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탕춘대능선~비봉능선~산성주능선~백운대~하루재~우이능선) 종주 산행 길라잡이
---들뫼날뫼(더불어 걷는 길, 더불어 함께, 다물)---2024.12.29
탕춘대능선 종주 산행
북한산 종주 산행
#####개요
*총 종주산행 거리 : 17.45킬로미터.
*총 연결구간 거리 : 1.88킬로미터.
*총 이동거리 및 총 소요시간 : 19.33킬로미터, 11시간29분(산행시간(08시간51분)+연결구간(00시간38분)+휴식(2시간).
1. 총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17.45킬로미터, 08시간51분.
1). 탕춘대능선길 : 4150미터, 02시간05분.
2). 비봉능선길 : 2700미터, 01시간21분.
3). 산성주능선길 : 4000미터, 02시간00분.
4). 용암봉~만경대 허리길 : 1300미터, 00시간39분.
5). 백운대 왕복길 : 700미터, 00시간28분.
6). 창릉천상류길(백운산장길) : 1300미터, 00시간39분.
7). 우이능선길 : 3300미터, 01시간39분.
2. 총 연결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1.88킬로미터, 38분.
1). 세검정사거리~~~580~~~탕춘대능선입구.
2). 육모정지킴터~~~1300~~~북한산우이역.
*총 휴식시간 : 2시간.
==============
==============
#보기
* 산행 속도 : 백운대왕복길 1.5킬로미터 그외 산행구간 속도 2.0킬로미터, 연결구간 속도-시속3.0킬로미터 속도로 계산함, 분이하 소요시간:반올림.
* 구간거리 표기(단위 : 미터, 이정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백운봉암문---350---백운대---.
* 해발고도 표기(단위 : 미터,실고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백운대(836)---
* 산행거리는 이정표거리가 아닌 실거리로 표기함.
* 식수공급: 산에 있는 샘이나 사찰의 샘은 대부분 수질이 나쁘거나 말라 있어 이용이 어려움.
산행중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들뫼전에 미리 넉넉하게 준비해야 함.
* 작성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세검정사거리~탕춘대능선~비봉능선~산성주능선~용암봉-만경대 허리길~백운대~창릉천상류길(백운산장길)~하루재~우이능선~안다래골길~육모정지킴터~육모정길~북한산우이역~~~
######연결구간길 : 석파랑 버스정류장~~~250~~~홍지문.
---세검정 사거리 석파랑 버스정류장---세검정사거리(상명대입구)---횡단보도---횡단보도---<남서쪽으로>---250---홍지문(오간수문)---
######연결구간길 : 홍지문~~~330~~~탕춘대능선입구.
---한북수문(오간수문) + 한북문(홍지문, 65)---징검다리---남쪽으로---홍제천(60, 모래내-사천, 달마사 앞)---천변을 따라---230---
---달마사 옆 주차장(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5-23)---(달마사와 주차장 사이의 좁고 비탈진) 골목길---100---
---민가(75, 서울 서대문구 홍지문길 23-2)---
#####서성능선(탕춘대능선) 구간길 : 탕춘대능선입구~~~4150~~~향로봉.
