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장 수근신근및 상완요골근 ( Hand extensor and
Brachioradialis Muscles)
" Painful Weak Grip(통증이 있는 악한 악력) "
1. Function
* 장,단 요측수근신근들은 손목에서 손의 신전과 외전(제2중수골에 부착하는 장
요측수근신근은 주로 손을 외전시키고, 제3 중수골에 부착하는 단요측수근신근은
주로 손을 신전시키며, 제5중수골의 척측에 부착하는 척측수근신근은 주로 손을 내전시킨다)
(요측편위: radial deviation) 에 관여
* 척측수근신근은 손을 신전시키고 내전시킨다.(척측편위: ulnar deviation)
* 수근신근들의 활성화가 강력한 악력의 필수이다.
* 장요측수근신근과 척측수근신근이 함께 작용하면 손목에서 손을 신전시킬 수 있으나,
강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2. 해부학적 부착(anatomical attachment)
①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장요측수근신근)
이 근육은 전 길이의 1/3이 근육으로 있고, 나머지 2/3는 tendon으로 되어 있다.
* orign: 외측상과와 상완요골근 부착부위 사이인 상완골 외측과 상연의 원위부
1/3(distal 3rd of the lateral supracondylar ridge of the humerus)
* insertion: 제 2 중수골 기저부에서 배요측면(dorso-radial aspect)에 부착
(그림 28-1) 우측 전완에서 수근신근들과 요골신경 부분과의 관계
A: 장, 단요측수근신근과 척측수근신근을 배면에서 본 그림
B: 요골신경이 단요측수근신근의 근위부 부착에 의해 형성된 fibrous arch를 통과하기 전의
요골신경의 deep branch와 superficial (sensory) branch의 정상적인 경로를 옆에서 본그림
C: 단요측수근신근을 관통하는 변이된 경로의 요골신경 superficial branch
② extensor carpi radials brevis(단요측수근신근)
* orign: 외측상과의 common extensor attachment
주관절의 radial ligament 및 이 근육과 인접한 근육사이의 근간 충격
(intermuscular septa)이 포함된다.
* insertion: 제 3 중수골의 기저부에서 배요측면에 부착한다.(그림 28-1-B)
③ extensor carpi ulnaris(척측수근신근)
* orign: 외측상과의 신전근의 공통건(common extensor tendon of the
lateral epicondyle)
* insertion: 제5중수골의 기저부척골측(ulna side of the base of the 5th
metacarpal bone)
④ brachioradialis(상완요골근)
* orign: 상완골의 외측상과연(lateral supracondylar ridge of the humerus)
외측근육간막(lateral intermuscular septa)
* insertion: 요골의 경상돌기와 그 주변의 인대(styloid process of the
radius & neighboring ligament)
3. 증상및 방사통
1) 증상
* 통증이 주증상, 처음에는 외상과만 나타났다가 점점 손목과 손으로 퍼진다.
* tennis elbow: supinator,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 extensor
digitorum, biceps brachii가 침범된 경우 발생한다.
마지막 두 근육이 침범한 경우에는 악수할때와 같이 주먹을
세게 쥐고 척측내전(ulnar deviation) 시킬때 통증을 호소한다.
또한 문고리를 튼다든지, 드라이버를 사용할 때 처럼 강하게
회전하는 경우에도 통증을 호소한다.
* 주먹 쥐는 힘이 약해진다.(라켓이나 컵을 잡을 때 느낀다.)
* 작은 물건보다 큰 물건을 잡을 때 더욱 현저하다.
* 가위질은 수지신근의 작용이 우선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방사통
* extensor carpi radials(요측수근신근) : radial hand extensor
①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 (장요측수근신근): 외측상과에 방사통과 압 통이 존재하고 anatomical snuff box(손의 배측)에도 방사하는데 환자들은 종종 이를 “엄지”라고 표현한다.
② extensor carpi radials brevis(단요측수근신근): 손목과 손의 등쪽에 통증
을 방사한다.
* extensor carpi ulnaris(척측수근신근): 손목 배면부로 방사한다.
* brachioradialis(상완요골근):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위및 외측상과로 방사
(그림 28-2-1) 우측 손의 주된 세신근들에 있는 trps의 위치( × 표들 )와 방사통 패턴
A: extensor carpi ulnaris(척측수근신근)
B: extensor carpi radials brevis(단요측수근신근)
C: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 (장요측수근신근)
(그림 28-2-2) 우측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에 있는trp( × 표 )위치와 방사통 패턴
4. 기능(근신장)단위(functional unit)
* wrist extension: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brevis(장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척측수근신근),
extensor digitorum(수지신근)
* radial deviation of the hand: extensor carpi radials longus&brevis
flexor carpi radials(요측수근굴근)
* 손목의 굴곡운동: 척측수근신근이 일차적으로 길항근으로 작용한다.
