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직접 가꾸고, 수확하여 김장도 해 보고 한결어린이집에선 재래식 김장항아리에
담궈 저장고에서 숙성시켜가며 우리들의 식탁에 오르니 한결어린이들은 편식 하지 않습니다!
식물기르기 활동에 기초한 유아 원예 프로그램 메뉴얼
한여름 한결어린이집內 자연친화 학습장 1,100여평의 먹거리 농장 녹색지대입니다.
한결어린이집에서 수확한 싱싱한 신토불이 배추.무 등의 주재료를 위주로 한, 갖은 양념으로 버무리고 담궜습니다^^
정성이 듬뿍 담겨 맛갈스러운 한결어린이들의 김장김치가 식탁에 오릅니다^^
백김치 담그기
한결어린이들의 식탁에 자극적이지 않아 시원하게 먹을수 있는 백김치
한결어린이집內 먹거리 친환경으로 수확한 단단하고 속이 노란 배추를 골라 정성을 들여 절인 다음
잘 절여진 배추를 서너번 헹궈주어 물기를 빼주고 찹쌀풀을 끓여 농도는 똑똑 떨어질 정도로 담궈 줍니다.
2013.12.27(금) 간식/잣죽.오이스틱.카스테라.과일 점심/카레밥.청경채새송이버섯볶음.귤.백김치
12간지놀이(전체)
- 새해를 맞이하면서 12간지 놀이를 통해 12달이 생겨난 이야기와 우리들의 띠를 알아보는 즐거운 시간이 되었습니다.
여기 12마리 동물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었던 동물을 꾀를 내어 1등으로 들어간 쥐였답니다^^
또한 새해에 먹는 떡국에 들어가는 가래떡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떡중에서도 가장 예쁜 색이 많이 들어간 무지개떡과 콩가루가 담백한 인절미
그리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꿀떡 마지막으로 자신이 못생겼다고 생각한 가래떡까지..
떡에 관련 동화를 들으며 새해가 되면 떡국을 먹는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답니다.
새해에는 떡국을 먹고, 나이도 한 살 더 먹어서, 말의 해를 맞이할 거라는 것을 잘 배웠거든요^^
한결어린이집 조리사님과 선생님들께서 정성을 다하여 담는것은 5섯가지 재료로 색색 만든 오색 떡국떡입니다^^
가래떡의 유래
가래란? "둥글고 길게 늘이어 만든 것의 도막!!"이라는 뜻과 ‘가래,라는 농기구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답니다.
설날에 가래떡을 먹는 이유는 새해에도 긴 가래떡처럼 오래오래 장수하라는 풍습으로 가래떡으로 만든 떡국을 먹습니다.
비닐팩에 떡을 담으시는 조리사님과 선생님들의 손길이..
분주하십니다^^
가방에 담겨진 떡국떡은 각 반 원생들에게
맞이하는 갑오년 새해 한살을 더 먹는 의미가 담겨져 있어요^^
내년에도 언제나 건강하고 씩씩한 지혜로운 생태 어린이답게..
지혜 주머니가 하늘만큼 땅만큼 높고 넓게, 명철한 어린이로 자라나세요^^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흰색의 음식으로 새해를 시작함으로써 천지만물의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는 뜻이 담겨 있다.
또 떡국을 ‘첨세병’이라고 해서 한 살을 더 먹는 상징으로 여겼으며, 떡가래의 모양에도 각별한 의미가 있다.
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려 뽑는 이유는 ‘재산이 쭉쭉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고,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이유는 둥근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아서
새해에 재화가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원장님께서 오색 가래떡을 새해 맞이 선물로 준비해 주셨습니다.
새해 아침에 온식구가 둘러 앉아 떡국 맛있게 드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색 떡국이라 더 맛있을 것 같아요^^
애기나리 반(만 2세) 친구들도, 내년에는 더 멋지고 예쁜 한결 어린이들이 되겠습니다^^
흰쌀, 쑥, 단 호박, 당근, 흑미로 만든 오색 가래떡 떡국떡을 약소하지만 가정으로 보내 드렸습니다.
말의 해답게 힘차게 박차고 나가는 갑오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는 일마다 아름다운 열매 맺으시길 기원합니다.
하원하는 발걸음도 가볍게~~라라랄라♬
떡국 맛있게 드세요^^
한결어린이집 생태 블로그
(사)과천도시농업포럼시범모델 지정 한결어린이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