-----들뫼-----
---민가(75, 서울 서대문구 홍지문길 23-2)골목길---<치배기길(깔딱배기길), 나무 숲길>--->낮게 무너진 성벽(140)을 넘어>---100---
---낮은 봉우리(155)를 지나서---조망점(망족두리봉+향로봉+비봉)---가꾼 정원---250---
---옥천암500M-북한산자락길(실락어린이공원)3.65KM 이정표를 지나고---250---
---북한산 자락길(옥천암 방향)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고...---<성벽 안쪽길로...>---300---
---상명대학교 후문 갈림길 사거리(150, 북한산자락길(옥천암 방향)1.39KM-상명대학교 후문0.18KM 이정표, 끊긴 성벽, 토사유출방지목벽)---<성벽바깥길로...>---옛성벽 여장---일부 복원된 성벽---상명대학교 바깥 성벽---옛성벽 여장---일부 복원된 성벽---비법정탐방로 출입금지 경고판---무너지 성벽---성벽 안길 + 성벽 바깥길---<성벽안길로...>---성벽보호 출입금지 경고판 + 대나무 장애물---750---
---서성암문 갈림길 사거리(탕춘대성암문,195, 상명대학교0.8KM-북한산둘레길(평창동 방향)KM-이북5도청0.8KM-서울둘레길(형제봉입구)5.3KM-북한산둘레길(불광동 방향)KM-장미공원1.9KM-서울둘레길(북한산생태공원)2.1KM 이정표, 북한산둘레길(옛성길구간 안내도, 탕춘대성 유래 안내도)---멧돼지방지 철망문---북한67-01말뚝이정표(220, 국가지점번호 다사5161 5722)---나무난간---1150---
---구기동 갈림길 삼거리(252, 상명대학교1.5KM-구기동0.9KM-향로봉1.3KM-비봉1.6KM-대남문4.1KM 이정표, 산불진화 장비함, 북한67-02말뚝이정표(252, 국가지점번호 다사5149 5769)---200---
---탕춘대공원지킴터(, 구기지구 안내도, 노송, 탐방로 안내도, 탐방객수 조사 계수기)---종로구 경계점 표석---무너진 탕춘대성---조망점(망족두리봉,망향로봉)---
---***<치배기길>***---철봉안전난간---조망점---너덜길+밧줄안전난간---족두리봉 조망점---600---
---향로봉 남단-산불감시초소(420, 탕춘대성 갈림길 삼거리)------*****향로봉 우회길*****---나무안전난간---바위굴---밧줄안전난간---이정표(족두리봉1.3KM-향로봉0.4KM-사모바위1.5KM)---마모석계단길---데크계단---조망점---철봉안전난간---비봉 조망점---두갈래 철봉안전난간 합류점---<철봉안전난간>---이정표(족두리봉1.4KM-향로봉0.3KM-비봉0.9KM)---탕춘대성 갈림길---<(지리한)마모석 계단길>---치배기길(비알길)---데크계단---550---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50---
---<나무안전난간 사이로(서쪽 방향)>---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비봉 능선길 : 향로봉---2700---문수봉).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나무안전난간 사이로(동쪽 방향)>---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
---관봉(535,관음봉,부처바위,식당바위,조망점)---(진관사 - 탕춘대성 갈림길 사거리,500)---(진관사 방향 갈림길 삼거리)---비봉(560,사통팔달 조망점,진흥왕순수비,코뿔소바위,나무난간을 지나 암릉을 올라야 하는 위험구간(비탐구역은 아님))---
---(비봉능선 전망대,승가사 갈림길,525)---사모바위(560,응봉능선갈림길,김신조암굴,쉼터)---
---사모바위 갈림길 삼거리 이정표(560, 대남문1.7KM-비봉0.5KM-응봉능선 방향-삼천탐방지원센터3.3KM-진관공원지킴터2.7KM)---마모석계단---밧줄난간---삼천탐방지원센터 갈림길 삼거리 이정표(, 대남문1.6KM-비봉0.6KM-삼천탐방지원센터3.2KM, 북한60-03말뚝이정표(523, 국가지점번호 다사5235 5893)---침목계단---밧줄난간---마모석계단---마모석계단---승가봉(567, 사방팔방 조망점)---쇠줄안전난간---북한01-04말뚝이정표(561, 국가지점번호 다사5264 5898 )---마모석계단---통천봉(565, 사방팔방 조망점)---통천문-쇠줄안전난간---북한01-05말뚝이정표(544, 국가지점번호 다사5292 5912)---
