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이로프락틱
카이로프락틱은 지압의 응용술 중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는 수기요법이다.
카이로프락틱의 주된 대상인 척추의 전위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교정방법은 무엇일까?
학습의 주안점
* 카이로프락틱의 기본 수기와 시술 원칙을 익힌다.
* 척추교정의 예비 조법을 익힌다.
* 이상 추골 전위의 교정 방법을 익힌다.
^[(1) 카이로프락틱의 시술 원칙과 기본 수기
카이로프락틱에 사용하는 수기는 무찰법, 연압법, 충안법, 견인법 및 강제력을 겸하여 행하는 교정법등이다.
특히, 순간적인 교정조작에 숙달되도록 연습해야 한다. 가압과 충격은 피술자가 숨을 내쉴 때 조작하되
피술자의 체질, 긴장도 및 관절의 가동범위 등에 알맞게 해야 한다.
시술은 좌측에서 시작하여 우측에서 끝내고, 소요 시간은 10--30분 정도를 원칙으로 한다.
카이로프락틱술식은 척추교정의 예비 조법, 이상 추골 교정 및 확인 마감시술 등이다.
과제 1. 카이로프락틱의 기본 수기를 실습을 통해 익혀보자.
^[(2) 척추교정의 예비 조법
척추의 진단과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조작으로, 피술자에게 복와위 자세를 취하게 하고,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가) 척추 양쪽에 강한 무찰을 한다.
(나) 경추에서 요천부까지 극돌기 언저리에 무지 또는 4지유압을 한다.
(다) 척추 측연을 따라 양 손으로 무지압을 한다. 경추에는 제2, 제3지 그 이하에는 양 무지압을 한다.
(라) 제7경추 측연에서 천골 측연까지 척주기립근의 융기부 내연에 무지압을 한다.
(마) 척주기립근의 용기부 상에 제7경추 측연에서 상후장골극까지 종축형 유압조작을 한다.
(바) 척추 측연을 따라 제2, 제3지유압을 한다. 손가락 사이에 척추를 삽입하고 경추에서 천골까지 촉찰하는
유압을 한다.
(사) 제7경추에서 천골까지 양수 중첩성 수장압을 한다. 척주의 만곡을 고려하여 해당 추골에 수직으로
가압조작을 한다.
과제 2. 척주교정의 예비 조법을 실습을 통하여 연습해 보자.
^[(3) 이상 추골의 교정
단순한 부전 탈구는 예비 조작 과정에서 교정되기도 한다. 교정되지 않은 이상 추골을 교정할 때 주된
조작법은 순간적인 충격이다. 이 때 시술자는 힘을 조절하기에 가장 편리한 자세를 취한 후, 복부에 힘을 주어
무릎이나 허리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체 전체의 무게로 순간적인 충격을 가해야 한다. 대개는 교정음이
발생하지만 교정음없이 교정되는 수도 있다. 또, 교정은 한 번에 해야 한다. 만일, 힘의 방향이 잘못되었거나,
피술자의 긴장감 등으로 교정이 완전하게 되지 않았을 때에는 무리하지 말고 다음 기회로 미루는 것이 좋다.
척추 각 부의 교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경추 교정법
경추 이상의 여러 형태에 따른 교정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경추 전체 교정법
ㄱ 좌위 자세에서 교정하는 방법: 시술자는 전위된 쪽에 서서 몸으로 피술자의 견부를 받친다.
주동수(교정할 때 주로 사용하는 손)의 시지와 중지는 극돌기 또는 관절돌기에 대고, 보조수(교정할 때 보조로
사용하는 손)의 수장을 세워 시술자의 측두부에 댄다 보조수의 수근으로 피술자의 턱을 받쳐 올리면서 목을
옆으로 수평이 되게 돌린다. 보조수의 수근으로 피술자의 턱을 받쳐 올리면서 목을 옆으로 수평이 되게
돌린다. 가동 제한점에서 주동수로 충격을 주어 전위를 교정한다. 이 때 보조수도 교정이 될 수 있도록
충격조작을 돕는다.
ㄴ 앙와위 자세에서 교정하는 방법: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수장을 협부와
이부(턱)에 대고 수지를 전위된 추골에 댄다. 보조수의 수장은 반대쪽 귀를 덮고 시지를 추골의 관절돌기에
댄다. 양 손으로 두부를 가볍게 끌어당기고, 보조수로 후두부의 외측을 약간 위로 들어올리면서 수평을 돌린
후, 주동수로 이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누른다.
