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동(立冬)의 정의(定義), 내용(內容), 풍속(風俗), 속담(俗談), 음식(飮食)
1.정의(定義)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25도일 때이며,
양력으로는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 음력으로는 10월에 든다.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 후 약 15일,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 전 약 15일에 든다.
2.내용(內容)
중국에서는 입동 후 5일씩을 묶어 3후(三候)로 삼았다.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가 그것으로 초후에는 비로소 물이 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처음으로 땅이 얼어붙으며, 말후가 되면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입동을 특별히 명절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겨울로 들어서는 날로 여겼기 때문에 사람들은 겨울채비를 하기 시작한다.
입동 즈음에는 동면하는 동물들이 땅 속에 굴을 파고 숨으며 산야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풀들은 말라간다.
『회남자(淮南子)』권3 「천문훈(天文訓)」에 의하면 “추분(秋分)이 지나고 46일후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다 죽는다.”라고 하였다.
낙엽이 지는 데에는 나무들이 겨울을 지내는 동안 영양분의 소모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자연의 이치가 숨었다.
3.풍속(風俗)
1)김장 입동 무렵이면 밭에서 무와 배추를 뽑아 김장을 하기 시작한다. 입동을 전후하여 5일 내외에 담근 김장이 맛이 좋다고 한다.
그러나 온난화 현상 때문인지 요즈음은 김장철이 조금 늦어지고 있다. 농가에서는 냉해(冷害)를 줄이기 위해 수확한 무를 땅에 구덕(구덩이)을 파고 저장하기도 한다. 2)고사(告祀) 입동을 즈음하여 예전에는 농가에서 고사를 많이 지냈다. 대개 음력으로 10월 10일에서 30일 사이에 날을 받아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하고,
제물을 약간 장만하여 곡물을 저장하는 곳간과 마루 그리고 소를 기르는 외양간에 고사를 지냈다.
고사를 지내고 나면 농사철에 애를 쓴 소에게 고사 음식을 가져다주며 이웃들 간에 나누어 먹었다.
3)치계미(雉鷄米) 입동에는 치계미(雉鷄米)라고 하는 미풍양속도 있었다. 여러 지역의 향약(鄕約)에 전하는바에 따르면, 계절별로 마을에서 자발적인 양로(養老) 잔치를 벌였는데, 특히 입동(立冬), 동지(冬至), 제석(除夕)날에 일정 연령 이상의 노인들을 모시고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는 것을 치계미라 하였다.
본래 치계미란 사또의 밥상에 올릴 반찬값으로 받는 뇌물을 뜻하였는데, 마치 마을의 노인들을 사또처럼 대접하려는 데서 기인한 풍속인 듯하다.
마을에서 아무리 살림이 없는 사람이라도 일 년에 한차례 이상은 치계미를 위해 출연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마저도 형편이 안 되는 사람들은 도랑탕 잔치로 대신했다. 입동무렵 미꾸라지들이 겨울잠을 자기 위해 도랑에 숨는데
이때 도랑을 파면 누렇게 살이 찐 미꾸라지를 잡을 수 있다. 이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여 노인들을 대접하는 것을 도랑탕 잔치라고 했다.
4)우유 마시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따르면 10월부터 정월까지의 풍속으로 내의원(內醫院)에서는 임금에게 우유를 만들어 바치고,
기로소(耆老所)에서도 나이 많은 신하들에게 우유를 마시게 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겨울철 궁중의 양로(養老) 풍속이 민간에서도 행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5)입동보기 입동을 즈음하여 점치는 풍속이 여러 지역에 전해오는 데, 이를 ‘입동보기’라고 한다. 충청도 지역에서는 속담으로 “입동 전 가위보리”라는 말이 전해온다.
입춘 때 보리를 뽑아 뿌리가 세 개이면 보리 풍년이 든다고 점치는데, 입동 때는 뿌리대신 잎을 보고 점친다. 입동 전에 보리의 잎이 가위처럼 두 개가 나야 그해 보리 풍년이 든다는 속신이 믿어지고 있다.
또 경남의 여러 지역에서는 입동에 갈가마귀가 날아온다고 하는데, 특히 경남 밀양지역에서는 갈가마귀의 흰 뱃바닥이 보이면 이듬해 목화 농사가 잘 될 것이라고 점친다.
이러한 농사 점과 더불어 입동에는 날씨 점을 치기도 한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입동 날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해 겨울바람이 심하게 분다고 하고, 전남 지역에서는 입동 때의 날씨를 보아 그해 겨울 추위를 가늠하기도 한다. 대개 전국적으로 입동에 날씨가 추우면 그해 겨울이 크게 추울 것이라고 믿는다.
김장용으로 재배한 무를 수확하면서 그 뿌리의 길이를 보고 날씨를 점치는데, 이를 무 뽑아보기, 무 뿌리로 날씨 점치기, 무 뿌리로 점치기라고 한다.