---조망점---밧줄난간---바위길---조망점---나무난간---나무계단---산악사고 다발지역 경고판---문수봉합류점(문수봉 비봉능선방향 하단) 삼거리 이정표(, 문수봉(어려움-연화봉~문수봉 암릉길)0.4KM-문수봉(쉬움-청수동암문 방향)0.4KM-청수동암문0.3KM-사모바위1.1KM, 삼천사 계곡길 갈림길)---
---***청수동 암문((694,우회로(왼쪽, 청수동암문방향 우회길(계곡 너덜길)도 만만찮음, 상원봉(715봉)과 문수봉(727) 사이 안부))방향 길 또는 연화봉(695)암릉길(어려움,문수봉(북쪽)으로 직진)중에서 선택***---
---*****문수봉-연화봉 암릉길(오른쪽)*****---침목계단---<토양유실 심함>---나무난간---철판계단---<연화봉~문수봉 암릉길 : 주의>---철봉안전난간---연화봉(695, 사방팔방 조망점, 연꽃바위)---<밧줄난간>---<잉어바위-잉어 세마리>---<철봉안전난간>---<철봉안전난간>---<하마머리바위>---<데크계단>---<북한산성 성벽>---문수봉(727, 암봉, 비탐구역, 사방팔방 조망점)---
---문수대(문수봉 전망대(715,<북한01-07말뚝이정표(715, 국가지점번호 다사5343 5933)><종로구 경계점 표석>)---
###북한산성 능선길 : 문수봉---4000---용암문.
*****북한산성 성벽길*****
---문수봉(727, 암봉, 비탐구역, 사방팔방 조망점)---
---문수대(문수봉 전망대(715,<북한01-07말뚝이정표(715, 국가지점번호 다사5343 5933)><종로구 경계점 표석>)---
---*****북한산성 성벽길*****---
---대남문(656, 이정표(대성문0.3KM-비봉2.2KM-구기분소2.5KM, 북한03-05말뚝이정표(656),국가지점번호 다사5361 5927), 문수사-구기계곡방향(남서쪽),잠룡계곡-북한동방향(북동쪽),북한산성우회길(동북쪽,대동문까지)갈림길,대성문-대동문-용암문까지 우회길 있음, 우회길 이정표(대성문0.3KM-대성암0.5KM-산성탐방지원센터5.2KM))---
---잠룡봉(701,통천문, (보현봉~사자능선(비탐구역)-성밖-동쪽),(보현봉~일선사(비탐구역)-성밖-동쪽)갈림길)---
---대성문(620, 이정표(보국문0.6KM-대동문1.2KM-대남문0.3KM-비봉2.5KM-형제봉1.9KM-정릉탐방지원센터3.0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5.0KM),형제봉능선-북악산방향(남쪽)갈림길,대동문 방향 우회길 있음, 북한08-05말뚝이정표(615, 국가지점번호 다사5385 5944))---
---화룡봉(644)---북한08-06말뚝이정표(605, 국가지점번호 다사5414 5937)---성덕봉(631,치성, 산성주능선 전망대 안내판)---헬기장(쉼터+산성주능선 전망안내판)---
---보국문(567,이정표(대동문0.6KM-대성문0.6KM-정릉탐방지원센터2.5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4.5KM, 북한09-04말뚝이정표(562, 국가지점번호 다사5437 5973), 정릉매표소방향(남동쪽),북한동방향(북쪽)갈림길), 유입동물 음식물 제공금지 경고판, 구급함)---1800---
---복덕봉(594, 치성, 칼바위능선방향(동쪽)갈림길, 이정표(대동문0.4KM-보국문0.2KM-칼바위능선KM))---
---대동문(550,화장실, 이정표(용암문1.5KM-백운대3.1KM-보국문0.6KM-대성문1.2KM-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1.9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4.5KM),쇠귀천계곡-진달래능선방향(동북쪽),북한동방향(서쪽)갈림길,용암문까지 우회길 있음)---덕장봉(585, 치성)------동장대,시단봉(601)---
