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행정고시 기술직
 
 
 
 
 
카페 게시글
공업직렬(일반기계직류) 결정립크기의 영향
시작인나무 추천 0 조회 1,262 20.12.27 20:20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20.12.28 14:39

    제가 알고있는바론 크기가 작아지면 그만큼 결정립계가 증가하고 이것이 전위이동을 방해해서 강도가 커지고 취성을 갖는다입니다. 한곳에 집중??이란 표현은 혹시 어디서 보셨나요?

  • 작성자 20.12.28 14:39

    그리고 무엇보다 제가 말씀드린 칼팍 3장에 너무 명확하게 크기가 증가하면 연성이 증가한다고 되어있어서요. 물론 공정변수 여러 요인에 따라 연성의 정도는 달라질수 있지만 순전히 결정립의 크기로만 말한다면 저렇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2.29 08:20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2.29 09:43

  • 21.01.25 00:29

    @시작인나무 교재를 꼼꼼하게 보셨네요. 저도 잘 모르지만 지나가다 의견을 더해봅니다. 다른 조건이 같고 결정립 크기가 작은 경우 hall-petch 식(재결정온도 이하, 특정 스케일-대략 수십~수백nm 이상사이즈-이상에서 성립)에 따라 항복강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말씀하신대로 결정립이 작을수록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결정립계면의 총면적이 더 많기 때문이겠죠. 그런데 항복강도는 항복이 일어나는 순간(=탄성거동이 끝나는 시점)의 응력의 크기를 말하는것이고, '연성'은 파단이 일어나기까지의 변형률(주로 항복점 이후의 소성변형률)이 큰 거동을 의미하는데, 전위의 이동이 결정립계에서 방해를 받으면 일정 변형률에 대응하는 '응력'이 커질 수는 있지만 파단이 있기까지의 총 변형률까지 줄어든다(=보다 취성을 띈다)고 단정짓기는 힘들지 않을까?싶습니다. 그런관점에서보면 109p의 연성(원서 ductile)은 취성에 대응하는 본래의미(파단시의 변형률이 상대적으로 큰 거동)가 아니라 무르게된다(같은 응력에서 소성변형을 많이 일으킨다)는 의미로 쓴게아닐까? 하고 감히 생각해봅니다만... 정확하게는 공부를 많이 하신분이 공개적으로 답을 해주셨으면...

  • 20.12.29 18:12

    저도 궁금합니다. 비댓공유 가능할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