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황과 사낭의 뜻을 정확하게 아는 사람이 드물다.
성황과 서낭을 엄밀히 따져 보면 성황당은 동네 뒤산에서 마을을 굽어 내려다보고 있는 위치에 있고
한칸짜리 堂집으로 지어져 神位(신위, 신의 위패)나 고갈 쓴 단지가 모셔져 있다.
그러나 서낭당은 동네 어귀에 돌무더기로 쌓여 있고 오색천이나 짚으로 꼬아 만든 새끼줄을 감고 있다.
성황의 위치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키는 君主(군주)의 위치이고
서낭의 위치는 마을어귀에서 敵(적)이나 死氣, 혹은 盜賊(도적)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병사의 입장에 있다.
이러한 성황과 서낭의 의미를 ‘우리 문화의 수수께기’ 저자 주강현은 그의 저서에다 성황과 사낭의 뜻이 같다고 했다.
또 “성황의 호적초본을 떼어보면 本籍(본적)은 틀림없는 중국땅이라고 하며 이렇게 기술해두었다.
성황의 원뜻은 성둘레에 파놓은 연못인 垓字(해자)에 비롯된다.
성지의 신을 성읍의 수호신으로 믿게 된 것이 성황이다.
원래의 성황은 국가나 방어시설에 대한 단순한 명칭이었을뿐이다.
중국의 성황 신앙은 일찍이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어 당과 송을 거쳐
당나라에 와서는 국가적으로 널리 권장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문종조에 선황신앙이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로부터 ‘성황사’
國朝五禮儀(국조오례의)의 中祀(중사)로서 간주되어 국가의례로 모셔졌다.
/ 우리문화의 수수께기 에서 인용함
성황의 本籍은 한국이 그 뿌리이다.
한단고기에는 산 위에 檀木(박달나무)를 지정하여 고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국가적 행사로 치르졌던 개천의 행사가 민간으로 내려와 백성들 사이에서
지내면서 성황과 서낭으로 분류하여 매년 정월 초에 성황당에서 제를 지내고
서낭의 신목에다 제를 지낸다.
성황당이 없는 마을에는 성황의 神木(신목)이 있다.
성황이 중국에서 유래되어 고려 문종조에 이러렀다면 개천절 날 제천하던 의식이
殷(은)나라로 건너가서 매년 정월 초 祭天하던 풍습이 우리나라에 逆으로 전래되었을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정월 설날은 은나라에서 매년 정월 초에 제천하던 풍습이 아닐까 싶다.
桓國에서는 매년 10월 상달에 제천을 올렸으나 은나라에서 그 풍속을 따르면서 매년 10월 상달에
할 수 없음이니 아마도 정월 달에 제천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제천하는 의식은 국가에서 치르지는 제례의식이지만 민간으로 전승되어진 祭天하는 제례의식은
매년 10월에 始祖(시조)에게 제를 지내는 것으로 시작하여 정월 초하루에 조상님들에게 차례를
지내는 것으로 이어진다.
민간으로 전승되어 마을을 단위로 지내지는 성황제는 당산제라는 이름으로도 지내지며 매년 정월
보름전에 마을사람들이 다 모여서 행사를 치르게 된다. 반드시 마을 안쪽에 있는 성황당에 먼저
제를 지내고 난 뒤 마 을어귀에 있는 서낭당에 제를 지낸다.
성황당과 서낭당의 의미는 보호하고 지키는 뜻을 지니고 있지만 그 위치는 군주와 병사로 엄격하게
다름을 제를 지내는 순서로 봐서 드러난다.
***
첫댓글 지장보살..
감사합니다 편한밤 되세요 ,,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편한밤 되세요 ,,
관세음보살_()_
감사합니다 편한밤 되세요 ,,
좋은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_()_
메뚜기도 한철이라 합니다
자주들르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