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창마진 통합시의 명칭 및 청사 소재지, 임시청사가 통합준비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명칭은 창원시로, 청사 소재지는 1순위로 마산공설운동장과 진해 육군대학 부지가 복수로 결정되었다. 3개 시민 선호도 조사의 시 명칭은 그대로 반영되었으나, 소재지는 39사 부지가 차순위로 밀려났다. 그런데 문제는 통준위의 이번 확정안이 최선의 선택이었느냐 하는 점이다. 물론 3개 시의 주민투표로 결정된 것이라면 왈가왈부할 사안이 아니다. 행안부와 3개 시의회에서 주민투표 없이 강행한 것이기 때문에 통준위에서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6000명의 시민 선호도 조사는 했지만) 잘 승복하지 않을 것이다. 그 조짐은 마산시의 공식 반발과 창원시의회의 불만이 표출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통합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까지 통합청사 소재지를 결정하지 못한 여수시 사례에서 보듯이, 시 명칭보다는 해당지역 상권 형성의 관건이 될 수 있는 청사 소재지 문제가 더 큰 이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청사 소재지는 7월 1일 이후 통합시 의회가 구성된 뒤 재논의될 사안이지만, 현 추세대로라면 마산지역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창원시는 임시청사 지정을 핑계삼아 기득권을 주장하며 여수시처럼 시간끌기 작전을 구사할지 모른다. 시 명칭 문제는 마산시가 굳이 고집할 명분이 약하다. 반면 청사 소재지는 마산의 침체된 도심상권의 활성화 차원에서 사활을 걸고 집착할 것이다. 그러나 통합시의 명칭과 소재지 문제는 이런 지역 간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적어도 100년 후의 미래를 내다보는 긴 안목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통합시의 명칭은 도와 광역시의 폐지를 전제로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전적으로 필자의 견해지만, 지각 있는 식자층이나 언론기관에서 제기한 바 있는 의견을 개진코자 한다. 통합시의 명칭은 선호도 조사 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한 ‘경남시’가 가장 바람직하며, 시청사 소재지는 39사 부지가 아닌 창원대로 11km 중간지점인 대원동 ‘두대공원 시설녹지’가 최적지라고 생각한다. 이곳은 마산·창원·진해권의 중간지점으로서, 3개 시 간의 교통 접근성이 매우 좋다. 김해-부산권, 거제-통영-고성-마산권, 진해-부산 신항만권, 함안-밀양권과 창원기계공단을 연결하는 통과지점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도가 폐지될 경우를 대비해 ‘경남’이라는 지역브랜드의 선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창마진을 제외한 17개 시·군도 진주, 김해 등을 중심으로 언젠가 몇 개의 준광역시로 통합될 것이다. 그때 ‘경남시’라는 브랜드를 통합시 명칭으로 선점했을 경우, 대내외적으로 통합 창원시는 경남의 대표도시라는 상징성과 이미지를 잃게 된다는 점이다. 비근한 예로 경남대와 경상대가 교명 문제로 엄청난 갈등을 겪었지만 결국 ‘경남’이라는 브랜드를 선점한 경남대가 네임밸류를 높였다. 이처럼 브랜드 선점 문제는 장차 그 도시의 대외 인지도 측면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창원시는 ‘창원’이라는 명칭에만 집착한 나머지 알맹이 없는 빈 껍데기만 쥔 셈이 되었다. 그러나 마산시는 시 청사 유치로 도심상권 활성화의 새 전기가 마련되는 실속을 챙긴 셈이다. 당초 창원시에서 39사 부지를 선정한 것은 정책결정의 큰 오류였다. 부대 이전에 10년 정도 시간이 걸리고 위치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이다. 무엇보다도 도심상권 이탈과 관공서 신설·이전 등으로 도심 침체와 인구 감소는 불을 보듯 뻔하다. 물론 대국적 측면에서 창마진의 균형발전을 감안하면 바람직할지 모르지만 창원 시민에게는 불리한 결정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보다 신중하게 이 문제를 검토하지 않으면 3개 시민 간의 갈등과 불화만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 것이다. 보다 거시적 안목의 접근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광수(소설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