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우루과이 신재생에너지 투자 환경 분석 | |||
작성일 | ![]() |
2012-10-06 | 작성자 | ![]() |
심재상 ( csshim@kotra.or.kr ) |
국가 | ![]() |
아르헨티나 | 무역관 | ![]()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
-->
우루과이 신재생에너지 투자 환경 분석 -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투자진흥제도로 산업 환경 우수 - - 2015년 총 에너지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율 50% 달성 목표 - 2012-10-06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심재상( csshim@kotra.or.kr ) □ 개요 ㅇ 우루과이는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남미 주변국 중 가장 개방적인 사업 환경을 제공함. - 자금 본국 송환, 이익, 배당금, 이자 송금에 관한 제한 없음. - 외국인 투자자는 허가증 또는 사전 허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내수기업의 지분 100% 소유까지도 가능함. - 외국인 투자는 자국민 투자와 동일한 법적 대우를 받으며 우루과이는 스페인, 미국, 핀란드, 프랑스, 영국 포함 27개국과 투자 진흥 및 보호 협정을 맺음. - 외환시장에서 거래가 자유로워 외화 구매 및 판매에 제한이 없으며, 투자금의 통화단위에 대한 제약이 없음. - 현지직원 비율이 최소 75%를 충족해야 하는 보세지역을 제외하고는 외국인 직원 채용에 대한 제약이 없음. - 거주허가증 취득이 빠르며 합법적으로 입국한 사람은 누구든지 취득하여 일을 시작할 수 있음. ㅇ 국내총생산의 증가로 에너지 수요 급증, 화석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수력발전용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원 개발 계획을 추진 - 신재생에너지 분야 발전과 민간전력업체 및 민간투자의 증대를 위해 마련된 규정체제가 존재 - 소득세를 감면하여 투자액의 100%를 상환해주는 투자진흥제도와 신재생에너지원 개발 분야에 혜택을 주는 법령 354/003이 각각 2007, 2009년에 승인됨. □ 에너지 산업별 시장 현황 ㅇ 우루과이 에너지 산업은 크게 전기, 액체 연료, 가스 3가지 분야로 나누어짐. - 우루과이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4,000TOE 이상이며 현재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설비용량은 2,421MW이며 소비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용량 증가를 위해 새로운 투자가 필요함. - 전체 에너지 사용 비율은 비신재생에너지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신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수력, 풍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등 천연자원이 풍부함. 자료원 : 우루과이 에너지청 1) 바이오에너지 ㅇ 우루과이는 임업과 농축산업이 발달되어 에너지 원료 확보에 유리하며 쌀, 사탕수수, 셀룰로오스, 수수, 목재류를 이용하여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함. - 농축산업 및 임업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에너지 생산에이용 할 수 있음. - 산림 면적은 우루과이 전체 면적의 4.2%로 70만 헥타르에 달하며 이러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의 확보로 최근 몇 년간 바이오매스 산업은 큰 성장을 보임. - 임목의 10~30%, 벌목 등의 제재과정을 거친 경우 50~70%의 산림부산물이 발생함. - 총 434개의 제재소 중 209곳에서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음 - 제재소에서 발생하는 폐목재를 이용하여 전환되는 에너지는 전기 수요의 1.5% 충족할 수 있으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시 12MW의 에너지 생산 가능. - 앞으로 네그로 강, 소레아노 주, 파이산두 주 특히 리베라 주, 따꾸아렘보 주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바이오에너지 가용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함. 2) 태양에너지 ㅇ 태양에너지와 관련하여 우루과이의 일사량은 여름철 1000~7500Wh/㎡, 겨울철 200~3000Wh/㎡로 연평균 약 1700Wh/㎡ 수준으로 가용 자원으로서는 훌륭하나 에너지 특성상 계절 및 변수를 고려해야 함. - 인구 1000명 당 태양에너지 설치면적은 2008년 기준 1.5㎡, 가용면적 1.2㎡임. - 살토 주에는 약 10,000㎡의 집광판을 설치하여 발전용량 480Kwp의 첫 태양광 발전단지를 건설 중임. - 이 프로젝트는 전국적으로 구축된 태양광 송전망을 통해 청정에너지 사용 촉진 및 배기량 감소를 목표로 함. - 이산화탄소 배출량 7,500톤 감소, 연간 215가구가 사용 할 수 있는 645MWh에너지 생산을 기대함. 3) 풍력에너지 ㅇ 고도 90m, 평균 풍속 7m/s로 좋은 풍력발전 조건을 지니며, 평균 풍력 터빈 실 생산율이 30% 이내의 다른 국가에 비해 우루과이는 48%로 생산율이 높은 편임. - 현재 우루과이 내 풍력발전소는 Nuevo Manantiales S.A. 사(발전용량 13MW), Agroland S.A. 