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람객이 제1응접실에 전시되어 있는 역대 도지사 사진을 보고 있다> 테미오래 도지사공관 건물은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9호로 지정되어있고 1, 2호 관사, 5, 6호 관사는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된 4개 동을 포함 총 10개 동이 모여 관사촌을 형성하고 있다. 제1응접실은 서양식으로 꾸며진 공적인 공간으로 인조대리석과 타일로 장식된 벽난로는 이 건물이 서양화된 양식을 잘 보여준다. 도면상의 바닥은 요세기 기법의 나무토막을 짜 맞추어 만든 마루로 마감을 했다. 제2응접실도 서양식으로 꾸며져 사적인 공간으로 주인의 서재로 사용되었다. 내실은 일본 전통 양식의 주인 거주 공간이자 사적인 공간으로 거처방과 협실 두 개의 방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였다. 단을 높게 만든 일본식 장식공간과 책상 그리고 협실의 벽장이 구성되어 있다. 공간은 열 장과 여섯 장의 다다미가 바닥에 깔려 있다. 베란다(툇마루)는 밖을 볼 수 있는 복도 공간이자 2층 발코니 공간 아래이다.
<1층 내실 남쪽 베란다(툇마루)를 통해 자연환경과 채광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 전통 난방 방식인 온돌을 주인거주 공간 가까이에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온돌을 수용하였던 당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열효율을 고려한 이중창과 모서리에 마련한 장식 선반은 전통적인 온돌인 동시에 서양화된 일본식 특징이 잘 접목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식당이자 가족실로 사용된 공간은 열효율을 위해 온돌방 근처에 배치하여 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식기 선반의 미닫이를 부엌과 식당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점이 독특하다. 일하는 사람이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 연결통로가 있다. 주방은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으로 한국식 취사 습관이 반영된 토방과 일본식 마룻바닥이 연결되어 있고, 두 곳의 식기 선반장이 있다. 부엌에는 두 개의 식기 전용 선반과 취사용 도구인 풍로와 조리대 그리고 설거지통이 있다. <거실과 식사의 공간으로 사용했던 '차노마'에 한 가족이 서 있다> 욕실과 화장실은 탈의실과 세면실이 연결되어 있고 욕실은 타일 바닥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데우는 가마솥이 있었다. 세면실에는 개수대와 선반이 마련되어 있고, 탈의실과는 나무 울타리로 공간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주방으로 변경하여 사용 중이다.
남녀 각각의 화장실에는 변기와 함께 손 씻는 물과 선반이 마련되어 있다. 화장실, 세면실, 욕실, 탈의실 공간의 전용화와 내부화는 생활의 편리성에 따른 근대화 공간이다. <구항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