져있다.
옥천사 자방루(滋芳樓)
옥천사 자방루(안쪽)
자방루는 신도들에게 설법을 하는 강당과
절의 행사 때 쓰이는 기구 등을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되던 누각으로
앞면 7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며
내부의 중앙에 4개의 고주를 일직선으로 배치하고 통간으로 개방된 커다란 단일공간을 만들고 있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놓인 주심포계 건물이다.
사찰에서 누각은 일반적으로 대웅전과 마주보고 있는데,
자방루 역시 앞마당과 누각의 마루를 거의 같은 높이로 하여 대웅전 앞마당에서 출입하기 쉽도록 하였다.
대웅전 마당 쪽을 향하는 면은 난간을 설치하여 개방하였고 서쪽과 북쪽면은 벽을 설치하였는데,
특히 북쪽면은 7칸 모두 2짝씩의 널판장문을 달아 밖의 경치를 볼 수 있게 하였다.
사찰 누각으로서 대단히 큰 규모를 가진 자방루는 우아한 건물로 이 절의 품위를 한층 더 높이고 있다.
옥천사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
반자란 절에서 사용하는 금속으로 만든 일종의 타악기이다.
'금고' 또는 '금구'라고도 하며 절에서 대중을 불러모으거나, 급한 일을 알리는데 사용한 도구이다.
이 반자는 지름 55㎝, 너비 14㎝로, 표면에 굵고 가는 선으로 4개의 테두리를 둘러 4개의 원을 만들었다.
중심원(경16.5cm)안은 6개의 둥근 연꽃열매가 돌출 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융기선 으로 표현한 연꽃잎이 있다.
다음의 원천내에는 조식이 없고 외주의 원천에는 융기된 쌍구식의 당초분이 장식되었다.
측면은 중앙에 태세융기의 선이 있어 좌우 2구로 구분하고 이 융기 구획선 위에 꼭지 3개가 달려있다.
2구중 표면에는 4행의 명문이 음각되었다.
옆면은 중앙에 굵게 돌출된 선이 있어 위 아래로 구분되고,
선 위로 둥근 모양의 고리가 3개 있어 매달 수 있게 되어 있다.
옆면 위쪽에 쓰인 글로 미루어 보아 고려 고종 39년(1252)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반자는 무늬가 뚜렷하고 손상이 없으며,
옆면의 글을 통해 만든 시기와 유래, 관계자의 성명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옥천사 향로(향로)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의미를 가진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도구를 말하는 것으로
높이 23㎝, 입 지름 27.5㎝인 청동으로 만들어진 향로로, 몸체의 둘레에 4개의 꽃 모양으로 창을 만들고,
그 안에 봉황을, 남은 공간에는 빈틈없이 덩굴무늬를 새겨 넣었다.
입 주위에는 넓은 테를 가진 전이 있으며, 안쪽으로 '의령 수도사'라고 점선으로 새긴 글자가 있다.
아랫부분의 받침대에는 문양이 없고 조선 순조 16년(1816)에 보수하였다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가경 21년은 순조 16년(1816년)인데 이태좌의 형태가 향로 몸체와 균형잡히지 않은 점,
은입사의 노조가 없는 것으로 봐서 이태좌 부분은 당초의 원형이 아니고 조선 말년 보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향로 몸체부는 무늬를 먼저 새긴 다음 은으로 입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문양을 만드는 은입사로 표충사의 향로와 같은 수법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고려말이나 조선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옥천사 대종(大鐘)
건융 41년(1776년) 신도들이 시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옥천사 대종은
조선시대 청동으로 만든 높이 110㎝, 입 지름 82.5㎝의 종으로
표면에 아미타불 및 삼존불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으며 진주 민란 때에 파열된 것을 수리하였다.
종을 매는 용뉴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앉아, 여의주를 물고 하늘로 오를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종의 윗쪽 띠에는 2자씩으로 연결된 80여자의 범자가 새겨 있으며, 아래쪽 띠에는 연꽃 덩굴무늬가 새겨 있다.
범자무늬 아래에는 4곳에 정사각형의 유곽이 배치되었는데, 유곽은 덩굴무늬를 그려 만들었다.