5. Activation and perpetuation of Trps(활성화 인자)
ⓐ 장,단 요측수근신근과 상완요골근:
* 반복된 강하게 쥐는 것(repetitive forceful hand grip) = 쥐고 있는 물체가 클수록,
또 손이 요측편위(ulna deviation) 될수록 발생경향이 강하다.
* 테니스 라켓의 헤드가 쳐진 상태에서 원핸드-백핸드 스트로크를 치는 것
* 꽃삽으로 잡초뽑기(weeding with a trowel)
* 악수한채로 과다하게 흔들기(extensive handshaking)
* scrapper로 자동차 유리의 성애를 긁기
* muscle soreness를 검사하기 위하여 크고 무거운 물건(heavy large
paperweight)을 반복하여 들어 올리는 것
* 가벼운 다리미로 다림질하기(meticulous ironing)
* 빗장에 중지를 걸고 뻑뻑한 창문을 열려고 당기는 것
* 수시간 원반 던지기를 하는 것(hours of frisbee-throwing)
위 활동들은 자주 “tennis elbow"라고 불리우는 방사 주관절 통증을 일으킨 다.
※ 외측상과통을 일으키는 Trps를 발생하는 경향성의 순서
① 회외근(supinator)
② 상완요골근( brachioradialis)
③ 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④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⑤ 주근(anconeus)
⑥ 상완이두근과 상완근( biceps and brachialis together)
회외근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완요골근과 함께 병변이 발생하며, 역으로도 성립한다.
한 환자가 카누를 타고 노를 젓는 동안 잘 쓰지 않는 팔의 상완요골근에 있는 Trps로
기인된 외측상과 통증이 발생하였는데, 장요측수근신근에서는 정도가 약한 병변이 발생하였고
회외근에서는 병변이 발생하지 않는 경향도 있었다.
ⓑ 척측수근신근
중력에 대항하여 부하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일이 없는 척측수근신근은 Trps가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대부분의 경우
㉠ 척골의 골절과 같은 큰외상(gross trauma)에 2차적으로 발생
㉡ "frozen shoulder syndrome"의 한부분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6. 환자검사( patient examination )
* Hand grip test: 검사자의 손을 정상적인 악수 자세로 잡고 검사자의 손이 손목에서 요측 편위로
제껴지게(cocked in radial deviation) 제꼈다가, 다시 척측편위되게 밑으로 내리는
(uncocked into ulna deviation)검사법으로 강하게 쥐려는 노력(strong grip effort)은
자발적인 방사통 패턴을 재현하고 약해진 악력이 드러나게 된다.
* Compression test: Hand grip test를 유지한 채로 주관절 아래에서 신전근 근육덩어리를 강하고
넓게 압박하는 것이다. 이 압박은 종종 통증반응(pain response)을 제거하며, 압박을 풀면
손을 쥐고 있는 동안의 통증이 다시 나타난다.
* 활동성 Trps가 있을 때, 손가락 끝으로 외측상과를 두드리는 것(tapping)은
상과의 원위부 절반의(over the distal half of the epicondyle) referred
tenderness를 입증하는 경향이 있는데, 외측상과보다원위부인 장요측수근신근
상완요골근이나 회외근에 있는 Trps는 위로 이 부위에 통증과 방사통을 발생
한다.
* 환자는 snapping palpation으로 T게rk 자극을 받을 수 있고 연축반응이 잘 일어나는 자세를 취한다.
7. Trigger Point 검사
(그림 28-3) 수근신근에 대한 Trps검사
점선으로 표시된 그림은 안정시 위치이며, 실물그림은 국소연축반응시 취해지는 위치이다.
A: 장요측수근신근, 손의 요측편위(radial deviation)을 일으킨다.
B: 단요측수근신근, 손목에서 손의 신전(extension)을 일으킨다.
C: 상완요골근, 손의 척측편위(ulna deviation)을 일으킨다.
A: 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 완요골근과 팔꿈치에서 비슷한 위치에 있으나 보다 척골측으로 위치한다.
