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바오로천사
 
 
 
카페 게시글
검사방법 스크랩 Iron (철 : Fe)
겨울사랑 추천 0 조회 241 13.07.18 18:2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Iron

(철 : Fe)

 

1.“철 (Iron : Fe)”이란?

  1)정상 성인의 혈청 총철함량은 4~5g이다

  2)체내의 철 존재형태

     ⑴활성형 70~75% : Hemoglobin , Myoglobin , Transferrin , Enzyme의 형태

        ①Transferrin

          * β-Globulin 분획에 위치하는  단백이다

          * Iron (Fe)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이 있다

          * Transferrin 100㎎은 Fe 120㎍과 결합한다

     ⑵저장형 25~30% : Ferritin , Hemosiderin의 형태

        ①Ferritin

           * 철 및 저장철이다. 인체 철의 약 25%를 차지한다

           * Apoferritin Protein과 복합체를 이루고 있으며 용해성이다

           * 세망내피계 세포 (골수 , 간 , 비장 , ... ... ... 등)에 있다

           * 혈청 Ferritin의 농도는 세망내피계 세포에 저장된 철의 양을 반영한다

        ②Hemosiderin

           * 불용성이다

           * 세망내피계 세포에만 존재한다

  3)Iron (Fe)의 대사경로

     ⑴음식물 섭취 → Fe+2 (Ferrous)의 형태로 십이지장 , 공장에서 흡수 → 장점막에서 Fe+3 (Ferric)의 형태로 된다

         혈액중에서 Fe+3는 Transferrin (β-Globulin)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 Fe+3의 형태인 Ferritin , Hemosiderin상태로 저장된다

     ⑵철이 Transferrin과 결합하여 운반될 때는 HCO3-가 꼭 필요하다


2.총 철 결합능 (Total Iron Binding Capacity : TIBC)

  1)Transferrin의 총량을 의미한다

  2)Iron (Fe)과 결합하지 않은 Tansferrin을 불포화 철 결합능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 UIBC)이라 한다

  3)TIBC = UIBC + Serum Fe

  

3.정상치

  1)♂ 80~180㎍/㎗

  2)♀ 70~160㎍/㎗

  3)TIBC 317~395㎍/㎗


4.임상적 의의

  

질환

Serum Iron

UIBC

TIBC

철결핍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 빈혈

용혈성 빈혈

급성간염

?

?

?


4.측정시 주의사항

  1)조기공복시 채혈이 가장 좋다 (혈청철은 아침에 높고, 야간에 낮다. 그 변동은 50㎍/㎗ 이상)

  2)용혈의 영향이 크므로 용혈이 있으면 안된다

  3)측정시의 모든 용기는 산처리 한다 (1N HCl , 1N HNO3를 사용한다)

5.Iron (Fe) 측정법

  

측정법

비     색     법

송원법 (마쯔하라법)

국제표준법

TPTZ 법

원리

            80~90℃ 5분간 가열

               ↓

①Serum + HCl → Fe+3 유리

 

②TCA 제단백 , 원심분리

 

③Fe+3 + Ascorbic acid → Fe+2

 

Sodium acetate를 첨가하여 중화

 

Fe+2 + Bathophenanthroline Red

①Serum + 혼합액 → Fe+2

 

Fe+2 + Bathophenanthroline Red

Serum + GHB + Tween 20 → Fe+3

 

②Fe+3 + Ascorbic acid → Fe+2

 

③Fe+2 + TPTZ → Blue

시약

HCl : Transferrin에서 Fe+3 유리

②TCA : 제단백 시약

Ascorbic acid : 환원제

④Sodium acetate : 중화제

Bathophenanthroline : 발색시약

혼합액

  * HCl : Transferrin에서 Fe+3 유리

  * TCA : 제단백 시약

  * Thioglycollic acid : 환원제

Bathophenanthroline : 발색시약

①GHB (Glycine-HCl Buffer)

②Tween 20

③Ascorbic acid : 환원제

④TPTZ (Tripyridyl-Triazine)

  : 발색시약

Color

Red (적등색)

Red (적등색)

Blue (청색)

파장

545㎚

545㎚

600㎚

비고

 

혼합액을 가하여 철분리, 추출 , 환원,

제단백을 동시에 실시하므로 간편하다

제단백 하지않는 직접법이다

⑴그 밖의 측정법

  ①AAS (원자흡광 광도계법)

  ②이온선택 전극법

환원제의 종류

  ①Ascorbic acid

  ②Thioglycollic acid

  ③Thiourea

  ④Sodium sulfite (Na2SO3)

  ⑤Hydrazine sulfate

  ⑥Hydroxylamine

  ⑦Sodium metasulfate

발색제의 종류

  ①Bathophenanthroline

  ②Ferrozine

  ③Terosite

  ④TPTZ (Tripyridyl-Triazine)

  ⑤Thiocyanate

  ⑥2.2‘ Bipyridyl

  ⑦O-Phenanthroline

⑴혈청 총 철 결합능 측정법 (TIBC)

  ①Serum (Serum Fe + UIBC) + Excess FeCl3

          → Transferrin를 Fe+3로 완전히 포화시킨다

 

  ②Excess Fe+3 + MgCO3 → 제거 (흡착)

 

  ③원심분리

 

  ④결국 Apotransferrin과 결합한 철의 양만 남게된다      이것이 TIBC 이다

 

⑵계산

  ①TIBC = 측정된 철농도 × 3

  ②UIBC = TIBC - 혈청철 농도

  ③포화율 (%) =

 

  ※MgCO3 : Magnesium carbonate


  ※Heme형성에 관여하는 물질은? Urobilinogen

 

 

출처 : 안산중앙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