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읽기 -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무의식적으로 알아내는 능력, 마음이론이라고도 한다.
공감 -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이지할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소통하는 능력
공감능력을 갖추기 위해 가장 요구되는 능력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그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의 가장 기초가 되는 능력이 다른 사람의 행동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아기가 자아에 대한 개념이 생기면, 행동에 흥미로운 변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아기는 남에게 물건으 나누어줄 수 있게 되는데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놀이의 발달단계
2세 - 평행놀이 : 친구의 행동을 관찰만 하고 함께 놀지는 않는다.
3세 - 연합놀이 : 친구에게 관심을 가지고 함께 놀려고 한다.
4세 - 협동놀이 : 공동 목표를 위해 역할을 분담하고 리더가 존재한다.
공감의 뿌리 - 아기를 통해 아이들에게 공감능력을 키운다는 취지로 설립된 심리교육프로그램으로 아이가 상대방의 입장이 돼서,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게 행동할 마음이 생기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공격성도 줄고, 더 친절해지고, 배려심도 깊어진다.
아이드리 가까운 사람의 행동을 따라함으로써 마음 읽기 능력을 키운다. 공감 읽기 능력도 마찬가지 좋아하는 사람으로 부터 자신의 감정을 위로 받았던 기억 그리고 친구와 다투고 화해했던 놀이경험은 더 많은 사람들과 잘 지낼 수 있는 기회를 줄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관계의 뿌리 즉 공감 능력은 아이의 마음 속 더 깊이 뻗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