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태권도는 발(足) 기술의 다양성(多樣性)에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제자리에서 또는 움직이면서 차기, 뛰어서 차기, 각 방향차기, 공중
연속차기 등이 있다.
차기는 발을 사용하는 것으로 손과 지르기에 비해 공격거리가 길어 파괴력도 손의
위력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태권도가 가장 중요시하는 기술이다. 발차기의 요령은
일반적으로
첫 째 : 지지발의 무릎에서 나오는 탄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한다.
둘 째 : 찬 후 즉시 발을 제자리로 가져와 잡히지 않도록 한다.
셋 째 : 상황에 따라 차는 방법을 결정하여 몸을 목표방향으로 조정한다.
넷 째 : 지지발의 무릎은 약간 구부린다.
다섯째 : 차는 순간에 발을 고정하며 뒷꿈치가 들리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 목표물과의 거리 조정과 중심을 잃지 않도록 한다.
|
|
|
|
 |
미트발차기
|
 |
|
미트 발차기란 보조자가 미트를 잡고 수행자는 정확한 동작으로 타켓을 차는 방법이다.
초보자는 정확한 동작으로 찰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숙달된 수련자는 정확한 동작과 빠르게
차는 연습을 적절하게 연습하는 것이 좋다. 발차기중 많이 활용하는 발차기이기도 하다.
미트 발차기로의 장점은 공격목표를 정확히 찰 수 있다는 것과 스피드 힘을 기를 수 있다는
장점과 단점으로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품자는 수련 프로그램 시간에
많은 시간을 배정하여 지도해야 한다.
발차기유형: 조별차기, 일렬 발차기, 2인1조 발차기, 3인 1조 발차기 등
|
|
짓기(스텝)
발차기 |
 |
|
짓기(스텝) 발차기는 스텝을 이용하여 단순 발차기나 연결 발차기 등을 할 수 있다.
실제로 겨루기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격과 수비 형태를 갖추면서 자유자재로
발차기하는 방법이다. 짓기로는 전진 짓기, 후진 짓기, 일보전진 짓기, 일보후진 짓기,
45도 빠지면서 짓기 등이 있다.
발차기유형으로는 조별 왕복 발차기, 2인 1조 발 차기(약속 겨루기), 2인1조 발 차기(공격과
수비), 일렬 발차기, 원형 발차기 등을 들 수 있다.
|
|
|
호구
발차기 |
 |
|
호구를 직접차고 발차기하는 것으로 자기가 차고자하는 부위. 목표를 두고 정확히 공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많은 훈련이 필요하며 발차기로는 돌려차기(앞발, 뒷발), 빠른 발 돌려차기,
턴 차기 등을 연습한다. 발차기 유형으로는 2인 1조, 3인 1조 발차기 등이 있다.
|
|
시범발차기
|
 |
|
격파 시범을 위한 발차기며 빽 또는 미트를 이용하여 수련하며, 복합적인 발차기를
수행하여야 함으로 집중력과 협응력을 갖추어야 한다. 난이 한 동작을 격파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 집중력을 길러주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연습하는 과정도 중요하다.
|
|
발차기
유형 |
 |
|
(1)
조별 왕복 발 차기 |
 |
출발선을 중심으로 3열~4열종대로 서서 일직선상으로
이동하면서 발차기 한 다음 원위치로 돌아온다.
지도하는 방법으로는 앞으로 나갈 때에는 정확한 동작으로 차고 돌아올 때에는
빠른 속도로 찬다거나 뒤로 빠지면서 받아 차기로 찬다. 단일 동작과 복합 동작을
이용하며 공격과 방어를 병행하며 발차기 하되 스텝을 이용하여 발차기도 한다
|
|
(2) 일렬 및 원으로 돌면서 발차기
|
|
선두를 중심으로 1열 횡대로 서서 발차기 한다. 일렬 발차기는 일렬횡대로
서서 전진하면서 발차기를 하는 것을 말하고 원 발차기는 원으로 돌면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중심이동을 민첩하게 하여야 하며 앞사람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스텝과 연결 발차기는 유연하면서 신속 정확하게 하여야 한다.
