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상에 대한 설명
주체사상은 북한의 국가 이념으로, 김일성에 의해 창시되고 김정일에 의해 체계화된 사상입니다.
이 사상은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철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합니다.
이는 인간의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을 강조하며, 사회와 역사의 주체를 인민대중으로 규정합니다.
철학적 원리
인간 중심성: 사람은 세계와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서, 세계를 개조하고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간의 본성: 인간은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존재로, 이러한 본성은 노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발현된다고 봅니다. 노동은 인간의 본성을 규정하고 유지시키는 핵심 요소로 간주됩니다.
맑스주의와의 차별성: 주체사상은 맑스주의 유물론과 달리 의식과 정신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하며, 물질이 아닌 인간의 주도적 역할을 중시합니다.
사회역사 원리
역사의 주체: 인민대중은 사회역사의 주체로서, 자연과 사회를 개조하며 역사를 발전시킵니다. 이는 "주체사관"으로 불리며, 역사 발전은 인민대중의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ㅡ지도와 영도: 인민대중이 혁명과 건설에서 성공하려면 당과 수령의 올바른 지도 아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레닌주의에서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계승한 부분입니다.ㅡ
이곳을 당과 수령 부분을 빼 버리고 인민대중의 무한 논쟁으로 결정된다로 바꾼다면
정치적 적용
사상에서 주체 확립: 혁명과 건설에서 자주성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 나라 혁명을 중심에 두고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 민족적 자존심과 독립성을 강조하며 외세 의존을 배격합니다.
ㅡ북한 체제 정당화: 주체사상은 노동당 유일사상 체계를 정당화하며,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충성을 기반으로 한 정치 체제를 뒷받침합니다.ㅡ
이곳을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충성을 빼 버리고 인민대중의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의식에 의해서 결정된다로 바꾼다면
맺음말
주체사상은 ㅡ북한의 정치, 경제, 문화ㅡ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이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북한 체제와 정책을 정당화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정치경제문화 라는 단어만 빼 버리면 인류가 나아가야할 철학이 아니겠나.
김일성의 오류는 정신이 물질을 앞선다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유물론을 배척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물질과 의식의 능동적 역할의 결합체라는 것을 간과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예수님공부
예수가 저항한 대상은 그의 시대의 정치적, 종교적, 그리고 사회적 억압 체제를 포함합니다. 그는 당시의 지배 구조와 권력 남용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며,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를 통해 인간 중심의 권력과 억압을 넘어서려는 운동을 펼쳤습니다.
1. 종교적 권력
예수는 유대교 지도자들, 특히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의 위선적인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그들은 성전 제사와 율법을 이용해 가난한 사람들을 억압하고 자신들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습니다. 예수는 그들이 사람들 앞에서는 의로운 척하지만, 실제로는 가난한 이웃을 멸시하고 정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안식일 규정을 엄격히 적용하며 병자를 치유하거나 제자들이 이삭을 줍는 행위를 비난하는 등, 율법을 남용하는 모습을 예수는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2. 정치적 권력
예수는 로마 제국의 억압적인 통치와 헤롯 가문의 권력 남용에도 저항했습니다. 그는 로마 제국의 정치적 구조를 비판하며, 하나님 나라가 도래하면 인간 중심의 통치가 사라질 것이라고 선포했습니다.
로마 총독 빌라도는 예수를 "유대인의 왕"으로 간주하며 정치적 반란자로 여겼고, 이는 십자가 처형의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3. 사회적 억압
예수는 갈릴리 지역에서 병자, 매춘 여성, 죄인들과 함께하며 사회적으로 배제된 사람들을 포용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희생양이 된 자들을 중심으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며, 억압적인 사회 구조를 넘어서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그는 권력을 통해 사람들을 지배하려는 욕망과 그런 체제를 유지하는 메커니즘 전체를 비판했습니다.
4. 하나님 나라 운동
예수의 메시지는 단순히 종교적 가르침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혁명이었습니다. 그는 권력 강제와 남용에 기반한 기존 체제에 맞서 섬김과 자기 희생을 강조하며 새로운 질서를 제안했습니다.
그의 하나님 나라 운동은 당시 권력자들에게 위협으로 여겨졌으며, 다양한 세력이 연합하여 그를 제거하려 했습니다.
결론
예수는 종교적 위선과 정치적 억압, 그리고 사회적 배제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부정의를 저항했습니다. 그의 하나님 나라 메시지는 기존 지배 체제를 뒤흔드는 혁명적인 선언이었으며, 이는 결국 그의 처형으로 이어졌습니다.
두부분의 다른점은 내부적 투쟁과 외부적 투쟁의 다른점일 뿐이다
예수도 나를 말미암치 않고는 천국에 갈수업다
그렇다면 김일성의 자리에 예수를 대입시킨다면 두분이 이야기의 다른점은 무었일까 ?
두분의 말이 똑같다. 그레서 기독인은 김일성을 배척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자리에 인민을 대입해 본다면 제대로된 의식화가 이루어진다
곧 이나라가 나아갈길과 저항해야할 대상이 무었인가가 명확해진다.
인민 해방을 위하여 아니지 인민해방으로가는 길이 민주주의다.
자유민주주의도 인민민주주의도 그방향을 설정해놓고 가는 길은 민주주의가 아니다.
그기 민주주의적인것은 있어도 민주주의 국가는 없다.
김일성도 영도력 예수도 하나님의 외 아들 그기그기지 . 그들은 인민은 우매하다는 전재하에 시작한다.
우매한 민중이지만 집단지성이 모이면 민주라는 바다로 흘러간다
성경은 예수와 그을 필요로하는 자들에 의 해서 쓰여졌다.
김일성이 그의필요에따 주체사상을 쓰듯이!
20250407 일하기좋은 날씨다
막내고모 나와 5살차이이다 그 고모부가 세상를 달리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