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무등산
2023년 02월 02일(일요일)
산행코스 : 원효사주차장(09:10) - 꼬막재(10:00) - 신선대갈림길(10:20) - 북산(10:40) - 신선대갈림길(11:00) - 누애봉(11:55) - 목재(12:35) - 서석대(12:55) - 인왕봉(13:05) - 목교(13:30) - 물통거리(14:00) - 제철유적지(14:15) - 옛길입구(14:25) - 원효사주차장(14:30)
산행거리 : 14.9km
원효사 일주문
석장승
원효분소
장불재 6.4km, 서석대 4.0km, 토끼봉 3.2km, 석불암 5.8km, 규봉암 5.5km, 꼬막재 2.0km
의상봉(548m)
저멀리 무등산 누에봉, 천왕봉을 바라보면서 꼬막재로 갑니다.
숲문화학교(무등산장)로 가는 다리
장불재 7.1km, 꼬막재 1.8km, 원효분소 0.2km, 지오트레일1구간
"자연愛문"을 통과
좌측 구 무등산관광호텔은 한국전쟁 이후 관광 산업육성을 위해 중앙 정부 차원에서 건립한 관광 휴양 시설이었습니다. 원래 설악산, 서귀포, 등 3곳의 국내 명승지에 건립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고 무등산 관광호텔만 유일하게 남아있습니다.
건립 당시 10개의 객실과 연회장, 식당을 갖춘 6동의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는 본관을 포함해 3동만 남아 있습니다.
꼬막재 1.6km, 원효분소 0.4km, 지오트레일1구간
무등 07-06 이정목 해발434m
꼬막재 1.1km, 원효분소 0.9km, 지오트레일1구간
무등 07-07이정목 해발553m
화전민터
편백나무 숲
원효분소 1.km, 지오트레일1구간, 규봉암 4km, 꼬막재 0.4km
무등 07-08 이정목 해발671m
꼬막재(738m)
장불재 5.4km, 규봉암 3.6km, 북산 2.1km, 원효분소 2km, 지오트레일1구간
무등 01-14 이정목 해발711m
원효분소에서 꼬막재까지 계속해서 올라와야 합니다.
무동 01-13 이정목 해발701m
장불재 4.8km, 규봉암 3.0km, 북산 1.5km, 꼬막재 0.6km, 지오트레일1구간
무동 01-12 이정목 해발673m
신선대억새평전(745m)
신선대 0.8km, 장불재 4.2km, 꼬막재 1.2km, 누에봉 1.0km
억새평전 뒤로 북산(778m)
뒤돌아본 누에봉(북봉)
송계마을 갈림길
장불재 4.6km, 원효광장 3.6km, 규봉암 2.8km, 송계마을 2.9km, 신선대 0.4km
무동 09-05 이정목 해발674m
신선대가 보입니다.
신선대
신선대는 해발고도 778m인 북산의 남서쪽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는 약6m의 오각형내지 육각형의 돌기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신선대에서 바라본 누에봉 방향 파노라마
무등산 천왕봉, 누에봉
당겨본 천왕봉
당겨본 누에봉
신선대
북산을 향하여 올라갑니다.
북산 정상이 보입니다.
북산(778m)
사봉실마을 2.4km, 유둔재 5.6km, 백남정재 1.9km, 장불재 5.1km, 꼬막재 2.1km, 신선대 0.1km
무동 11-05 이정목 해발777m
송계마을 갈림길
다시돌아온 신선대 갈림길
누에봉(북봉)으로 올라갑니다.
누에봉으로 가는 길은 사거리에서 1km이지만 된비알 오름길입니다.
뒤돌아본 북산
조망처에서 바라본 북산 방향 파노라마
저멀리 북산과 담양산들
백아산과 그 뒤의 지리산은 시계가 좋지 않아 보이지 않습니다.
당겨본 백아산
누에봉으로 오르는 길은 뚜렸해서 다행입니다.
선두에서 러셀을 하면서 스틱으로 눈의 깊이를 확인합니다.
온통 백색으로 눈이 부셔옵니다.
누에봉을 오르다가
상고대가 이쁩니다.
역시 상고대는 파란하늘과 잘 어울립니다.
상고대도 보입니다.
러셀하면서 누에봉을 향하여 올라갑니다.
드디어 KBS중계소가 보입니다.
KBS중계소에서는 무릎까지 눈이 있네요.
누에봉
규봉암 3.4km, 신선대 1.8km, 중봉 2.2km, 서석대 2.1km
누에봉에서 바라본 무등산 천왕봉
누에봉에서 바라본 천왕봉 방향 파노라마
백아산
당겨본 백아산
모후산, 별산
모후산, 별산이 보입니다.
누에봉(北峯,북봉 1072m)
원효사 쪽에서 보면 누에가 뽕잎 먹는 모습이라 하여 천왕봉 아래 북쪽에 있는 봉우리를 누에봉이라고 하는데 호남정맥 산행을 하는 사람들은 무등산 북봉이라고 하여 반드시 지나가는 코스입니다.
뒤돌아본 KBS중계소
천왕봉과 지왕봉도 보입니다.
당겨본 천왕봉
당겨본 지왕봉, 인왕봉
광주시내
천왕봉과 지왕봉을 바라보며 갑니다
군부대입구 삼거리
뒤돌아본 군부대 삼거리
규봉암 3.6km, 시니선대 2.0km, 누에봉 0.2km, 중봉 2.0km, 서석대 1.9km
당겨본 KBS중계소
군사도로
군사도로를 따라 목교로 내려갑니다.