사 (450KW), 우루과이 전력공사(UTE) 풍력발전단지(20MW) 3개가 있음. - 최근 공개된 브라질-우루과이 풍력발전 프로젝트는 양국간 전력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새로운 전력시장을 창출한다는 목표로 우루과이가 풍력발전 부지를 제공하고 브라질의 자본이 투입되어 2015년까지 350MW 의 발전소를 건축, 2020년까지 추가로 700MW를 신축하고자 함. - 동 프로젝트는 2015년 목표달성을 위해 3억9500만유로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의 경제적 효과에 이목이 집중됨. 4) 수력에너지 ㅇ 수력발전은 우루과이 주요 에너지원으로, 네그로 강에 총 발전용량593MW(Gabriel Terra발전소 152MW, Baygorria발전소 108MW, Constitucion 발전소 333MW)규모의 3개의 발전소가 있음. 우루과이 강에 있는 발전소는 아르헨티나-우루과이 양국 소유로 발전용량 1880MW 중 940MW는 우루과이로 공급함. - 현재 우루과이 내 수력발전소는 건설에 한계가 있으나 유휴부지 내 시설 용량이 작은 소수력 발전 건설 가능 연도별 재생 에너지 설비용량과 생산량
자료원 : 우루과이 에너지청 ㅁ 에너지 정책 ㅇ 2010년 비준된 우루과이 에너지 정책의 주목적은 내수 수요 충족과 에너지의 효과적인 사용을 증진하고 국가의 에너지 자립성을 확보하고자 함. - 국가 에너지 산업 활성화, 석유 의존도 감소 및 부존 자원 활용도 제고로 에너지원의 다양성을 추구하며 에너지 항목별 정책과 단·중·장기 목표를 공개했음. 우루과이의 2015년 단기 에너지 생산 목표
공급 총 에너지 발전량 중신재생에너지 비율 50% 달성 전력 재생에너지원 전력생산 25% 달성 풍력 2015년 국유 및 민영 기업 500MW 생산 목표 바이오 매스 2015년 민영기업 200MW 생산 목표 바이오 에탄올 2015년 1월 1일부터 가솔린 비중 최소 5% 함유 바이오 디젤 2012년 1월 1일부터 디젤 비중 최소 5% 함유 태양광 주거, 산업, 상업 및 서비스 분야에 관련시설 확충 소수력 소수력 발전소 건설 추진 ㅁ 관련 산업 지원 및 진흥법 제정 ㅇ 법령 354/009 : 재생 에너지 산업 조세 지원 (관련법은 아래의 산업 활동 증진을 위함) - 신재생 에너지원을 기반으로 한 전력 생산 - 열 병합 발전(Cogeneration)을 이용한 전력 생산 - 신재생에너지 생산 - 태양광 에너지로 변환 - 에너지 효율을 위한 기기 변환 또는 시설 통합 - 법령 15.424에 근거한 광물 탐광 및 채굴 - 원자력에너지기술부에 등록된 A 카테고리에 속한 기업이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 상기 언급된 분야의 기기 및 기구의 자국 생산 - 전력이 정기 계약으로 거래될 시 소득세 면제
ㅇ 태양광 에너지 증진 법 18.585 - 동 법은 국가적 차원의 에너지 분야 정책의 일환으로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부존자원과 신재생에너지원을 적극 활용하여 국가 에너지 구조를 다양화하고자 함. - 공공건축물, 호텔, 스포츠클럽, 의료기관, 사업체 등지에서 신·증축 시, 관련 기술을 설치할 것을 언급. - 태양광 관련 생산 및 구현 시 필요한 개발 투자자금에 대한 세금 공제 - 가정, 스포츠클럽, 사회 기관에서 사용되거나 소모품으로 사용될 경우 부품 수입 관세 및 부가가치세 면제 - 광물 에너지 산업부, 사회개발부, 토지주택관리부와 환경부의 협력 프로젝트로 태양광 기술 보급화에 앞장섬. ㅇ 법령 173/010 : 저압전력 공급자에게 풍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소수력 발전 설비 승인 - 소규모 발전은 본래 전력 공급이 미치지 못한 곳에 설치되었다가 현재 우루과이 전력공사(UTE) 전력망과 연계되어 전력 공급 문제 해결책을 모색 중임. - 소규모 발전은 전체 및 부분적 수요에 필요한 전력 공급과 잉여전력을 전력공사에 판매하고자 함. - 잉여전력 판매와 관련하여, 전력공사와 전력연결 계약 체결과 우루과이 산업자원부가 정한 약관 및 저압전력 내부설비 규칙을 이행해야 함. - 전력공사는 전력망에 송전되는 모든 에너지를 계약기간 10년 동안 정해진 단가에 구매함. - 법인의 경우 전력공사 공급업체 리스트에 등록 후 이용 가능하며 송전된 전력에 포함된 부가세의 60%는 전력공사가 공제하나 개인소득세는 공제대상이 아님. - 개인의 경우 국세청에 등록하지 않아도 되며 부가되는 개인소득세 12%는 전력공사가 공제하고, 개인이 잉여전력을 공급하고 이익을 얻을 경우 전력공사는 정기적으로 공제함. - 건설허가서, 주거지 높이 제한 등 관할청과 환경부에서 발표한 도시화 및 환경적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안전성을 위해 개인상해 또는 제 3자 상해 보험 가입을 고려해야 함. □ 시사점 ㅇ 우루과이는 신·재생 에너지원이 풍부하고 관련 산업 세금 인센티브와 투자정책이 활발하여 매년 발전용량이 늘어나고 있음. 앞으로도 주요 선진국의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ㅇ 현재 아르헨티나의 투자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같은 남미공동시장 회원국인 우루과이는 지속적으로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올해 베네수엘라의 남미공동시장 회원국 추가 가입으로 우루과이로의 투자진출 시 공략할 수 있는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되어 투자 매력도를 높여주고 있음. 한국기업들도 이러한 우루과이의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투자 및 개발 프로젝트 참가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우루과이 에너지청, 우루과이 산업자원부, Uruguay XXI, Diarios de Uruguay 및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체 조사 내용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