++
방법 ++
|
짓기(스텝)와 연결동작을 이용하여 앞으로 전진 하면서 공격형태로
발차기 한다. 뒤로 빠지면서 받아 차기 형태로 한다. 2인 1조가
한 조가 되어 한 명은 전진 발차기 한 명은 뒤로 빠지면서 받아
차기 형태로 수행한다.
|
|
|
(3)
2인 1조 발 차기 |
|
2인1조 왕복 발차기는 출발선을 중심으로 3~4열종대로 서서 수행자는 앞으로
나가면서 발차기를 하고 보조자는 뒤로 빠지면서 받아 차기를 할 수 있고 미트를
잡아주며 보조자 역할만 할 수 있다. 2인 1조 발 차기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1보 2보 3보 발 차기로 수행자는 앞으로 나가며 발차기하고 보조자는 뒤로
빠지면서 방어만 한다. 단순 발차기로 공격과 방어를 두 명이 동시에 할 수
있다. 구령에 맞추어서 미트 발차기도 할 수 있다.
다양한 기술습득을 목표로 한다. 거리를 조절하면서 정확한 득점 부위를 주시하고
올바른 기술과 짓기(스텝)를 이용하여 발차기 한다. 발차기로는 단순 발차기
복합 발차기 기술적인 발차기 여러 형태별로 수련할 수 있다.
|
|
(4) 3인 1조 타겟 차기 및 호구차기 |
 |
3인 1조가 한 조가 되어 공격자는 중앙에 위치하고
보조자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호구를 착용하거나 타겟을 이용하여 발차기하는 것을
말한다. 한쪽은 호구 한쪽은 타겟을 잡고 수련해도 좋다.
보조자의 거리는 수행자의 앞 뒤 거리에서 단일동작 및 복합 동작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빠른 동작과 연결할 때 강, 약을 두며 시선은 목표지점에
둔다. 방향 전환하는데 주안점을 두며 짓기(스텝) 발차기를 숙련시킨다.
단일공격과 반격기술을 병행하며 지도하며 복합 동작과 연결동작을 응용하여 지도한다.
|
|
(5)
빽 차기 |
빽 차기는 스피드 훈련, 정확성 및 근력, 근 지구력, 심폐 지구력을 강화시키며 주
동근 및 보조 근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차기 동작이 있다.
① 빽을 앞에 두고
한사람씩 돌아가면서 차기 |
단일 동작이나 발놀림을
이용하여 1열 횡대로 서서 한사람씩 돌아가면서 차는 형태를 말한다. |
② 빽을 중앙에 두고
2인 1조 차기 |
빽을 중앙에 두고
양쪽에서 2명이 연속적으로 동시에 차는 형태와 양쪽에서 1열 횡대로 서서 돌아가면서
차는 형태가 있다. |
③ 빽을 중앙에 두고
3인 1조 차기 |
3인 1조가 되어
보조자 1명은 중앙에 빽을 잡고 양쪽에서 1명은 오른 자세로 1명은 왼 자세로
마주보며 차는 형태다. |
④ 빽을 이용한 겨루기
|
빽을 흔들어 놓고
발놀림을 이용, 좌우로 움직이면서 공격과 수비 형태로 발 차기 한다. |
다양한 공격과 동작들의 타이밍을 맞추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시간 및 횟수를 정해놓고 지도한다. 2인 1조가 되어 공수로 교대하며 차도록 지도한다.
2인 1조로 짝이 되어 보조자 1명은 빽을 붙잡고 1명은 짧은 발차기나 연속차기 동작으로
지도한다.
|
(6) 써키트식 타겟 및 호구 발 차기 |
순환식 훈련 방법으로 타겟이나 호구를 이용해서 훈련한다.
다양한 종목을 선정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그룹이나 조별로 나누어 실시한다.
스피드, 민첩성, 순발력,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
|
|
|
첫댓글 되도록이면 이렇게 할수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집이에서이거보구 연습해야쥥........ 체육관에서두.........
몰라요
뭔말 인지 모르겠당!!난9살이고,이제1년 되었고품띠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