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항목은 구글 어스에서 만드는 kml/kmz 파일을 보관 관리하고 오버레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지도 항목은 gpx 파일과 zip 파일도 관리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gpx 파일은 로커스맵에서 트랙과 포인트를 관리하는 데이터에서 관리하는게 더 좋습니다
지도 항목은 왼쪽 상단 3선(메뉴) > 추가 기능 > 지도 항목으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지도 항목에서 gpx 파일을 불러오면 트랙에서 보는 그림과 다르게 이런 그림이 뜨는데요 보시면 트랙에서 불러왔을 때 보다는 간략한 운행 정보만 나옵니다
kml 또는 gpx 파일을 locus > mapItems에 직접 넣어도되고 아래 + 부분을 눌러 선택해서 가져와도 됩니다
그러면 위 사진처럼 지도 항목에 가져온 파일이 보입니다
지도 항목은 1개 트랙보다는 여러개의 트랙이나 포인트를 관리할 때 좋은데요
파일을 선택하면 이렇게 상단에 트랙이 포함된 그림이 뜹니다
근데 문제는 아무리 좋은 스마트폰이라도 여러개의 트랙이 포함되다 보니 2개 이상의 kml 파일을 열지 않는게 좋습니다
위에 사진에서 지도 그림을 터치하면 바로 메인 지도로 넘어가는데요 왼쪽 하단을 보면 이런 표시가 보입니다
이 항목이 보이게 하려면 설정 > 제어 > 패널 및 버튼 > 콘트롤 패널 설정 에서 '활성 항목' 을 체크해 주셔야 합니다
저 빨간 동그라미의 활성 항목을 눌러주면
산이름이 나오고 산이름을 터치하면 위 사진처럼 각각의 트랙과 포인트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 예제로 월출산 kml 파일을 첨부했으니 한 번 실행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