② 경추신전법
ㄱ 복와위 자세에서 신전하는 방법: 피술자에게 고개를 숙이게 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옆에서 머리 쪽을
향해 자리잡는다. 주동수와 보조수의 수장은 피술자의 후두부에 댄다. 시술자의 체중을 후두부에 집중시키고,
이완 상태에 맞추어 재빨리 가압하여 경추를 신전하고 자동 견인기와 같이 순간적으로 견인한다.
ㄴ 앙와위 자세에서 신전하는 방법 1: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에 자리 잡는다. 후두부 밑에 수건을 걸고
주동수로 그것을 비틀어 잡고, 보조수의 수장으로 후두골 밑을 받쳐든다. 그리고 머리의 중심을 잡고 곧바로
잡아당긴다. 또, 방향을 바꾸어 신전하기도 한다.
ㄷ 앙와위 자세에서 신전하는 방법 2: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에 자리 잡는다. 신전 방법에는 양 손으로
후두부를 받쳐 들고 신전하는 법, 양 손으로 후두부를 받쳐 들고 옆으로 벌리면서 좌우로 신전하는 법 및 양
팔을 교차시켜 후두부를 받쳐 들고 전방 또는 측방으로 신전하는 법 등이 있다.
③ 경추의 측방 정위 교정법
ㄱ 앙와위 자세에서 교정하는 방법: 시술자는 전위된 쪽 머리 옆에 피술자와 직각이 되게 자리잡는다. 상부
경추가 탈구되었을 때에는 피술자의 머리를 낮추고, 하부 경추가 탈구되었을 때에는 피술자의 머리를 높일 수
있게 준비한다. 횡돌기에 주동수의 시지를 대고 반대쪽 측두부에 보조수의 수장을 댄다. 그리고 주동수와
보조수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보주수를 옆으로 굽혀 반대쪽 관절이 벌어지게 하고 주동수의
시지접촉부를 누르면서 정위 방향에 따라 조정하여 교정한다.
ㄴ 복와위 자세에서 교정하는 방법: 피술자에게 고개를 숙이게 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와 직각이
되게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시지 접촉부를 관절돌기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으로 피술자의 이마를 받친다.
그리고 주동수로 머리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듯이 하면서 전위 교정을 한다.
ㄷ 좌위 자세에서 교정하는 방법: 시술자는 피술자의 옆에 자리잡고 몸으로 피술자의 견부를 받쳐
고정시킨다. 주동수의 지두는 전위된 추골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을 측두부에 댄 후, 주동수와 보조수로 목을
받쳐 들면서 순간적인 충격으로 전위를 교정한다.
④ 경추의 상부 및 중부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에서 얼굴을 건측으로 돌리게 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제3, 제4지 접촉부를 전위된 관절돌기에 대고, 보조수는 피술자의
턱을 잡고 전완으로 껴안 듯이 꼭 붙인다. 보조수로 피술자의 머리를 시술자 쪽으로 힘껏 잡아당기는 동시에
주동수를 전위된 관절돌기를 위쪽으로 받쳐 가압하면서 당기는 방법으로 교정한다.
⑤ 경추의 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앙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시지 접촉부를 전위된 극돌기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은 피술자의 이마에 댄다. 양 손으로 피술자의
머리를 당기면서 주동수의 시지와 중지로 전위된 극돌기를 교정한다.
⑥ 경추의 우측 하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좌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후측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무지는 극돌기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은 피술자의 옆이마에 고정시킨다. 피술자의 목을 약 45도
굴곡한 상태에서 측두부를 누르면서 무지에도 압력을 가하여 가동 제한점에서 양 손에 힘을 주어 교정한다.
(나) 흉추 교정법
흉추 이상의 형태별 교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흉추전체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옆에 자리잡는다. 중첩시킨 양
무지근부는 추골(극돌기, 횡돌기)에 댄다. 교정 방향과 압도를 피술자의 체질이나 전위 상태에 맞도록
조정하면서 시술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교정한다.
② 흉추신전법: 피술자는 좌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후측에 자리잡고 다음과 같이 조작하여
교정한다.
ㄱ 피술자의 두 손을 깍지 끼어 후경부에 대고 고개를 숙이게 하며, 양 팔꿈치는 힘을 뺀 채 뒤로 젖히게
하여 시술자의 가슴에 기대도록 한다. 시술자는 가슴을 피술자의 등에 붙이고, 양 손으로 피술자의 상흉부를
껴안아 뒤로 젖히면서 피술자를 들어올린다.