유곽 안에는 9개의 도드라진 유두가 있으며,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삼존불이 양각되어 있다.
아래쪽 띠 위편에는 건륭 41년으로 시작되는 글이 있다.
옥천사 산령(신).독성.칠성각
옥천사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들은
불교의 의식이나 행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유물들로 총 119점이 있다.
금당(金堂),팔상전(八相殿),명부전(冥府殿),조사전(祖師殿),적묵당(寂默堂),탐진당(探眞堂),
축성전(祝聖殿),독성각(獨聖閣),칠성각(七星閣),보장각(普藏閣),산령각(山靈閣),범종각(梵鐘閣),
옥천각(玉泉閣),일주문(一柱門),천왕문(天王門),해탈문(解脫門),괘불석주(掛佛石柱),
옥천사 소장품(괘불탱)
대웅전 법고(大雄殿 法鼓),탐진당 금고 (探眞堂 金鼓),괘불(掛佛),금강경 목판(金剛經 木版),
대웅전 불단(大雄殿 佛檀),명부전 불단(冥府殿 佛壇),나한전 불단(羅漢殿 佛壇),
나한전 십육나한상(羅漢殿 十六羅漢像),명부전 시왕.인왕상(冥府殿 十王.仁王像),
천왕문 사천왕상(天王門 四天王像),범종각 내 구시(梵鐘閣 內 구시),
옥천사 소장품(묵서)
팔상전 석가후불탱화(八相殿 釋伽後佛幀畵),대웅전 삼장탱화 (大雄殿 三藏幀畵),
대웅전 신중탱화(大雄殿 神衆幀畵),팔상전 팔상도 (八相殿 八相圖),
의상대사 진영(義湘大師 眞影),백련 상오선사 진영(白連 尙悟禪師 眞影),
서응대강백 진영(瑞應大講伯 眞影),포광당 진영(包光堂 眞影),
옥천사 사적비( 事蹟碑),옥천사 부도군(玉泉寺 浮屠群)
청담대종사 사리탑(靑潭大宗師 舍利塔),청담대종사 사리탑비(靑潭大宗師 舍利塔碑) 등이 대표적인 유물로
사찰 전체에 모든 전각을 배치한 통불교적인 박물관을 방불케 한다.
청담대종사 사리탑
옥천사 백련암(白蓮庵)
백련암은 옥천사의 맞은 편에 있는 산내 암자로,
숙종 4년(1678년)에 묘욱 선사에 의해 청련암과 함께 창건되었으며,
일주문을 지나 큰절을 향해 가다가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약 70여m 정도 올라가면
담장이 둘러쳐진 아담한 백련암이 산아래를 향해 자리하고 있다.
옥천사 연대암(蓮臺庵)
연대암은 연화산의 뿌리라고 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임진왜란 이후에 창건된 절로, 연화산 중에 있으나 큰절에서는 먼거리로,
개천면 소재지를 지나 진주방면으로 가다 좌측으로 난 길로 접어들면 나타난다.
옥천사 청련암(靑蓮庵)
청련암은 옥천사의 맞은 편에 있는 산내 암자다.
일주문을 지나 큰절을 향해 가다가 왼쪽으로 난 길을 따라 약 50m 정도 올라가면
유서 깊은 청련암이 큰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창건년대는 1678년(조선, 숙종4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창건주는 묘욱선사(妙旭禪師)라고 하나 자세한 것은 알 수가 없다.
묘욱선사는 1677년 대규묘 중창불사를 하여 가람을 새롭게 일신한 대공덕주였는데,
이무렵 청련암도 창건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후 청련암은 여러 차례에 걸쳐 중창, 중건되었겠지만
1895년(고종 32)에 化규수룡, 화용스님에 의해 중창된 사실은 기록에 전해오고 있다.
그리고 1901년에는 청련암의 아미타여래도가 조성 봉안되었으니,
이 불사는 금남치(錦南致)스님이 도감의 소임을 맡고,
기운 두연(寄雲 斗演)스님이 화주가 되어 이루어졌다.