---반룡봉(583)---기룡봉(588,치성)---월출봉(615)---일출봉(618, 치성)---2200---
---용암문(587,대동문1.5KM-북한산대피소0.2KM-백운대1.5KM-용암문공원지킴터(도선사방향)1.1KM)---<백운대 방향으로>---
### 만경대-용암봉 허리길 : 용암문---1300---백운봉암문(위문).
*****용암봉 허리길*****
---용암문(587,대동문1.5KM-북한산대피소0.2KM-백운대1.5KM-용암문공원지킴터(도선사방향)1.1KM-진달래능선길 이정표)---<바위지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북한산2-6병풍암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166>---<바위지대, 만경대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680---
---노적봉입구(658,대동문2.1KM-북한산대피소0.8KM-백운대0.9KM 이정표, <북한22-1말뚝 이정표(658)>, 노적봉(716)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만경대 허리길(이 길은 조망 좋은 위험한 낭떠러지 벼랑길이다.)*****
---노적봉입구(658)---<마모석계단>---<나무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 + 타이어멍석계단>---<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오르막,망노적봉>---<조망점 : 망 의상능선-노적봉-북한산성지구-백운대-원효능선>---<쇠줄안전난간>---<조망점 : 망백운대>---<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내리막>---<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데크다리>---550---
---용암문-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백운봉암문(위문) 갈림길 삼거리 이정표(705, 백운대KM-대동문2.6KM-북한산대피소1.3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7KM),백운대 서벽밴드 진입구(비탐구역)---<(긴 내리배기)데크계단, 북한산1-4위문 국가지점번호-다사54076213>---70---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 백운대 암릉길 : 백운봉암문 ~~~350~~~백운봉.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북한산성 성벽>---<박석계단>---40---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데크계단 + 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 + 데크계단>---<탐방객 계수기>---<쉼터,의자없음><북한산1-5백운대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218>---<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북한산성 성벽>---<얼굴바위>---<쇠줄안전난간 + 철봉안전난간>---<북한21-04말뚝 이정표(783)>---<오리바위>---<쇠줄안전난간계단>---<쇠줄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삼각산 이름유래와 암석 생성역사 안내판>---<쇠줄안전난간>---<마당바위 + 뜀바위>---<쇠줄안전난간>---310---
---*****백운대(836.5,<통일서원비><3.1운동 암각문><북한산 백운대 836미터 암각문><국기봉><사방팔방 조망점>)*****---
---<철봉안전난간-신설됨-정상 북쪽면>---
### 백운대 암릉 되돌이길 : 백운대~~~350~~~백운봉암문.
---백운대---310--범골갈림길 삼거리---40---백운봉암문---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백운산장길(창릉천 상류길) : 백운봉암문---1300---하루재.
---백운봉암문(위문,716., 산악구급함, 산악구조대초소)------*****북한산역사관+문화관+특수산악구조대대기실(옛백운산장(640,쉼터))*****----화장실--인수암---북한산 경찰 산악구조대(470)---하루재(490,영봉-도선사주차장-인수암 갈림길 삼거리,쉼터)---
###백운산장의 역사
백운산장은 1924년 산장지기 이영구씨가 터를 잡은 뒤 지난 100년 가까이 수많은 등산 애호가들과 함께하며 북한산을 지켜온 산 증인이다. 1933년 석조 산장을 신축했고, 1942년 우물을 팠으며 1960년 단층 석조 건물로 확장 재건축했다.
1992년 화재로 지붕이 불탔으며, 1998년 통나무로 2층을 증축했다.
2019년12월2일 폐쇄되었다.
백운산장은 우리나라 1호 산장이자 국립공원 마지막 민간 산장이었다.
산장이 폐쇄된 이유는 1992년 지붕이 불탔을 때 1998년 2층을 통나무로 증축하며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신축 허가를 받으면서 2017년이 되면 국가에 산장을 내놓는다는 약속을 했기 때문이다.