* 팔꿈치를 약 30⁰ 정도 굽히고 손을 아래로 늘어뜨린 자세에서 전완을 지지하고 깊숙이
pincer palpation으로 촉진한다.
* 연축반응이 일어나면 손목은 강하게 요골측의 radial abduction이 일어나게 되고 약간 손목을
신전 wrist extension하게 된다.
B: 단요측수근신근
* 장요측수근신근의 약간 원위부에 위치하는데 완요골근의 척골측(ulna side)에
위치한다(그림 28-3-B). 이는 주와 횡문에서 5 ~6 cm 아래에 위치한다.
* 환자의 자세는 위와 같다.
* 요골쪽으로 근육을 압박하면서 flat palpation으로 촉진하여 자극하면 연축
반응이 일어나 요측신전운동이 일어난다.
C: 상완요골근
* 손가락을 힘껏 벌리면 근육이 긴장되어 두드러진다.
* 환자의 자세는 위와 같이 하고 압통점의 위치는 외측상과의 약 7~8cm원위부.
전완의 후면부의 척골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2~3cm외측에 위치한다.
* 자극하면 연축반응이 일어나 척측신전운동이 일어난다.
D: 완요골근
* 팔꿈치를 90⁰굴곡시킨 상태에서 강하게 등척성 수축 혹은 저항굴곡운동을 하
게 하면 근육이 구별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pincer palpation을 하여 아래의 장, 단 요측수근신근과 구분하도록 한다.
(그림 28-4 ) D: 완요골근 : 상완요골근에 대한 Trps부위에 대한 검사
근육이 주와 횡문의 약 2cm아래 오금 위에서 deep pincer grasp내에 잡혀 있다.
* 이 두 근육근 사이 요솔신경의 감각지인 표충지가 지나간다.
* 압통점은 완요골근 깊숙이 발견되고 압박하면 전형적인 엄지와 검지사이의
dorsal web에 방사통을 일으킨다.
8. corrective actions(교정동작)
1) 스트레치 자세와 아이스 마사지
ⓐ 수근신근들( Hand extensors )
모두 환자를 앉히거나 똑바로 눕게 하여 주관절에서 전완을 신전시키고 손목에서 손을
회내시켜 강하게 굴곡시키는 것으로 스트레치 된다. 이 스트레치를 하는 동안,
아이스 마사지를 상완에서 손까지 평행하게 적용시켜,
외측상과와 손목의 원위 방사통 부위도 모두 덮히게 한다.
척측수근신근은 주관절을 특별히 신전시킬 필요없이 손을 회외시키고 손목을 굴곡시키는
것으로 스트레치 된다.
ⓑ 상완요골근
환자는 주관절을 신장시킨 상태로 긴장을 풀고 의자에 편안하게 앉아 패드를 댄 팔걸이에
전완을 걸쳐 놓는다. 상완요골을 스트레치하려면 손을 최대로 회내시킨다.
(그림 28-5 ) (그림 28-6 )
수지신근들에 있는 Trps( × 표들)에 대한 상완요골근에 있는 Trps( × 표들)에 대한
스트레치자세와 아이스마사지 방향(화살표) 스트레치자세와 아이스마사지 방향(화살표)
(그림 28-5 ) : 보다 요측에 있는 “ × 표 ”는 장, 단 요측수근신근의 Trps 부위를 표시한다.
척측에 있는 “ × 표 ”는 척측수근신근 Trps 부위를 표시한다.
(그림 28-6 ) : 상완을 회외시키면 전완이 주관절에서 신전된다. 최대스트레치는 견관절에서의 내회전을 피하기 위해
주관절을 패드를 댄 표면에 대고 신전시킨 상태에서 손이 척측 편
위(ulnar deviation)와 회내된 자세에 놓이게 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아이스마사지는
근육과 치료부위가 모두 덮히도록 적용하는데, 먼저 외측상과에 적용한 후, 이어서 손등과 합곡부가
덮히도록 적용한다.
2) 교정기구들
손목을 위한 strap support는 환자에게 손목과 주관절에서 손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깨와 상체에서 회전시킬 것을 기억하게 만들어 준다.
(그림 28-7 )
뜨거운 샤워 밑에 앉아 물줄기가 전완을 때리게 하면서 혹은 아이스마사지를 하면
서, 반대측 손으로 외력을 가하여 (그림 28-6 ) 와 같은 자세에 도달하도록 회내시킨
손을 완전히 굴곡시키고 근육을 수동적으로 스트레치 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