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李沆)
[문과] 연산군(燕山君) 4년(1498) 무오(戊午) 별시(別試) 을과(乙科) 2[探花]위(03/06)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74D56DFFFFB1474X0
자(字) 호숙(浩叔)
호(號) 낙서헌(洛西軒)
생년 갑오(甲午)(주2)【補】 1474년 (성종 5)
졸년 계사(癸巳)(주3)【補】 1533년 (중종 28)
향년 60세
합격연령 25세
본인본관 성산(星山)(주4)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전기 문신. 자는 호숙(浩叔)이고, 호는 낙서헌(洛西軒)이다.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고려 좌정언(左正言) 이여량(李汝良)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이효순(李孝純)이고, 조부는 이벽(李璧)이다. 부친 봉훈랑(奉訓郞)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이세인(李世仁)과 모친 강응겸(康應謙)의 딸 강씨(康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강집(姜諿)의 딸 강씨(姜氏)이다.
1496년(연산군 2) 증광시 진사 2등 17위로 합격하였고, 1498년(연산군 4) 별시 을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교리(校理)‧군적경차관(軍籍敬差官)‧대사헌(大司憲)‧동부승지(同副承旨)‧병조판서(兵曹判書)‧세자시강원이사(世子侍講院貳師)‧영천군수(榮川郡守)‧예조판서(禮曹判書)‧우찬성(右贊成)‧우참찬(右參贊)‧이조판서(吏曹判書)‧장령(掌令)‧좌찬성(左贊成)‧좌참찬(左參贊)‧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강직하였다.
대사헌으로 재직 중에는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귀양을 보내기도 하였으며, 시강원에서는 재상과 대간의 반목으로 무오사화가 일어나서 어진 선비가 죽게 되었다고 간언하기도 하였다.
우정(憂亭) 김극성(金克成)‧지정(止亭) 남곤(南袞)‧창계(滄溪) 문경동(文敬仝)‧눌재(訥齋) 박상(朴祥)‧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소요당(逍遙堂) 심정(沈貞)‧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적암(適庵) 조신(曺伸) 등과 교유하며 시주(詩酒)를 즐겼다.
[진사] 연산군(燕山君) 2년(1496) 병진(丙辰)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17위(22/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06명 [甲1‧乙2‧丙3]
전력 진사(進士)
관직 호당(湖堂)
관직 찬성(贊成)
문과시제 책문(策問):치화사속(治化思俗)
타과 1496년(연산군 2) 병진(丙辰)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17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세인(李世仁)[文]
[조부(祖父)]
성명 : 이벽(李璧)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효순(李孝純)
[외조부(外祖父)]
성명 : 강응겸(康應謙)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강집(姜諿)
본관 : 미상(未詳)진주(晉州)
[주 1] 거주지 : 『홍치9년병진윤3월초3일생원진사방(弘治九年丙辰閏三月初三日生員進士榜)』(『충재선조부군진사방목(冲齋先祖府君進士榜目)』, 권벌 종가 전적(權橃宗家典籍)[보물 제896-2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생년 : 『인물 생애 정보』를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3] 졸년 : 『인물 생애 정보』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4] 본관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 “경산(京山)”으로 기록되어 있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세인(李世仁)
[문과] 성종(成宗) 17년(14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6위(26/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138C778B1452X0
자(字) 원지(元之)
생년 임신(壬申) 1452년 (문종 2)
졸년 병자(丙子) 1516년 (중종 11)
향년 65세
합격연령 35세
본인본관 성산(星山)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전기에, 홍문관직제학, 병조참의, 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원지(元之).
이시(李時)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선략장군(宣略將軍) 이효순(李孝純)이다. 아버지는 진사 이벽(李璧)이며, 어머니는 임천군사(林川郡事) 권수(權需)의 딸이다.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정자(權知承文院正字)·박사가 되었다.
1492년 예빈시와 군자감의 주부, 사헌부감찰을 거쳐, 정언·예조좌랑이 되었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지평·교리·예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498년(연산군 4) 장악원첨정·장령 등으로 봉직하였는데, 특히 장령으로 있을 때 국상(國喪)과 명나라 사신의 내왕으로 백성들이 매우 피폐하게 되자, 개성부와 한산군의 성 쌓는 작업을 중지하자고 청하여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1500년 사간으로, 명나라 요청으로 해도도민(海島逃民)의 수괄(搜括)을 담당할 관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무고를 받아 나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이 되었다.1504년 갑자사화로 경상도 김산(金山)에 유배되었다. 중종이 즉위하자 직강·시강관을 거쳐, 1507년(중종 2) 홍문관직제학·부제학, 형조·병조의 참의를 역임하였다.
부제학 재임중 명분부정(名分不正), 작상무상(爵賞無常), 시국이사(示國以私), 영불신어민(令不信於民), 숭악장간(崇惡長奸)을 논하여 치도(治道)의 올바른 시행을 역설하였다.
1508년 대사간 등을 거쳐, 좌승지·춘추관·수찬관 등을 역임하였다.
1512년에 황해도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다시 첨지중추부사를 제수받고, 이어 이조참의로 재직하던 중 관찰사로 나갔을 적에 얻은 병으로 죽었다.
[생원] 성종(成宗) 17년(14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등(○等) ○○위(68/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종사랑(從仕郞)
관직 부제학(副提學)
관직 황해감사(黃海監司)
문과시제 책문(策問)
타과 1486년(성종 17)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등(○等) ○○위
기타 이요찬갈(二樂撰碣) 논자광지간 갑자장배(論子光之奸甲子杖配)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벽(李璧)
[조부(祖父)]
성명 : 이효순(李孝純)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시(李時)
[외조부(外祖父)]
성명 : 권수(權需)[文]
본관 : 안동(安東)【補】
[처부(妻父)]
성명 : 강응겸(康應謙)
본관 : 신천(信川)【補】
[처부(妻父)2]
성명 : 안중선(安仲善)(주1)
본관 : 광주(廣州)【補】
[가족과거]
자(子) : 이항(李沆)[文]
[주 1] 처부 : 『이요정집(二樂亭集)』 卷之15, 碑碣, [이조참의 이공묘갈명(吏曹參議李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처부1‧2 본관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첫댓글 강씨족보(통계공파보)에는 '광주(廣州) 이씨'로 잘 못 기재 되어있다....수정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