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 조사에 따르면 5월 1주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1%, 전세가 변동률은 0.00%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3주 만에 다시 약세를 보였다.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한 국가 재난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침체되면서 매수자들 문의도 크게 줄었다. 전세에서 매매로 선회하는 수요도 줄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매도호가가 하향조정되기도 했다.
전세시장은 보합세로 마감했다. 일부 시세가 저렴한 지역으로 여전히 세입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에선 조용한 모습을 보였다.
[매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1%로 약세를 보였다. 마포구(0.02%), 관악구(0.02%), 도봉구(0.01%)가 소폭 상승했고 송파구(-0.06%), 동대문구(-0.06%), 은평구(-0.05%), 서초구(-0.03%), 노원구(-0.02%)는 하락했다.
<매매가 변동 상하위 5개 지역>

송파구는 가락시영 매매가가 하락했다. 지난주 조합원 분양신청이 마무리되면서 급매물이 속속 거래되며 매매가가 오르기도 했으나 서울시가 재건축 조합 비리의혹에 대한 감사 계획을 통보하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9일까지 1차 서면 조사가 이뤄지고 그 뒤 2차 현장 점검이 진행될 예정으로 재건축 추진이 장기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매수문의도 끊기며 매물이 쌓여가고 있다.
가락동 가락시영 56㎡가 1,000만 원 내린 5억9,500만~6억500만 원이고 61㎡가 500만 원 내린 8억2,000만~8억4,000만 원이다.
은평구는 불광동 일대 매매가가 하락했다. 급매물이 정리된 후 매수세가 다시금 주춤해지면서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도호가가 하향조정됐다. 불광동 북한산힐스테이트7차 140㎡가 3,000만 원 내린 6억2,000만~6억7,000만 원이고 168㎡가 1,000만 원 내린 7억5,000만~8억7,000만 원이다.
반면, 마포구는 서교동 일대 소형 아파트 매매가가 올랐다. 특히 주상복합인 대우미래사랑은 전용면적 25~84㎡의 중소형으로 이뤄진 단지로 서울지하철 2호선과 공항철도, 경의선 환승역인 홍대입구역이 가까워 싱글족 등 젊은층 수요가 많다. 거래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매매가도 조금씩 오르고 있는 상태.
서교동 대우미래사랑 46㎡가 1,000만 원 오른 1억9,500만~2억1,000만 원이고 89㎡가 1,000만 원 오른 3억3,000만~3억5,200만 원.
[전세]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0.00%로 보합세다. 지역별로는 마포구(0.07%), 은평구(0.07%), 동대문구(0.03%), 관악구(0.03%), 광진구(0.02%)가 올랐고 서초구(-0.07%), 동작구(-0.07%), 도봉구(-0.05%), 강남구(-0.03%)는 하락했다.
<전세가 변동 상하위 5개 지역>

마포구는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가가 올랐다. 싱글족, 직장인 등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도보로 지하철 이용이 가능한 중소형 아파트로 세입자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서교동 대우미래사랑 112㎡가 2,500만 원 오른 2억8,000만~3억 원이고 염리동 삼성래미안 81㎡가 1,000만 원 오른 3억3,000만~3억5,000만 원이다.
은평구는 불광동 일대 전세가가 올랐다. 2011년에 입주한 북한산힐스테이트7차는 불광근린공원이 단지와 바로 접하고 있고, 은평구립도서관을 비롯해 초,중,고 모두 도보 통학이 가능하고 서울지하철 3‧6호선 이용도 편리해 중대형도 세입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불광동 북한산힐스테이트7차 80㎡가 1,000만 원 오른 2억8,000만~3억 원.
한편, 서초구는 올 하반기 이주를 앞둔 잠원동 한신5차 전세가가 하락했다. 잠원동 한신5차 110㎡가 4,000만 원 내린 2억5,000만~3억 원이고 116㎡가 2,000만 원 내린 3억~3억5,000만 원.
수도권 - 수도권 매매시장, 매수자부재 이어지며 보합세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 조사에 따르면 5월 1주 매매가 변동률은 경기 0.00%, 신도시 0.00% 인천 0.00%를 기록했다. 전세가 변동률은 경기 0.01%, 신도시 0.01%, 인천 0.00%다.
수도권 매매시장도 전반적으로 조용한 모습을 보였다. 봄이사철이 마무리되며 줄어든 매수세로 거래 부재가 이어지자 일부 매도자들은 거래를 위해 호가를 조정하고 있다.
전세시장도 보합세 분위기가 강해졌다. 여전히 전세물건이 귀한 지역은 전세가 상승세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세입자 문의가 줄면서 계약을 위해 집주인들이 전세가를 내리는 등 안정세를 찾는 모습이다.
[매매]
경기 아파트 매매가는 0.00%로 지난주에 이어 보합세를 이어갔다. 김포시(0.02%)만 올랐고 남양주시(-0.07%), 부천시(-0.01%)는 하락했다.
<매매가 변동 상하위 5개 지역>