북한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측은 산장 폐쇄 후 구조 보강과 리모델링 작업후 새롭게 문을 연 시설에는 1층은 북한산 역사관·문화관, 2층은 특수 산악구조대 대기 장소로 운용되고 있다.
영원한 산장지기
지난 2017년 12월 31일 산장지기 이영구-김금자씨 부부 모습. 이영구씨는 2018년 세상을 떠났다.
###우이능선길 : 하루재---3150---육모정지킴터.
(하루재---350---영봉---1500---육모정고개---1300---육모정 지킴터.)
---하루재(490,쉼터,영봉-도선사주차장-인수암 갈림길 삼거리)---영봉(604)---
---503봉(503)---육모정 고개(390,쉼터,상장봉능선 입구초소)---*****깔딱샘(식수 보충,영봉방향 마지막 샘물)---용덕사(식수보충?)---신검사(식수보충?)---육모정 지킴터(130)---
-----(삼각산 날뫼)
###연결구간 : 육모정공원지킴터입구~~~1300~~~북한산우이역 2번 출입구.
-----북한산 날뫼-----
---육모정공원지킴터(신검사-용덕사)입구 삼거리 이정표(170, 용덕사0.3KM-신검사0.4KM-영봉2.7KM)---(삼양로179길-육모정길)---<남남동방향으로>---<멧돼지방지 철조망옆길>---비포장흙길---호연암입구 삼거리---시골길(음식점)---콘크리트포장길---이정표(우이령길(교현리)KM-북한산우이역780M)---샘터가든(음식점)---이정표(우이령탐방지원센터1.7KM-북한산둘레길(수유동)KM)---<소귀교><포장길>---우이동산악문화허브---횡단보도(회전교차로 사거리 서쪽-파라스파라서울입구)---북한산우이령분기점(소나무숲길구간) 이정표(80, 북한산둘레길수유동방향-손병희선생묘소0.8KM-북한산우이역100M-우이령길-우이탐방지원센터2.1KM-백운천 다리위)---*****<세븐일레븐편의점(우이유원지점,서울 강북구 삼양로685)>*****---네파(아웃도어 상점)---의암손병희선생묘소 입구 안내석---횡단보도---1300---
---북한산우이역 2번 출입구(80, 경전철-우이신설선)---
======================================
======================================
#####종주 산행과 일주 산행의 다른 점
-들뫼날뫼(더불어걷는길,더불어함께,다물),2023.10.20
###종주 산행 : 산의 맥과 산의 능선으로 이어진 곳을 따라 걷는 장거리 산행을 말한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자연관중의 하나인-산자분수령(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에 의하여 산행길이 강이나 하천 등의 흐르는 물에 의하여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진 산의 능선길을 걷는 산행을 말한다.
예). 1대간 9정맥 162지맥 종주, 화대종주, 설악대종주, 육구종주...
### 일주 산행 : 산의 맥이 중간에 끊기는 장거리 산행을 이르는 명칭이다.
예). 불수사도북 일주(중랑천),삼관우청광 일주(양재천),동두천6산 일주(신천)...
***이에 따라서, 불수사도북 산행을 종주 산행이라 말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불수사도북 산행은 수락산과 사패산 사이를 중랑천이라는 하천이 흘러 산의 맥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기므로, 종주 산행이 아니라 달리 일주 산행이라 부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사전에서의 정의
1). 종주
종주1 [縱走]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縱走]
명사
(1)
(기본의미) 능선(稜線)을 따라 산을 걸어, 많은 산봉우리를 넘어가는 일.
(2)
산맥 따위가 지형이 긴 쪽으로 또는 남북으로 길게 이어짐.
*출처-다음 국어사전
2). 일주
일주1 [一周]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一周]
명사
넓은 일정한 지역을 한 바퀴 돎.
*출처-다음 국어사전
3).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 “산은 스스로 물을 가른다”는 말로써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으니 물줄기를 보고 산줄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산줄기를 보아 물줄기도 가늠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산자분수령은 우리 선조들의 전통의 자연관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