ㄴ 피술자는 고개를 숙이고 양 팔꿈치를 굽혀 가슴에 붙이고 손바닥은 자기 귀에 댄다. 시술자는 가슴으로
피술자의 등을 받치고 양 손으로 피술자의 팔꿈치를 잡고, 가슴으로 피술자의 등을 안아 올리면서 신전한다.
ㄷ 피술자의 양 손을 깍지 끼어 맞잡고 두 팔꿈치는 가슴에 붙이게 한다. 시술자는 양 무릎을 추골
횡돌기에 대고 양 손으로 피술자의 두 팔꿈치를 잡는다. 무릎을 피술자의 등에 대고 근육이 이완되기를
기다려 시술자의 무릎을 밀면서 팔을 잡아당겨 신전시키는 교정 조작을 견갑간부에서 제12흉추까지 한다.
③ 허약 체질자의 흉추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에서 고개를 숙이게 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옆에서
머리 쪽을 향해 자리잡는다. 양 수장근부를 횡돌기에 대고 시술자의 체중을 실어 흉추를 따라 교정한다. 또,
양 무지복을 척추 측연에 대고 체중을 실어 교정하기도 한다.
④ 흉추의 후방 및 상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발을 바라보는
자세를 취한다. 주동수의 수근부는 전위된 추골의 극돌기에 대고, 보조수로 주동수의 수근부를 잡는다.
주동수의 수지를 펴고 체중을 주동수에 실어 45도 하방으로 교정한다. 또, 하방 전위일 때에는 다리 쪽에서
머리 쪽으로 충압을 가하여 교정한다.
⑤ 흉추의 후하방 정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무지구는 극돌기에 대고 보조수로 주동수의 수근부를 잡는다. 주동수로 피술자의 극돌기를 후두부 쪽으로 약
45도 방향으로 누르면서 교정한다. 또, 주동수로 견부에 진동을 주면서 강한 힘으로 눌러 교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피술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지나치게 긴장하면 즉시 동작을 멈추어야 한다.
⑥ 흉추의 상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에게 양 발을 적당히 벌리고 손을 깍지 끼어 후경부에 대고 고개를
숙인 채 서게 한다. 시술자는 피술자의 뒤에 발을 앞뒤로 벌리고 선다. 피술자에게 뒤로 기대도록 하고,
시술자는 양 손으로 피술자의 팔을 당기면서 이마로 전위된 부위를 교정한다.
⑦ 흉추 횡돌기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무지는
횡돌기에 대고 보조수는 반대쪽 견부를 잡는다. 보조수로 전위된 반대쪽의 견부를 잡아당기면서 주동수로
압박하여 교정한다.
⑧ 흉추의 후방 및 측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좌위 자세에서 양 손을 깍지 끼어 후두부에 대고 팔꿈치는
가슴에 붙인다. 시술자는 피술자 뒤에 앉아 양 무릎을 전위된 부위의 높이에 대되, 전위된 쪽의 무릎에 힘을
가한다. 양 손으로 피술자의 팔꿈치를 교대로 잡거나 팔꿈치까지 감싸안아 피술자가 뒤로 기대게 한 후에
교정한다.
(다) 요추 교정법
요추 교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① 요추 전체 교정법: 피술자는 측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요부 뒤쪽에 자리잡거나 복부
앞쪽에 자리잡고 교정한다.
ㄱ 피술자는 전위된 쪽이 위로 가도록 옆으로 눕고, 전위부를 베개삼아 베고 슬관절을 굽혀 족배를
하퇴부에 걸도록 한다. 시술자는 뒤에서 주동수의 전완부를 둔부에 대고 수장은 요추에 댄다. 보조수는
시술자의 견부를 잡고, 주동수로 피술자의 둔부를 앞으로 밀어 보조수로 견부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동시에
하면서 숨을 내쉰 직후에 요추를 견인한다.
ㄴ 피술자의 자세는 ㄱ처럼 하고, 전측에서 주동수로 피술자의 굽힌 무릎을 잡고 보조수는 견부를 잡는다.
피술자가 숨을 내쉰 직후에 주동수는 전하측으로, 조조수는 후상측으로 동시에 견인한다.
② 요추 전체 이완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는다. 주동수는
상전장골극을 잡고 보조수는 견부를 잡는다. 주동수를 앞으로 당겨 가동 제한점에서 숨을 내쉰 직후에 양
손에 힘을 주어 교정한다. 또, 주동수를 뒤로 젖히면서 신전하고 가동 제한점에서 교정하기도 한다.