목교(958m)
장불재 0.7km, 중머리재 1.6km, 중봉 0.6km, 입석대 1.0km, 서석대 0.5km, 누에봉 1.6km, 원효광장 3.5km
무등 10-22 이정목 해발931m
목교쉼터사거리에서 서석대로 올라갑니다.
원효광장 3.8km, 입석대 0.7km, 서석대 0.2km, 지오트레일1구간
서석대
서석대 주상절리(瑞石臺 柱狀節理)
저녁 해질 무렵이면 서쪽에서 내리쬐는 햇빛에 반사되어 바위가 수정처럼 반짝거려 수정병풍(水晶屛風)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개방된 인왕봉(1178m)과 천왕봉(1186m)
서석대
원효광장(옛길2구간) 4.0km, 중봉 1.2km, 입석대 0.5km, 전망대 20m, 인왕봉 전망대 0.4km
인왕봉으로 가는 데크길
공군부대가 주둔하기 시작한 1966년부터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기 시작하였다고 하며, 2011부터는 매년 한시적으로 개방하다가 2023년 9월부터 무등산 정상부(인왕봉까지)를 상시 개방하였습니다. 실로 57년 만에 광주 시민 품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당겨본 인왕봉, 지왕봉, 천왕봉(1187m)
별산, 백마능선
인왕봉가는 길에 바라본 백마능선 방향 파노라마
인왕봉, 지왕봉, 천왕봉
모후산, 별산
별산, 안양산, 낙타봉
당겨본 모후산, 별산
낙타봉, 백마능선과 그 뒤로 만연산, 수레바위산
당겨본 백마능선과 그 뒤로 수레바위산
서석대 정상
가림막이 쳐진 목계단을 올라가면 인왕봉 정상입니다.
군부대 송신탑과 파란하늘이 잘 어울립니다.
인왕봉 정상이 보입니다.
인왕봉(人王峯,1140m) 정상에서
무등산 정상 삼봉 천지인인 천왕봉, 지왕봉, 인왕봉 중의 하나입니다.
무등산 정상에 있는 세 봉우리를 정상 삼봉, 삼왕봉, 삼황봉 등으로도 부릅니다.
고경명의 유서석록에서는 지왕봉을 비로봉(毗盧峯), 인왕봉을 반야봉(般若峯)이라고 하였습니다.
인왕봉 정상에서 바라본 중봉 방향 파노라마
중복과 청심봉 뒤로 광주시내가
당겨본 중봉뒤로 광주시내
청심봉
당겨본 광주시내
원효사 방향
당겨본 광주호
저멀리 누에봉이
당겨본 누에봉
서석대 정상으로 되돌아갑니다.
저멀리 서석대 정상이 보입니다.
서석대(瑞石臺,1100m)에서
해발 1050m~1100m에 위치해 있고 육각형 또는 오각형 기둥 모양의 전형적인 주상절리가 발달하였습니다.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줄지어 서 있으며 저녁 해질 무렵이면 서쪽에서 내리쬐는 햇빛에 반사되어 바위가 수정처럼 반짝거려 수정병풍(水晶屛風)이라고도 불립니다.
무등산을 서석산(瑞石山)이라 부른 것은 이 서석대의 돌 경치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다시 돌아온 목교
무등 10-21 이정목 해발 821m
서석개(옛길2구간) 1.2km, 목교 0.7km, 언효분소(옛길2구간) 2.8km, 제철유적지 2.1km
무등 10-20 이정목 해발 757m
원효분소(옛길2구간) 2.2km, 제철유적지 1.5km, 서석대(옛길2구간) 1.8km, 목교 1.3km
무등 10-19 이정목 해발630m
원효분소(옛길2구간) 1.7km, 제철유적지 1.0km, 서석대(옛길2구간) 2.3km, 목교 1.8km
무등 10-18 이정목 해발 573m
물통거리
무등 10-17 이정목 해발 485m
주검동 유적(鑄劍洞 遺積)
김덕령( 金德齡 1567~1596)장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력계사 의병대장 김충장공 주검동(万曆癸巳 義兵大將 金忠壯公 鑄釰洞)이라는 글자를 새긴 커다란 바위가 있습니다.
만력(万曆)은 중국 명나라 신종 만력제(神宗 萬曆帝 1573~1620년 7월)의 연호이고
계사(癸巳)는 1593년(조선 선조 임진왜란)임란 다음 해를 말하고
충장공(忠壯公)은 의병장 김덕룡 장군의 시호입니다.
주검동(鑄釰洞)은 무기를 만들고 훈련하던 장소를 뜻한다고 합니다.
금곡동 제철유적(金谷洞 製鐵遺蹟)
금곡동제철유적은 금곡(金谷)이라는 지명이 쇳골을 의미하고 있으며, 유적 주위에 건물지의 기단부와 수많은 철재가 남아 있어 일찍부터 유적이 나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금곡동 제철유적은 임진왜란때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의 의병 활동과 관련한 무기 제조창으로 알려졌습니다.
원효분소(옛길2구간) 0.7km, 서석대(옛길2구간) 3.3km, 목교 2.8km, 풍암제 3.5km
원효분소 0.6km, 인왕봉 전망대 3.7km, 서석대 3.4km
무등 10-16 이정목 해발 406m
서석대(옛길2구간) 3.7km, 목교 3.2km, 제철유적지 0.4km, 원효분소(옛길2구간) 0.2km
무등산 옛길 입구
원효사주차장
원효사 일주문
무등산원효사(無等山 元曉寺) 편액
무등산원효사 편액
부도
범종각
원효사에서 바라본 무등산
당겨본 무등산
원효루
원효사 대웅전
첫댓글 무등산 멋진사진 즐감하구요
수고하셨습니다
무등산 의 멋진 풍광 즐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무등산의 눈꽃이 멋지네요.
즐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