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의 본성에 미(迷)도 없고 오(悟)도 없으니
당처를 놓치지 않으면 활연히 열린다
이에 다시 현묘함 찾으려 하면
무한 시간에 법의 우뢰 울리지 못하랴
원문
覺性無迷亦無悟 (각성무미역무오)
不離當處豁然開 (불리당처활연개)
於斯更欲求玄妙 (어사갱욕구현묘)
劫劫無能振法雷 (겁겁무능진법뢰)
종류:한시
작가명:나옹 혜근(懶翁惠勤)
[작가소개] 제작 연대:한국-고려
소재지 위치
이 시는 나옹화상(懶翁和尙)이 게송을 요구하는 제자 뇌선(雷禪)에게 준 시이다.
깨달음의 본성에 원래 어리석음이나 깨우침이 따로 있을 수가 없다. 어리석음은 어리석음에 더욱 매달려 깨달음의 길로 들어서지 못하기에 끝내 혼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깨달음도 홀연한 깨달음이 있겠지만 그 또한 지혜로움으로 구하는 수련의 과정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기에 점점 수련의 과정을 거쳐 가야 한다는 점수(漸修)가 필요하다.
그러나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하여 바로 당해의 핵심적 당체를 알지 못하면 그 또한 어리석음의 헤매임이니, 이 당처인 그 곳을 제대로 찾고, 찾았으면 거기에서 벗어남이 없는 정진이 있어야 깨달음의 길로 들것이고, 이 정진의 결실이 활연한 열림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선의 수련이요, 이 수련은 항시 정진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래서 홀연한 깨우침 뒤에도 점점 수련해야 한다는 돈오점수(頓悟漸修)가 강조된다.
활연한 깨달음이 열린 뒤에 다시 더 현묘한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라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한의 겁 속에 항시 법의 우뢰 소리가 울릴 것이 틀림 없는 것이다.
선사의 이 시는 참선의 묘체에 대한 일반성을 음미한 것이기는 하나 이 시를 요구한 제자의 이름이 뇌선(雷禪)이기에 이 이름에 걸맞는 우뢰(雷)의 법음에다 맞추어 지은 시이다.
나옹선사의 시에는 이렇듯 시를 짓게되는 그 대상자의 처지를 고려하여 거기에 어울리도록 한 시가 많다. 이것 또한 선사들의 병에 따른 약처방으로서의 한 방편이라 하겠다.
《불심시심》, 이종찬(동대교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