③ 요추 전체 신전법
ㄱ 앙와위 또는 복와위 자세에서 하는 신전법: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고 피술자의 체질과 긴장
상태에 따라 다음의 4가지 동작으로 조작한다.
양 손으로 장골 전측을 잡고 들어올리는 법, 한쪽 무릎으로 대퇴부를 고정시키고 양 수근부를 잡아당기면서
뒤로 젖히는 법, 허리의 양쪽을 잡고 들어올리는 법, 한쪽 수장을 하복부에 고정시키고 다른 쪽 손은 족근부를
잡고 다리를 편 채로 요부를 신전하는 법 등이 있다.
ㄴ 기립위 자세에서 하는 신전법: 시술자는 피술자와 등을 맞대고 서서 양 손을 피술자의 복부에서 깍지
끼고 앞으로 굽히면서 들어올린다. 또, 한 손으로 피술자의 가슴을 껴안고 피술자의 허리를 둔부에 대고
앞으로 굽히며 들어올리기도 한다.
ㄷ 앙와위 자세에서 양 무릎을 세우고 하는 신전법: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 잡는다. 한 손으로 양
무릎을 잡고 다른 손으로 양 발바닥을 잡은 후 가동 범위까지 슬부를 굽혀 요부가 신전되게 한다. 이 때
시술자의 가슴을 피술자의 무릎에 대고 숨을 내쉰 직후 교정한다.
④ 요추의 전방 전위 교정법
ㄱ 두 발을 편 채로 좌위 자세에서 시행하는 교정법: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 잡는다. 주동수의 수장은
전위된 부위 위쪽 복부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으로 목덜미를 앞으로 굽힌다. 가동 제한점에서 숨을 내쉰 직후
주동수와 보조수에 힘을 주어 전위를 교정한다. 또, 좌측이나 우측으로 전방 전위되었을 때에는 전위된 쪽의
무릎을 굽히고 교정하기도 한다.
ㄴ 앙와위 자세에서 하는 교정법: 양 무릎을 굽혀 종부가 대퇴부 후측에 닿도록 한다.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 쪽을 향하고 한 손은 양 무릎, 다른 손은 발목을 잡고 시술자의 가슴으로 피술자의 무릎을 밀면서 가동
제한점에서 교정한다. 통증이 너무 심해서 양쪽 골반이 굽혀지지 않을 때에는 한쪽씩 교정하기도 하는데, 이
때 장골릉을 안쪽으로 밀어 측방 전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위해야 한다.
⑤ 요추 하부의 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앙와위 자세에서 양 무릎을 최대한으로 굽히고 시술자는
피술자의 머리를 향해 자리잡는다. 주동수의 수장은 전위부 아래에 대고 보조수로 무릎과 발목 쪽을
고정시킨다. 시술자의 가슴으로 피술자의 무릎을 밀어 각도를 조정하면서 시술자의 가슴과 주동수에 힘을
주어 교정한다. 이 조작은 요추측만에도 유효하다. 한쪽이 전위된 경우에는 하복부를 누르면서 순간적으로
교정하는데, 피술자의 내장 상태와 호흡하는 상태를 살피면서 조작해야 한다.
⑥ 요추의 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는다. 교정
방법에는 시술자의 양 손을 중첩하여 전위된 극돌기에 댇고 체중을 실어 천천히 가압하다가 시술자의 반동을
이용하여 교정하는 법과 주동수는 극돌기, 보조수는 쇄골부나 견봉 또는 하지 전측에 대고 양 손에 힘을 주어
피술자를 후굴시켜 극점에서 교정하는 법이 있다.
⑦ 요추의 좌방, 우방, 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측와위 자세를 취하는데, 전위된 쪽이 위로 가도록 하고,
팔베개를 하여 교정하는 쪽의 슬관절을 굽히고 얼굴은 천장을 쳐다보게 한다. 교정 방법에는 시술자가
전측에서 주동수로 피술자의 굽힌 슬부 후측을 잡고 보조수는 견부를 잡은 후 주동수는 전하방으로, 보조수는
후상방으로 가압하여 비트는 방법과 시술자가 후측에서 무릎으로 피술자의 신전할 반대쪽 다리를 고정하고
주동수는 피술자의 굽힌 슬부 외측, 보조수는 견부를 젖혀지도록 가압하는 방법이 있다.
