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작업 중 입니다.
<금산~일출>- Korea 100대명산 남해 錦山~보리암~쌍홍문 해맞이story- 02,
2025년 1월 1일 100명산~96회차, 기록 한문희총대장, |
이 시대 白頭大幹과 명산명소를 탐사하고 있는 자유인의 英雄들!..
>
>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된, 38경이 아름다운 금산은 금강산을 닮았다 하여 소금강 또는 남해금강이라 불린다.
>>
|
자유인 100대명산 제1기~96회차 금산(錦山) 종주기록실, ►일시: 2025년 1월 1일(수요), 기록: 총대장, 이형도 外27명, ►명산숲길: 두모주차장~부소사~H장~촉대봉~상사바위~日出~좌선대~일월봉~흔들바위~단군성전~금산정상~보리암~음성굴~장군봉~쌍홍문~사선대~도립공원매표소주차장, ►도상: 약 7.5km, 5:00소요, -00:05분, 양재역 1번출구 70m – 수협은행 앞 출발, -04:34분, 두모주차장(금산 상주면 양이리 4-21)도착, -05:35분, 떡국으로 아침, 주차장 입산시작 첫 산행, -06:47분, 부소암, -06:52분, 부소암 다리계단, -07:02분, H장, 이정목(두모주차장2.8+부소암0,3+상사바위0.4km), -07:25분, 촉대봉595m, -07:31분, 상사바위610m 첫 일출(2025년), -07:50분, 좌선대 595m, -07:53분, 금산산장 610m, -07:55분, 제석봉620m, -08:04분, 일월봉, -08:16분, 흔들바위 금산33경, -08:09분, 단군성전630m, -08:19분, 줄사철나무, -08:22분, 금산정상, 망대(제1경), -08:36분, 보리암~산신각(祭)600m, -09:28분, 음성굴, -09:32분, 장군봉, -09:33분, 쌍홍문580m, -09:35분, 사선대, -10:15분, 탐방지원쎈타,(이정목: 도선바위0.9+금산정상1.9km), 산장식당, 재두식당, 주차장 있습니다, 산행종료, -11:12시, 서포식당, 남해 특산물 멸치 요리로 특점심, 서포식당: 남해 상주면 양이리 1915-4, 055-863-0588, 새해 멋진 일출이 다가와 기운찬 2025년 되성 싶습니다, 모두 행운 가득한 乙巳年 되시고 건강, 무탈, 긍정의 한해입니다, 수고들 많았습니다, 자유인 한문희총대장 올림- |
|
>
>
비단으로 감싼 錦山과 깨달음의 보리암(菩提庵) 과 명소들,
>
>
>
|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대한민국의 비공식적인 국시로,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라” 또는 "(당시 부족사회의)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행복하게 하라"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최초의 나라로 여겨지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에서, 천신인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시조 단군을 낳고 나라를 열 때에 '널리 인간을 이롭게(弘益人間)'한다는(전근대적 관점이 단긴 해석) 등의 건국이념을 갖고 있었다고 고려시대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고조선의 건국이념》 참고 해석. 홍익인간(弘益人間): (당시 부족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행복하게 한다. 재세이화(在世理化): (그러한 홍익인간의) 진리가 세상에 있도록 만든다. 이도여치(以道與治): (그러한 정신을 계승하여 갈등과 병폐를) 사람의 길로써 낫게 한다. 광명이세(光明理世): 깨달음으로 세상을 밝게 만든다. |
|
>
경남 기념물 제360호 남해금산 줄 사철나무,
수령 150년 된 줄 사철나무는 열악한 환경에서 바위에 기대어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볼수 있다,
>
▶망대 : 금산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이며 이곳에 오르면 사방으로 시야가 탁 트인 금산과 남해 바다가 한눈에 들어와 그 광활한 경치가 황홀하다.
장엄한 남해의 일출을 보러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이곳에 오르면 일망지하(一望之下)에 금산 삼십팔 경과 금산을 에워싼 만경창파(萬頃蒼波)를
한 눈으로 굽어볼 수 있다. 이곳에는 고려 시대부터 사용했던 봉수대(熢燧臺)가 그대로 남아 있다. 사방 조망(四方眺望)이 비길 데 없이 넓고 아름답다.
광활한 우주에 무한대 지혜의 숲으로 무탈을 기원해 봅니다,
비단으로 감아 휘장을 두룬다 하였지만!.....
대신 비단 금(錦)을 내려주신 지혜로움이 경관과 더불이 휘영창 밝아옵니다,
>
>
♠보리암(菩提庵):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인 보리암(菩提庵)은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금산(보리암로 665번지)에 있다.
신라 신문왕(3년) 683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원효대사가 산의 이름을 보광산이라 하여 보광사라 하였고
조선 현종 때 보리암으로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성계가 아직 장군이던 시절 이 곳에서 기도를 하고
왕이 되었다는 전설이 유명하다. 그래서 절 아래에 이성계 기도처로 전해져오는 명승지가 따로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금산에 위치한 보제암(菩提庵)은 보제라 함은 여성의 성기를 뜻한바 보리암으로 읽는다.
1971년에 세워진 해수관세음보살상이 유명하여 양양 낙산사, 강화 석모도 보문사와 함께 3대 해수 관음기도 도량으로 꼽힌다.
거의 산꼭대기에 올라앉아 있는 절이라 과거에는 산길을 따라 거의 600고지에 가까운 산꼭대기까지 등산을 해야 했으나
지금은 산자락 반대편에서 도로(보리암로)를 닦아 놓아 산등성이에 있는 주차장까지 편하게 갈 수 있다.
보리암은 우리나라 전국 3대 기도처이자 관음도량이다. 낙산사 홍련암과 강화도 보문사와 함께
남해 금산 보리암은 살아있는 사람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사찰이다.
특히 보리암에 모셔 있는 해수관세음보살의 품 안에서 평온을 구하고자 오늘도 숱한 사람들이 숨겨둔
소망을 풀어놓는 곳이기도 하다. 예부터 보리암은 한 가지 소원만은 반드시 들어준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그래서일까. 보리암에는 사시사철 간절한 걸음, 걸음이 머문다. 여러분도 소원 한가지씩 빌어보세요, ㅎ ㅎ
>
>
오늘도 긍정의 하루입니다.
자유인 한문희 拜,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댓글 하나 남기는 센~스, 여러분 사랑합니다,
>
이어서 남해 금산 신년 해맞이STORY- 03가 이어집니다.
>>
첫댓글 음악 소스
<audio src="https://blog.kakaocdn.net/dn/Swksl/btst7xokWi5/2jhkWTVA07xxQ3xBAHjre0/tfile.mp3"autoplay loop>"당신의 첫사랑 (장은숙 원곡) 신디박 연주"</audio>
♬당신의 첫사랑 (장은숙 원곡) 신디박 연주"
낙산사 홍련암과 강화도 보문사와 함께 우리나라 전국 3대 기도처 이자 관음도량이다.
남해 금산 보리암은 살아있는 사람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