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동다층소탑, 동전, 자기, 기와 등 나와
고려시대 건축사 연구에 큰 영향 미칠듯
오등동 절터에서 발굴된 금동다층소탑
제주시 오등동 옛 절터에서 지난달 25일 금동다층소탑과 동전, 자기류, 기와 등 고려시대 유물이 발굴됐다.
재)대한문화재연구원(원장 이영철)은 제주시 오등동 250-8번지 창고 시설부지 일원 유적 발굴 조사를 통해 구전으로 전해오던 고려시대 제주에 있었던 ‘오등동 절터’에 대한 실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금동다층소탑과 동전 등 고려시대 유물이 출토된 오등동 절터
‘오등동 절터’는 제주시 오등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사찰터로 예로부터 ‘절왓’, 또는 ‘불탄터’로 불린 곳인데, 이번에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전해져오던 ‘오등동 절터’의 가치와 창건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인했다. 오등동 폐사지(건물 5동)에서 발굴된 출토유물은 자기류와 기와류, 화폐, 철제품, 금동다층소탑 등이 출토되었으며, 기와류가 가장 많이 발굴되었다.
자기류는 강진 고려청자요지에서 생산된 양질청자와 조선시대(15~16세기) 분청사기 등 다양한 자기류가 출토되었고, 화폐는 함평원보(咸平元寶), 황송통보(皇宋通寶), 치평원보(治平元寶)다. 여기서 함평통보는 중국 송진종 함평년간(998~1003)에 주조된 화폐이다. 황송통보는 송 인종 보원(寶元)년간 (1038~1040)주조된 것이다.
오등동 절터에서 발굴된 자기류
건물지 출토 기와를 통해서는 역사적 기록을 검증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하게 되었는데 ‘大○’, ‘藍造’, ‘同願此’ 등으로 유적에서 보이는 명문기와는 과거 제주 목관아지유적과 제주성 운주당유적에서도 출토된 바 있으며 세종 17년(1435년) 고득종의 「홍화각기」 에 기록된 내용(‘관우의 허물어진 것을 수축하려고 폐허가 되어버린 절의 재목과 기와를 가져다가 먼저 거처하는 집을 일으켰다’)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확인되었다.
오등동 절터에서 발굴된 기와
또 출토된 금동다층소탑은 고려시대 이후 사라진 목탑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면서 지붕과 1개 층 이상의 구조가 잘 남아 있으므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 금동다층소탑은 국립중앙박물관에 1915년 구입 후 소장되어 있는 금동9층소탑이 대표적이나 대부분 청동다층소탑으로 출토지를 알 수 없는 자료뿐 인데 이번에 출토된 금동다층소탑의 시기를 알 수 있으며, 출토지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등동 절터에서 발굴된 동전과 금동다층소탑의 일부
이번 발굴조사에서 건물 5동을 통해 제주사찰의 가람배치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건물지 내부에서는 석조화덕을 사용한 입식구조 및 아궁이와 고래, 구들을 사용한 좌식구조가 동시에 확인되었다. 또한 건물지 출토 명문 기와를 통해 역사적 기록을 검증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하게 되었고, 금동다층소탑의 출토로 고려시대 건물양식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보아 그간 ‘오등동 절터’로만 알려져 왔던 고려시대 사찰 관련 유적의 실체적 윤곽이 드러난 점이 큰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조사대상지 주변의 역사 유적지로는 고려~조선시대로 추정되는 오등동 절터와 조선시대 남학당지 그리고 죽성 설새밋당과 열녀비, 하잣성 등이 있는데, 이번 발굴조사는 향후 문화재청의 평가 후 조치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