무 뿌리가 길게 뻗어 있으면 그해 겨울은 춥고, 뿌리가 짧으면 따뜻하다고 믿는다. 무도 추위를 견디기 위해 뿌리를 길게 내릴 것이라는
가정에서 비롯된 추론이다. 주로 경남 지역에서 전승되는데 충청도에서도 사례가 조사된 바 있다.
4.속담(俗談)
1)입동(立冬)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 입동(立冬)이 지나면 김장철이 된다는 의미의 속담. 겨울을 나는데 필요한 월동음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김장이며 대개 김장은 입동을 기준해서 한다.
입동 전 혹은 입동 직후에 해야 제 맛이 나기 때문이다. 입동이 지난 지가 오래면 배추가 얼고
싱싱한 재료를 구하기가 힘들어 일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입동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김장할 때가 됐음을 알려주는 속담이다.
2)입동 전 보리씨에 흙먼지만 날려주소! 보리 파종 한계시기를 강조한 속담. 남부지방의 보리파종은 10월 중순이 알맞으나, 늦어도 입동(立冬) 전까지는 끝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보리는 씨를 언제 뿌리느냐에 따라 춘파성(春播性)과 추파성(秋播性)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의 겨울보리는 대부분 추파성이다.
가을에 씨를 뿌리는 보리는 추위를 잘 견디는 내한성(耐寒性)으로, 겨우내 땅 속에서 충분한 성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입동은 양력 11월 상순 무렵으로 이때부터 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입동후에 보리를 파종하면 발아와 생육이 부진해져 겨울 추위에 해를 입기가 쉽다. 따라서 보리 파종은 아무리 늦어도 입동 전에 마쳐 싹을 내야만 안전한 월동이가능한데,
이 입동 전은 각종 월동 준비로 농촌의 일손이 아주 바쁠 때이다. 그러나 아무리 바빠도 입동 전에 보리 파종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 사실을 일깨우기위해 일손이 모자란다면 흙먼지만 날리는 수준일지라도 반드시 파종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출처: 한국민속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집필자 나경수>
5.입동(立冬)에 먹으면 좋은 음식(飮食)
1)김장김치와 수육 초겨울 김장철을 맞아 1년에 한 번 맛볼 수 있는 김장김치와 수육은 절대 빼놓을수 없는 입동 음식 중 하나입니다.
배추, 무, 파, 마늘, 생강 등 다양한 채소로 이뤄진 김치에는 비타민과 칼슘 등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습니다.
김치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 수육과 함께 먹으면 맛과 영양의 균형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답니다.
2)추어탕(鰍魚湯) 추어탕 역시 유명한 입동 음식입니다. 입동에는 마을 노인들에게 대접하는 '치계미'라는 풍습이 있었는데요, 일종의 경로잔치와 비슷합니다.
형편이 넉넉지 못한 사람들은 '도랑탕 잔치'를 벌여 노인들에게 귀한 음식 대신 추어탕을 대접했습니다. 추어탕은 단백질, 칼슘, 무기질이 풍부해 기력을 보충하는데 그만이죠. 미꾸라지를 통째로 삶아 끓이기 때문에 영양 손실이 적다는 것도 장점!
3)홍합(紅蛤) 11월의 수산물로 유명한 '홍합'은 입동 전후로 많이 생산되는데요. 담백한 맛이 좋아 '담치라고도 불리며
날것으로 먹지 않고 찌거나 꼬치에 말려서 보관합니다. 말린 홍합은 국물을 내거나 조림 등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홍합은 셀레늄과 비타민A가 많아 체내 산화 과정을 억제하고 노화 방지와 항암효과에 좋은데요. 간의 기능을 돕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해주기도 한답니다.
4)해물신선로(海物神仙爐) 각종 해물과 고기, 만두, 국수, 파, 마늘 등 십여 가지 재료를 가지런히 놓고 육수를 부어 끓여 먹는 음식, 신선로!
이름만 들어도 호화스러운 신선로는 궁중에서 즐겨먹었던 음식신선로는 입동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도 유명해요. 속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맛이 입동 음식으로 제격! 마음까지 따뜻하게 데워주는데요, 흰 살 생선, 새우 등 각종 해물을 듬뿍 넣고 끓여 먹으면 신선하고 담백한 맛이 더해져 더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어요.
5)팥 시루떡 입동 풍습 중 하나로 농가에서는 입동 무렵 고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맘때 우리 어르신들은 햇곡식으로 따끈따끈한 팥 시루떡을 많이 만들어 먹었어요.
삶은 팥을 켜켜이 얹어 시루에 찐 팥 시루떡은 달콤한 맛이 일품!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하는 맛을 자랑하는데요, 특히 팥에는 비타민B1 등이 많아 신장병, 심장병 등에 좋을 뿐만 아니라 이뇨작용을 원활하게 해 변비해소에도 효과적! 영양만점 간식으로 즐겨 먹으면 좋아요.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입동! 계절이 바뀌는 길목에서 영양가 풍부한 추어탕부터 시루떡까지 든든하게 챙겨 드시고 겨울철 건강 챙겨보세요! - 좋은 글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