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2006년에 개봉한 영화로 앤디 삭스(앤 해서웨이)는 패션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패션 매거진 런웨이에 입사하게 된다. 런 웨이 편집장 미란다(메릴 스트립)는 높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모두 보여준다.
앤디는 기자를 꿈꾸며, 여러 회사에 지원을 하지만, 매번 낙방하는 앤디는 런 웨이 매거진의 편집장인 미란다의 비서로 취직을 하게 된다. 다른 직원들은 앤디가 떨어질 줄 알았는데, 미란다는 그녀를 비서로 선택하여 그녀의 비서가 된다.
그러나 앤디는 패션의 패자도 모르는 여성으로서, 잘 나가는 패션 잡지회사에 다니고 있지만, 앤디는 패션 테러리스트이다.. 앤디는 비서로서 책임 있는 일을 열심히 배우며 살아가지만, 그게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나이젤에게 도움을 받으면서 패션 테러리스트에서 패셔니스타로 거듭나는 생활을 한다.
업계에서는 마녀로 악명 높은 미란다, 프로페셔널한 완벽주의자 미란다를 버텨내는 비서가 없어서, 앤디에게 기회가 찾아온다. 그 후 엔디는 일이 잘 풀리고, 미란다의 신뢰도 얻으면서, 패션에는 관심 없고, 무시하던 엔디가 미란다와 일하면서 이제 인정받지만, 그녀의 남자 친구 네이트가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그녀는 점점 일에 집중하게 되면서, 에밀리가 가기로 했던 파리에 엔디가 대신 가게 되면서, 가치관에 혼란이 오게 된다. 그런 엔디는 자신이 추구하는 삶을 다시 생각하게 되면서, 앤디는 미란다처럼 겉은 화려하게, 내면은 외로운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라는 영화는 화려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겉모습보다는 내면의 모습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는 영화인 것 같다.
1
“미란다가 지향하는 삶,
앤디가 지향하는 삶”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악마는 즉 일밖에 모르고 자신밖에 위하지 않는 사람을 뜻하고, (프라다 = 명품) 명품은 즉 겉은 화려하지만 안은 그렇지 않은 삶을 뜻하는 것이다.
여성이 출세하기 위해서는 남성보다 더 열심히,
리더로서 적합함을 증명해야 한다.
“1980년대 영국에서 남자는 마거릿 대처 한 사람뿐이다.”는 말처럼,
남성화된 사회에서 여성 리더들의 성공은
도전적인 특성을 가져야만 성공할 수 있다
여성들은 가정에서는 현모양처로,
사회에서는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사회인으로서 여성을 원하고 있어서,
이 둘을 감당해야 하는 여성들은 무척 힘든 일이지만,
사회에서는 멋진 리더로서, 가정에서는 따뜻한 아내, 엄마로서
삶을 살아가야 하는 리더로서 삶을 살아야 하는 여성들이 자랑스럽기도하다.
1
🎬 영화중 명대사~
♣ 화려한 뉴욕을 꿈꾸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He Who dreams of splendid New Yo가, bear the weight!
♣ 직업이 집세를 내준다 = 앤디삭스
The jobs pay the rent
♣ 노력하는 게 아니라 징징대는 거야
You're not trying, you're whining
♣ 난 내 일을 사랑해 난 내 일을 사랑해 … 난 내 일을 사랑해 … - 에밀리
… i love my job … i love my job … i love my job …
♣ 웃기지마, 누구나 이런 삶을 원해. 다들 우리처럼 되길 원해. - 미란다
oh, don't be rediculous Andrea, Everybody wants this. Everybody wants to be us.
♣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순 없는 거야. - 나이젤
You can't catch both rabbits.
♣ 그녀를 채용하지 않으면 당신은 멍청이다. - 미란다
… so if you don't hire her, you're an idiot.
♣ 모두가 이런 삶을 살기를 원해.
1
💕영화는 실제로 보그지 편집장을 모델로 쓰여진 소설을 각색해서 만든 영화라 화려하기도하고 우리가 문외한인 패션에 관심갖고 볼만한 영화이기도 하네요~~
|
첫댓글
메릴스트립이 정말 대단한 배우.
여주중에 잘생긴 하나없는 모습으로
여러 영화에 대단한 연기로
각인하게 만드는 주인공으로..
믿고보는 배우중 일인.
'맘마마아, 철의 여인...'
한국 배우들은 정말 사고방식
고쳐야한다. 퉁퉁 부은 얼굴들만..ㅎㅎ
"영화는 화려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겉모습보다는 내면의 모습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는 영화"
영화는 못보았지만 올려주신 글로 대신 합니다.
고맙습니다.
본영화지만 다시 생각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