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하게 희생된 4.3영령들에게 삼가 명복을 빌며 희생자 유족들에게 위로의 말씀드립니다.
♧ 제주 4?3 사건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음력 2월 24일) 새벽 1시 한라산과 제주지역의 89개 오름에 일제히 봉화가 오르면서 터진 사건으로 아직까지도 좌파(左派)나 우파(右派)가 자신들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으며 정확한 명칭도 정해지지 않았으나, 머지않은 장래에 역사가들에 의해 정당한 평가가 내려질 것이다.
다음은 4.3사건에 대하여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언급된 내용이다. ① ‘4?3특별법’ 제2조 -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함. ②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결론 부분 - 1947년 3월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536쪽).
♧ 제주 4.3 평화공원
4.3의 뼈아픈 역사를 통해 평화와 인권을 교육하게 될 ‘제주4.3평화기념관’이 지난 2008년 3월 28일 4.3 60주기를 앞두고 문을 열었다. 제주시 거친오름 기슭에 자리한 제주4.3평화공원에 들어선 기념관은 지하2층, 지상3층 연면적 1만1천455㎡ 규모로, 제주의 설문대할망 설화를 바탕으로 해서 4.3의 모든 아픔을 담은 그릇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200석 규모의 대강당과 세미나실, 유물 수장고, 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다.
전시실은 4.3사건의 전개 과정에 따라 ‘역사의 동굴’, ‘흔들리는 섬’, ‘바람 타는 섬’, ‘불타는 섬’, ‘흐르는 섬’, ‘새로운 시작’ 등 6개 상설관과 희생자 유해 11구가 발견된 다랑쉬굴의 현장을 재현한 동굴 등 2개의 특별관도 꾸며졌다. 그밖에 4.3 관련 문화예술작품을 전시하는 기획전시실과 어린이 체험실 등이 마련됐으며, 기념관의 외곽에는 독일 베를린시가 기증한 ‘베를린 장벽’ 2개가 설치됐다.
이곳 평화공원과 기념관의 건립 배경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2002년에 1948년 남로당 무장봉기로 군경이 무력진압한 제주도 4.3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4.3사건의 진실과 화해의 과거사 정리 차원의 4.3평화사업의 하나이다. 총예산 993억을 들여 2009년에 대규모 평화공원이 완성되었고, 계속적인 추가 사업을 벌이고 있다. 기념관은 평화공원 안의 주 건물로 연건평 1만 455㎡ 규모의 4층 건물로 380억 원이 들었다한다.
외부 시설로는 위령제단을 중심으로 시간의 길, 각명비, 조형물(변병생 모녀상), 위령탑, 조형물(귀천), 지역별추념관, 추념광장, 유해봉안관, 행방불명인 표석 등이 설치되어 있다.
♧ 제주 4.3 67주년기념 행사
한국 현대사의 최대 비극으로 알려진 4.3 희생자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67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식이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봉행된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두 번째 열리는 올해 위령제는 행정자치부가 주최하고 제주특별자치도 주관해 국가의례로 봉행된다. 이 행사에는 유족과 도민 등 1만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위령제에는 정부를 대표해 이완구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며, 정치권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지도부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오전 9시 종교의례를 시작으로, 제주도립예술단의 식전행사가 이어지며, 오전 10시 제주 전역에 묵념의 사이렌이 울림과 동시에 본 행사가 시작된다.
추념식은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경과보고, 유족회장 인사말, 제주도지사 인사말, 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인 추모시 ‘무명천 할머니’ 낭송, 국무총리 추념사 순으로 30분에 걸쳐 진행되며, 이 실황은 KBS를 통해 전국에 생방송되며, 나머지 지방 방송사에서도 생중계 할 예정이다.
♧ 민예총 주최 22회 행사들
이날 저녁 6시부터는 제주시청 앞마당에서 민예총 주최 ‘역사맞이 거리굿’이 행해진다. 이 행사는 다양하게 프롤로그(5시~6시), 역사 맞이(6시~40분), 생명평화(6시40분~7시30분), 열려 맞자(7시30분~8시) 등으로 나누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제22회 4.3문화예술축전은 ‘접화군생(接花群生), 뭇 생명 꽃으로 피다’라는 주제로 역사의 한을 미학적으로 승화시킨 ‘4·3미술제’는 4월 4일부터 26일까지 제주도립미술관 상설전시실에서 열리는데, 주제는 ‘얼음의 투명한 눈물’이다. 탐라미술인협회와 제주미술인협회, 한라미술인협회 소속 작가들과 전국의 참여 희망 작가 중 선정된 작가들이 참여 회화, 사진, 조각, 영상 및 설치작품, 각종 자료 등이 전시라고 있다.
제주4·3의 흔적을 그대로 보여줄 4·3 사진전, ‘잃어버린 마을, 남은 자들’은 4월 8일부터 12일까지 제주도문예회관 제2전시실에서 열리는데, 이번 사진전에는 김기삼, 정이근, 강정효, 김호천, 한종경, 김영하, 이병철, 김명선 등 8명의 사진작가가 참여한다.
비극의 현장을 찾아 벌이는 위령퍼포먼스인 ‘찾아가는 현장위령제는 정방폭포에서 ‘해원상생굿’을 4월 11일 10시부터 정방폭포와 소남머리(서복전시관 공연장)에서 펼쳐진다. 이 행사는 ‘학살의 터’를 찾아 인간의 영혼뿐만 아니라 상처 받은 장소를 함께 치유하는 생명살림굿으로 진행되어 왔다.
제주4·3의 역사와 문화를 청소년들에게 예술적 감수성으로 전달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청소년 4·3역사문화 탐방’은 4월 11일, 제주4·3의 역사적 현장을 찾아 떠나는 4·3문학기행도 4월 18일 제주작가회의에서 ‘의인을 찾아서-제주 동부지역을 가다’로 진행된다.
이외로 ‘사월굿 - 꽃사월 순임이’는 4월 24, 25일(2일간) 제주영상문화예술센터, 민요패 소리왓 ‘4·3 소리판굿-한아름 들꽃으로 살아’ 공연은 4월 25, 26일 제주문예회관 소극장, ‘4·3평화음악회’는 4월 7일 오후6시에 제주대 아라뮤즈홀, 제주작가회의와 제주문인협회에서 마련한 ‘4·3희생자 추념 시화전’은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제주4·3평화재단 시간의 벽에 걸린다.
|
출처: 김창집의 오름 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김창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