⑧ 요추의 후방 및 측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고
다음과 같이 교정한다.
ㄱ 주동수의 수근부는 극돌기, 보조수는 장골 전측이나 견부에 댄다. 보조수로 피술자를 젖히면서 주동수로
전위가 정복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ㄴ 주동수는 전위된 극돌기에 대고, 보조수로 피술자의 무릎을 들어올리거나 시술자의 무릎 위에 놓아
피술자의 무릎을 고정시킨다. 보조수로 피술자를 후측으로 젖히면서 주동수로 전위된 추골을 교정한다.
ㄷ 주동수는 전위된 극돌기 또는 횡돌기에 대고, 보조수로 전위된 쪽의 종부를 둔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조수와 주동수를 전위된 반대 방향으로 눌러 교정한다.
ㄹ 좌위 자세에서 하는 교정법: 시술자는 피술자 후측에 자리잡는다. 주동수는 전위된 추골에 대고,
보조수는 시술하는 쪽의 상완부를 잡는다. 시술자가 보조수를 당기면서 주동수를 교정할 방향으로 밀면서
가압 조작을 한다.
(라) 골반부 교정법
골반(관골) 각 부의 이상에 대한 교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① 장골의 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앙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 잡는데, 머리
쪽이나 다리 쪽 중에서 편리한 쪽으로 향한다.
ㄱ 피술자에게 슬관절을 굽히게 하고 시술자의 양 수장을 상전장골극에 댄다. 시술자의 체중을 양 수장에
실어 피술자의 후하측으로 조작한다.
ㄴ 피술자의 전위된 쪽 다리는 편 채 건측의 고관절과 슬관절을 굽히게 하고, 주동수의 수근부는 전위된
쪽의 상전장골극에 대며, 보조수는 건측에 굽힌 무릎을 잡는다. 건측의 다리를 굽혀 이완시키면서 주동수로
충압을 가하여 교정한다.
ㄷ 피술자의 건측 다리를 세워 전위된 쪽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주동수의 수근부는 상전장골극에 대고,
보조수로 건측 슬개부를 잡고 고정시킨 후 양 손을 동시에 하측으로 충격압을 가하면서 조작한다.
② 관골의 좌우 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측와위 자세에서 전위된 쪽이 위로 가게 하고 대퇴부를
전굴한다. 시술자는 피술자 후측에서 주동수의 수근부를 상후장골극과 그 내측에 대고 보조수의 수장을
전흉부에 대고 누른다. 보조수는 후측, 주동수는 전측으로 회선(회전)시키면서 교정한다.
③ 천골의 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시술자는 피술자 옆에 자리잡는다. 시술자의
무릎을 피술자의 천골부에 대고 양 손으로 피술자의 양 무릎을 잡고 허리가 최대한으로 젖혀지도록
들어올리는데, 허리의 힘이 저항점에 이르면 시술자의 무릎과 양 손에 힘을 주어 교정한다. 또, 건측의 발목을
전위된 쪽 슬와에 고정시키고 시술자의 무릎과 양 손으로 동시에 교정하기도 한다.
④ 골반의 좌우 전방 전위 교정법: 피술자는 측와위 자세에서 전위된 쪽이 아래로 가도록 하되(단, 요추일
때에는 전위된 쪽이 위로 가게 한다.) 다리는 굽힌다. 시술자는 피술자 후측에서 주동수로 양 발을 잡고
보조수로 견부를 잡는다 무릎으로 피술자의 건측 무릎을 밀면서 양 손을 견인하는 것처럼 건측의 골반을
앞으로 밀어 준다.
과제 3. 이상 추골의 교정을 실습을 통해 익혀 보자.
학습한 내용 확인
확인 1. 다음 용어를 설명해 보자.
① 주동수
② 보조수
확인 2. 다음 물음에 맞는 답을 써 보자.
① 카이로프락틱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기의 종류는 무엇인가?
② 척주의 진단과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조작은 무엇인가?
③ 이상 추골을 교정할 때 가장 결정적인 동작은 무엇인가?
확인 3. 다음 문장의 ( ) 속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① 카이로프락틱에 사용하는 수기는 무찰법, 연압법, 충압법, 견인법 및 강제력을 겸하여 행하는 교정법이다.
특히, 순간적인 교정조작에 숙달되도록 연습해야 한다. 가압과 충격은 피술자가 숨을 내쉴 때 조작하되
피술자의 ( ), 긴장도 및 관절의 ( ) 등에 알맞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