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삼십구칙(三十九則)
운문화타(雲門話墮) 운문의 말에 말려들다.
본칙(本則) 역(譯)
운문 문언(雲門文偃)에게 어떤 승려가 물었다. 밝은 빛이 고요히 온 세상을 비추니, 한 구절이 채 끝나지도 않았는데 운문이 갑자기 말했다. 그것은 장졸 수재(張拙秀才)의 말이 아닌가? 승려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운문이 말했다. 말에 말려들었구나! 후에 황룡 사심(黃龍死心)이 이 이야기를 들어 말했다. 자, 말해 보라. 어디가 이 승려가 말에 떨어져 말려든 곳인가? 雲門, 因僧問, 光明寂照遍河沙. 一句未絕, 門遽曰, 豈不是張拙秀才語. 僧云, 是. 門云, 話墮也. 後來死心, 拈云, 且道, 那裏是者僧話墮處.
평창(評唱) 역(譯)
무문이 말했다. 만약 여기에서 운문의 뛰어난 작용처와, 이 승려가 어째서 말에 말려들었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다면 인간과 천상의, 스승이 될 만하다. 만약 아직 분명하지 않다면 스스로도 구제하지 못할 것이다. 無門曰 若向者裏, 見得雲門用處孤危, 者僧因甚話墮, 堪與人天為師. 若也未明, 自救不了.
송(頌)역(譯)
게송으로 읊다. 급한 물결에 낚시를 드리우니 미끼를 탐내는 놈이 덥석 무네. 입을 열자마자 목숨을 잃어버리도다. 頌曰 急流垂釣, 貪餌者著. 口縫纔開, 性命喪卻.
사족(蛇足)
이 운문화타(雲門話墮) 공안(公案)은 이십일칙(二十一則) 운문시궐(雲門屎橛)을 낸 운문문언(雲門文偃) 선사를 말한다. 운문선사에게 어떤 스님이 와서 물었다. 밝은 빛이 온 세상을 비추니, 시 한 구절이 채 끝나기도 전에 운문선사가 그것은 장졸수재(張拙秀才)의 말이, 아닌가? 그 승려가 그렇습니다. 운문선사가 그렇다고 말한 스님을 보고 말에 걸려들었군! 했는데, 그 뒤로 황룡 사심(黃龍死心)이 이 이야기를 들어 말했다. 자, 말 해보라. 어디가 이 승려가 말에 말려든 곳인가? 의문을 제기한 공안화두(公案話頭)다. 장졸수재(張拙秀才)는 처음엔 선월(禪月) 선사의 지도를 받다가 석상경제 선사를 찾아뵈었다. 그때 석상 선사가 묻기를 그대의 성은 무엇인가? 라고 하자, 성은 장(張)이고 이름은 졸(拙)입니다. 라고 대답했다. 이에 석상 선사가 교묘함(巧妙)을 찾아도 얻을 수 없는데, 졸렬함(拙)이 어떻게 왔는가? 라고 말하자 깨달은 바가 있어,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었다. 밝은 빛이 고요히 온 세상을 비추니, 범부, 성인, 일체중생이 모두 나의 가족일세.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으면 전체가 드러나니, 육근(六根)이 조금만 움직여도 구름에 가려지네. 번뇌를 끊으려 하면 거듭 병이 더해지고, 진여에 나아감도 또한 삿된 것일세. 세상의 인연따라 막힘이 없으면, 열반과 생사도 허공의 꽃이로다. (光明寂照河沙, 凡聖含靈共我家. 一念不生全體現, 六根動被雲遮. 斷除煩惱重增病, 趣向眞如亦是邪. 隨順世緣無碍, 涅槃生死是空華.)
장졸수재(張拙秀才)가 지은 시 구절을 운문선사에게 말하다가 말에 걸렸다고 한 말을 가지고 그 뒤로 황룡 사심(黃龍死心)이 듣고 자, 말해보라. 어디가 이 승려가 말에 말려든 곳인가? 묻는 것이 이 본칙(本則) 공안화두(公案話頭)다. 선사(禪師)들 눈에는 척! 하고 보면 안다. 남의 시구절(詩句節)이나 옮겨 외우는 선객(禪客)의 꼴을 다 들어볼 것도, 없이 말에 걸려든 것이, 뻔, 하기때문에 중간에서 말을 끊고 점잖게 말에 걸렸다고 질책한 것이다. 수좌선객(修座禪客)은 공안화두(公案話頭)가 생명(生命)줄이다. 본분(本分)을 망각(忘却)하고 질문(質問)한 승(僧)에게 말에 걸렸다고 호통을 쳤는데, 본칙에는 언하대오(言下大悟) 했다는 말은 없다. 별 볼일없는 중인 것이 분명하다. 혜개선사도 그래서 평창에서 만약 여기에서 운문의 뛰어난 작용처(作用處)와, 이 승려가 어째서 말에 말려들었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다면 인간과 천상의, 스승이 될 만하다. 만약 아직 분명하지 않다면 스스로도 구제하지 못할 것이다. 라고 평하였다. 화두(話頭)는 타파(打破)가 문제를 푸는 방법이다. 모르겠으면 남의 입 쳐다보지 말고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 화두와 하나가 되어야 한다. 구구순숙(久久純熟)하다 보면 아~ 하는 때가 온다.
화옹송평(和翁頌評) 역(譯),
운문의 말에 떨어졌다는 공안화(公案話), 남의 시구절 앵무새, 마냥 잘 외는 것은, 남의 보배 세는 꼴이라, 각자의 눈에는 말에 떨어진 불쌍한 중이라, 활구로 말 끊어 마음, 자리로 돌려놓았네, 그려! 雲門話墮公案話 他詩鸚鵡數他寶 覺者眼中墮話僧 活句絶言返照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