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가사집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가사집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저자임종복출판민속원 | 2020.8.26.페이지수190 | 사이즈 222*305mm판매가서적 20,700원
책소개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가사집』은 기존의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의 곡목들을 한 번 더 다듬어 가사를 명확히 하여 수록하고, 판소리를 가야금병창으로 재창조했던 선생님의 유업을 이어받아 기존의 전승곡과 새롭게 편곡한 곡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은 단가 2곡, 심청가 5대목, 춘향가 1대목, 수궁가 1대목, 민요 4곡과 창작곡 4곡으로 총 10곡 7대목이다. 이것은 다른 류파에 비해 곡의 분량이 적은 편이다. 또한 레퍼토리와 그에 관한 음반, 악보 등 전승 자료 역시 많지 않다.
새롭게 편곡하여 게재한 곡은 총 6곡으로 심청가 중 〈심봉사 곽씨부인 묻고 자탄하는 대목-주과포혜〉, 〈심청이 물에 빠진 후 선인들이 탄식하는 대목-행화는〉, 〈뺑덕어멈 심술부리는 대목-뺑덕어멈 심술타령〉, 〈천자께서 꽃봉 속의 심청을 만나는 대목-일일은 천자님이〉 이상 4곡과 장월중선 선생님이 생전에 즐겨 부르시던 판소리 단가 〈인생백년〉과 〈사철가〉에 가야금반주를 입혀 가야금병창으로 편곡한 2곡이다. 그리고 가야금병창을 처음 공부하는 초보자들을 위하여 팔도민요병창을 첨부하였고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사설의 의미와 이해를 돕기 위해 각주에 해설을 첨부하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심청가 계보
머리말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소개
01 장월중선 창작 가야금병창
1. 신라고도가
2. 찬기파랑가
3. 신 풍년가
4. 서라벌의 향기
02 장월중선류 전승 민요 가야금병창
1. 남원산성
2. 성주풀이
3. 새타령
4. 진도아리랑
03 장월중선류 단가 가야금병창
1. 백발가
2. 백구가
3. 인생백년
4. 사철가
04 장월중선류 판소리 가야금병창
심청가
1. 〈주과포혜〉 곽씨부인 땅에 묻고 자탄하는 대목
2. 〈조객들게〉 심봉사 곽씨부인 묻고 집에 들어오는 대목
3. 〈날이 차차〉 심봉사 젖동냥 대목
4. 〈범피중류〉 심청이 물에 빠지는 대목
5. 〈행화는〉 심청이 임당수에 빠진 후 선인들이 자탄하는 대목
6. 〈뺑덕어멈 심술타령〉 뺑덕어멈 심술부리는 대목
7. 〈화초타령〉 천자께서 기화요초를 모아 소일하시는 대목
8. 〈일일은 천자님이〉 천자께서 꽃봉속의 심청을 만나는 대목
9. 〈천지신명〉 심봉사 눈 뜨는 대목
춘향가
1. 〈사랑가〉 이도령과 춘향이 사랑가로 노니는 대목
수궁가
1. 〈토끼화상〉 화공을 불러 토끼화상 그리는 대목
05 초보자를 위한 팔도민요 및 신민요 가야금병창
1. 아리랑
2. 밀양아리랑
3. 도라지
4. 풍년가
5. 군밤타령
6. 노들강변
7. 닐리리야
8. 꽃노래
9. 통영 개타령
10. 봄타령
11. 봄노래
12. 야월삼경
13. 청산별곡
14. 내 고향의 봄
15. 박꽃 핀 내 고향
16. 복숭아꽃
17. 님 그린 회포
18. 꽃타령
19. 함양 양잠가
20. 남도 방아타령
21. 청춘가
22. 베틀가
23. 천안삼거리
24. 신 천안삼거리
25. 한강수타령
26. 경복궁타령
27. 방아타령
28. 울산아가씨
29. 몽금포타령
30. 박연폭포
31. 신고산타령(어랑타령)
32. 양산도
33. 사발가
34. 오봉산타령
35. 태평가
36. 창부타령
37. 노랫가락
38. 매화타령
39. 한오백년
40. 강원도아리랑
41. 옹헤야
42. 상주 모심기
43. 김매기노래
44. 풍년노래
45. 상사천리몽
46. 반 님
47. 동해바다
48. 칠갑산
49. 가시버시 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