김포시는 장기동 일대 매매가가 소폭 올랐다. 한강신도시푸르지오가 미분양이 소진되며 호가가 오르면서 시세가 조정된 것. 장기동 한강신도시푸르지오 80㎡가 1,000만 원 오른 2억4,000만~2억6,500만 원이고 84㎡가 1,000만 원 오른 2억4,000만~2억6,500만 원이다.
남양주시는 화도읍 및 평내동 일대 매매가가 하락했다. 평내동은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 내렸다. 매수자들이 없어 전반적으로 시세가 500만 원 가량 하향조정됐지만 실제 거래는 시세보다 1,000만 원 정도 낮춰 이뤄지고 있다. 화도읍은 기존에 나왔던 매물들이 거래되지 못한 채 그대로 쌓이면서 매도호가가 조정됐다.
화도읍 마석그랜드힐 79㎡가 1,000만 원 내린 1억4,500만~1억6,500만 원이고 평내동 중흥S-클래스1단지 155㎡가 500만 원 내린 2억9,500만~3억2,500만 원이다.
신도시는 0.00%%로 보합세를 보였다.
분당은 리모델링추진 중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자들 문의는 가끔 있지만 거래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매도자들이 향후 매매가가 상승할거란 기대감으로 싼매물을 회수하거나 거래를 미루고 있어 매수자와 매도자간 가격 차이로 거래가 힘들다.
매매가는 정자동 한솔주공5단지 57㎡가 2억3,000만~2억6,000만 원이고 야탑동 매화공무원1단지 69㎡가 2억7,000만~3억 원이다.
인천도 0.00%로 보합세를 보였다. 서구(0.02%)는 상승했고 남구(-0.06%)는 하락했다.
서구는 가좌동 일대는 인근 산업단지 근로자 수요로 매매가가 꾸준히 상승세다. 가좌동 한신休플러스 108㎡가 500만 원 오른 2억6,500만~2억8,000만 원이다.
남구는 도화동 일대 매매가가 하락했다. 매수문의가 없어 거래가 어렵자 매도자들이 호가를 내리고 있지만 여전히 거래는 힘든 모습. 도화동 동아 109㎡가 1,000만 원 하락한 1억7,500만~2억 원이고 나산 109㎡가 500만 원 하락한 1억9,000만~2억 원이다.
[전세]
경기 아파트 전세가는 0.01% 올랐다. 지역별로는 양주시(0.08%), 구리시(0.07%), 군포시(0.06%), 남양주시(0.04%), 광명시(0.04%) 등이 올랐고 용인시(-0.03%)는 하락했다.
<전세가 변동 상하위 5개 지역>

구리시는 교문동 일대 전세가가 올랐다. 서울과 인접한 지역으로 높은 전세가로 서울에서 밀려온 수요자들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물건도 많지 않아서 계약이 한 건 이뤄질 때마다 전세가가 오르고 있다. 교문동 동방 79㎡가 1,000만 원 오른 1억3,000만~1억9,000만 원이고 대명연립 112㎡가 1,000만 원 오른 1억8,000만~2억2,000만 원.
광명시는 가산디지털단지 근로자 수요로 소형 아파트 전세가가 올랐다. 하안동 주공1단지 52㎡가 500만 원 오른 1억~1억1,000만 원이다.
신도시는 0.01%로 산본(0.09%)이 올랐다.
산본은 산본동 일대 전세가가 올랐다. 궁내중과 수리중 배정이 가능한 묘향롯데는 대기수요가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중학교 배정을 위해 미리 움직이려는 사람들로 오른 시세에도 계약이 바로 이어진다. 산본동 묘향롯데 115㎡가 1,000만 원 오른 2억8,000만 원 선이고 122㎡가 1,000만 원 오른 2억8,000만~2억9,000만 원이다.
인천 0.00%로 남동구(0.01%)만 소폭 올랐다.
남동구는 간석동 일대 전세가가 올랐다. 인근 가좌동에 위치한 산업단지 근로자 수요가 많다. 특히 우성2차는 단지 인근에 초,중,고가 바로 접하고 있고 홈플러스 등 주거여건이 좋아 세입자 문의가 꾸준한 편. 간석동 우성2차 105㎡가 1,000만 원 오른 1억2,000만~1억4,000만 원.
자료제공: (주)부동산써브(www.serve.co.kr) 부동산연구팀
첫댓글 임대선진화 방안이 결국은 부동산 시장을 다시 얼어붙게 만들었군요.
안탑갑네요.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