옥천사 청련암 굴뚝
청련암이 창건된 지 2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많은 고승대덕이 주석하며,
법등을 이어 왔는데, 특기할 만한 사실로는
서봉(瑞峰)스님의 방광(放光)과 기운(奇雲)스님, 영송(永松)스님의 이적(異蹟) 및
서응(瑞應)스님의 만일계(萬日契)결성 등을 들 수 있다.
청련암은 20여년 전에 강승욱(姜昇旭)스님이 감원으로 취임하면서 면모를 일신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산내 암자에 감원(監院)을 두어 암자를 관리하게 했었는데,
감원은 해마다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리고 산내 암자의 유지에 소요되는 모든 경비는
큰절 종무소(宗務所)에서 지급하였으며, 회중(會中)살림으로 운영되었다.)
전각은 큰법당(觀音殿)과 별당(別堂), 칠성각(七星閣), 산신각(山神閣),
대문(大門) 그리고 천불전(千佛殿)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자 앞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리수나무의 일종인 '찰피나무' 고목이 있다.
☞ 서울, 대전→중부고속도로(대진 고속도로)→서진주IC→남해고속도로→문산IC→금곡면→1007 지방도 이용→옥천사이다.
☞ 마산, 부산 방면에서 국도 14호선을 이용하여 갈 경우
옥수 휴게소에서 약 5km정도 내려가면 화산 삼거리가 나온다.
그 곳에서 우회전하여 1007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15km정도 가면 연화산 도립 공원이 나온다.
또는 국도14번을 타고 고성방면으로 이동, 회화면 배둔리에서 지방도 1002번을 타면 서쪽으로 14㎞ 지점에 위치한다.
☞ 사천,진주방면 :
국도33번을 타고 고성방면으로 이동 → 상리면 부포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지방도 1016번을 타고 이동(20분 거리)한다.
☞ 항공편
- 대한 항공 : http://www.koreanair.co.kr/
서울 (02)756-2000, 진주 (055)757-2000
- 아시아나 : http://www.asiana.co.kr/
서울 (02) 774-4000, 진주 (055) 747-4000
☞ 열차편
- 서울역 (02) 364-7788
- 마산역 (055) 255-7788
- 진주역 (055) 752-7788
|
무이산 문수암
무이산 문수암
무이산 문수암
고성의 전통사찰인 문수암은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무이산에 있는 암자로서 신라 성덕왕 5년 의상 조사가 창건했다.
산명이 수려하여 삼국 시대부터 해동의 명승지로 유명하였고,
특히 화랑도 전성 시대에 국선 화랑들이 이 산에서 심신을 연마하였다고 전해진다.
사찰의 규모는 작지만 이 절에는 고승들이 많이 수도한 절로 유명한데, 현재의 문수암은 현대식 건물이다.
석벽에는 문수(文殊), 보현(普賢)의 두 보살상이 나타나 있으므로 문수단(文殊壇)이라 이름지었다.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은 석벽에 음각되어 있으며 인연있는 이에게만 모습을 나투신다고 한다.
관세음보살상(觀世音菩薩像)은 두 자 일곱 치 크기의 목각으로 되어 있다.
문수암은 청담 순호대선사의 수행처로 부도탑이 있고,
기암절벽이 암자 뒤편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산정에 오르면 남해안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마치 군산봉처럼 부침하는
일출의 명소로도 널리 알려져 새해엔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다.
입구 주차장에서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산능선을 넘으면 '보현암'이 나타난다.
☞ 마산,창원
- 국도14번을 이용 고성방면으로 이동 → 고성읍 남부 주유소 부근(고가도로 진입 전)에서 우회전하여
국도 33번을 타고 사천방면으로 이동 → 상리면 부포사거리를 지나 이정표 있는곳에서 좌회전한다.
☞ 진주,사천
- 국도33번을 타고 고성방면으로 이동 → 상리면 상동초등학교(폐교) 앞 신호등에서 우회전한다.
|
|
|
첫댓글 ㅎㅎㅎ...옥천사, 문수암도 접수합니다......ㅎㅎ
정원 신났군...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