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치킨 시키기 두려운 시대, 교촌 치킨 3000원 인상-
교촌치킨이 한마리와 부분육 등 주요 메뉴를 3000원 인상했다. 지난해부터 물가 상승 기조가 이어지면서 피자와 버거 브랜드, 치킨 등 주요 프랜차이즈가 잇따라 소비자가격을 조정하며 서민들의 지출 부담이 더 커지게 됐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내달 3일부터 소비자 권장 가격을품목별로 500원에서 최대 3000원까지 올린다고 24일 밝혔다. 가격 조정은 2021년 11월 가격 조정 이후 1년여 만이다.
한마리, 부분육 주요 메뉴는 3000원 오르고 이외 메뉴는 500∼2500원 오른다. 이에 따라 간장 오리지날은 1만6000원에서 1만9000원이 되고, 허니콤보는 2만원에서 2만3000원이 된다. 인상률로 보면 간장 오리지날은 19%, 허니콤보는 15%다.
특히 배달료(3000~5000원)까지 고려하면 소비자가 치킨 1마리를 먹을 때 3만원에 가까운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촌은 가맹점 수익 구조가 수년간 악화돼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임차료와 인건비, 각종 수수료 등 운영비용 상승에 최근 원자재 가격까지 오르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것이다.
실제 치킨 원·부자재 가격의 증가로 교촌에프앤비는 지난해 89억3800만원의 영업이익을 내는데 그쳤다. 이는 2021년 영업이익 409억6200만원과 견줘 78.2% 감소한 것이다
치킨 3사의 현재 소비자가격은 후라이드 1마리 기준 BHC 해바라기 후라이드 1만7000원, BBQ 황금올리브치킨 2만원, 교촌치킨 교촌오리지날 1만9000원이다.
치킨 뿐만이 아니다. 올해 들어 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일제히 가격을 인상했다. 버거킹은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2% 올렸고 맘스터치도 버거류를 평균 5.7% 인상했다. 맥도날드는 지난달 일부 메뉴의 가격을 평균 5.4% 올렸으며 신세계푸드와 롯데리아도 평균 4.8%, 5.1% 인상했다. KFC는 메뉴 가격을 100∼200원 올렸다.
현재 업계에서는 지출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이 다시 대체재를 찾아 나설지에도 주목하고 있다. 치킨의 경우 앞서 지난해 소비자가격이 조정되자 홈플러스의 ‘당당치킨’이 대체재로 주목받으면서 7개월 만에 200만마리가 팔려나간 바 있다.
출처-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324506108?OutUrl=naver
[선정이유]
1.공감대 형성
2.단순 비판이 아닌 ‘왜’가 들어간 이유
3.이슈에 대한 진심
1.대표 서민음식 치킨은 유독 국민정서랑 연관돼 가격 인상에 민감하다.
2.단순히 치킨 가격인상에 따른 단순 비판을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교촌치킨’ 이라는 기업이 가격인상을 할 수밖에 없던 이유를 분석적인 통계로 보여줘서 다른 기사들과는 달리 한편으로는 가격인상이 이해되기도 했습니다.
3.앞으로의 시민들 반응 및 작년 서민들의 대처방법에 대해 던져주며 이 이슈를 진정으로 고민하는 것이 느껴져 신선했습니다.
[outline]
소비자가 치킨 한 마리를 먹을 때 3만원에 가까운 비용을 지불 해야된다.
현재 치킨값은 20,000원대이며 이와 같은 3,000원인상이 된다면 20,000원에서 23,000원이 된다. 추가로 배달팁이 3,000원~5,000원 인걸 감안 하면 약 30,000원에 육박하게 된다.
이를 과연 서민음식이라 할 수 있을까?
가격인상이 불가피 했던 이유
임차료와 인건비, 각종 수수료 등 운영비용 상승에 최근 원자재 가격까지 오르며 작년대비 영업 이익률이 10분의1 수준에 그쳤다 ‘교촌치킨’ 또한 이익을 창출해야하는 기업이기에 이로 인해 가격인상이 불가피했다.
가격인상은 치킨뿐만이 아니다!
올해 들어 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일제히 가격을 인상했다. 물가 상승률에 따른 치킨뿐만이 아닌 여러 업체들이 가격인상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
첫댓글 글 잘읽었습니다. 한국의 소울 푸드인 치킨이 가격이 오른다는 칼럼 선택한 것은 대중들의 공감성을 이끌만한 가장 적합한 칼럼이 아닐까 싶습니다. 분석적 통계를 보여줌으로써 칼럼의 신빙성을 뒷받침 하였고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해서 좋았습니다. 다만 조금 아쉬운 점은 좋은 칼럼의 가장 대표적 특징인 필자의 '가치관, 방향성, 생각,' 등등 필자의 세계관이 보여지지 않아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것 같네요. 대중들의 공감 이끌어낸 사실적 관계를 보여주는 기사로써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칼럼이지만, 필자의 개성이 드러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