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숲 속에 소나무로 완성한 통나무집
사람은 자연과 함께 살아야 한다고 정씨(60)는 항상 생각했다.
흙과 나무로 집을 짓고, 잔디 깔고 텃밭 일구며 살아야 살 만한 삶이라고 여겼다.
마침 얻은 집터가 소나무 숲 깊은 곳이었다.
사방이 소나무이니 집도 소나무로 짓자고 생각했다.
그렇게 소나무 숲 속에 소나무 통나무집이 완성되었다.
강원도 속초와 고성이 경계를 이룬, 고성군 토성면.
죽 뻗은 도로를 벗어나 시골길로 접어들어 달리길 5분여, 다시 길에서 벗어나
소나무 숲 속을 향해 난 좁은 길로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심심산중에 있는 집이려니, 짐작하며 먼지 폴폴 날리는 비포장도로를 달려 빽빽이 들어찬
소나무를 뚫고 지나가자 한순간 눈앞이 확 트인 터가 나왔다.
그리고 누런빛의 나무 속살을 그대로 드러낸 통나무집이 한눈에 들어왔다.
정씨의 소나무 통나무집이다.
소나무 숲 속에 터를 닦다
정씨가 집짓기를 고민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초다.
결혼을 앞둔 아들이 결혼 후에도 부모님과 함께 살고 싶다고 하는 바람에 큰 집이 필요해졌다.
아이들 시집ㆍ장가보내고 나면 두 내외가 오붓하게 살 요량으로 조그맣고
아담한 흙벽돌집을 지어서 살고 있었는데 계획이 틀어진 것.
기왕 새집을 짓는 거 좋은 터에 제대로, 마음에 흡족하게 짓고 싶었다.
멀리 이사갈 생각은 없었느니 원래 살던 속초를 중심으로 주변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좋은 터가 나왔다고 해서 와봤는데 첫눈에 이곳이 마음에 들더라고요.
뒤로는 소나무 숲이 울창하죠. 앞은 절벽이라 시야가 가릴 것 하나 없이 확 트여 있죠.
그리고 멀리 대청봉과 울산바위가 한눈에 들어오죠.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곳이었어요.”
두 번 생각할 것 없이 그곳으로 터를 정했다. 터를 정했으니 집을 지어야 할 차례였다.
처음에는 예전 집처럼 흙집을 지을 생각이었다.
하지만 집터를 얻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다.
소나무 숲 속에 들어앉을 집이니 나무로 지어야 어울릴 것 같았다.
건축은 업체에 맡기지 않고 목수를 구해서 직접 짓기로 했다.
전문 업체에 일임하면 편하긴 하겠지만 내가 원하는 집,
나만을 위한 집은 얻기 힘들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정씨의 목수 찾기가 시작됐다.
“집은 한두 번 쓰고 버리는 물건이 아니잖아요.
평생을 살아야 하는데 제대로, 잘 지어야죠.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이 믿을 만한 전문가를 구하는 일이에요.
특히 직접 집을 지을 생각이면 더더욱 그렇죠.
저도 좋은 목수를 찾기 위해 건축 관련 전시회는 다 다녀보고 인터넷에서 집짓기에 관한
카페나 블로그도 많이 찾아다녔어요.
그러다 알게 된 사람이 이 집을 지어준 양 목수예요.
인터넷을 통해, 전화로 많은 이야기를 나눠 보니 믿음이 가더라고요.
워낙 평판도 좋은 사람이었고요.
그래서 함께 일하기로 했죠.”
그렇게 정씨의 통나무집 짓기가 시작됐다.
통나무 100개로 완성한 집
집짓기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일은 나무 선택이었다. 우리나라는 계절 변화가 심해 여름에는 습도가 높아 나무가 팽창하고 겨울에는 건조해서 나무가 수축하는 일이 매년 반복되다 보니 그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나무를 선택해야 했다. 특히 가공하지 않은 통나무를 차례로 쌓아 만드는 통나무집은 일반 목조주택에 비해 나무가 변형될 가능성이 훨씬 커서 몇 배 더 신중해야 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벽체를 이룬 통나무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뒤틀어지면 안 된다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뒤틀림이 가장 적다는 북미 서부산 소나무를 사용하기로 했죠.”
벽체의 견고성을 높이는 데도 공을 들였다. 통나무 위에 통나무를 얹을 때 결합 부위가 단단하게 밀착하도록 양쪽으로 홈을 파서 연결했다. 마치 한옥 장부맞춤의 암수 홈처럼 만든 것이다.
“대부분의 통나무집은 통나무를 연결할 때 한쪽에만 홈을 판다고 하더라고요. 통나무를 하나 놓고 그 위에 통나무를 얹을 때 아래쪽 통나무의 곡선에 맞게 위쪽 통나무에 오목한 홈을 파서 끼우는 거죠. 그런데 우리 집은 아래쪽 통나무에도 홈을 파서 홈과 홈이 끼도록 했어요. 통나무 결합 부위가 훨씬 견고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었죠.”
살다 보면 통나무 사이에 틈이 벌어져서 외풍이 심해진다는 통나무집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무 사이사이에 탄력 좋은 특수 실리콘을 넣었다. 실리콘은 습도와 온도에 따라 나무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때 나무와 같은 수준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기 때문에 나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원주택의 가장 큰 숙제라는 난방은 지열을 이용했다. 땅속 150m까지 구멍을 파고 관을 넣어 물을 내려보내면 지열에 의해 물이 데워지는데, 그 물을 이용해 난방을 하는 것이다. 시설비는 비싸지만 연료비를 줄일 수 있어 선택했다.
그렇게 집 전체를 완성하는 데 들어간 통나무가 100여 개. 집짓기를 시작한 지 3개월 하고도 27일 만에 드디어 집이 완성됐다. 정씨가 그렇게 원하던 대로 소나무 숲 속 소나무 집이었다.
가족과, 자연과 함께라서 더 좋은 삶
요즘 정씨는 집 안팎을 정리하고 단장하는 재미에 푹 빠져 있다. 집 앞마당에는 잔디를 깔고, 절벽 쪽에는 조그마한 텃밭을 만들었다. 집을 이룬 통나무는 정씨의 손길을 받아 반질반질 윤이 난다.
“새집에 들어와서 이제 겨우 두 계절을 보냈을 뿐이라 통나무집의 장단점을 다 안다고는 못하겠어요. 특히 올겨울을 지내봐야 알겠죠. 하지만 지금까지는 아주 만족해요. 통나무 곡선이 만들어내는 멋진 모습도 좋고, 아늑하고 조용한 집터도 마음에 들어요.”
이 집에 사는 것이 이처럼 즐거운 것은 통나무집이 주는 만족감도 있지만, 집이 주는 즐거움을 소중한 가족과 함께 누릴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절벽 쪽을 향해 넓게 낸 거실에 앉아 손자의 재롱을보는 일은 시간을 잊게 하는 신선놀음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가 항상 바라왔던 것처럼 자연과 함께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단다.
“새벽에 일어나 마당에 나가보면 멀리 우뚝 선 울산바위가 보여요. 해가 막 떠오를 즈음이면 붉은 기운이 울산바위 쪽으로 죽 뻗어나가는 것이 마치 스포트라이트를 쏘는 것 같아 정말 환상적이죠. 좋은 터에, 좋은 집에, 사랑하는 가족이 함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삶이 어디 있겠어요.”
[사진 설명]
1 정씨 집 현관. 현관 옆으로 불규칙하게 튀어나온 통나무가 운치 있다.
2 현관에서 들여다본 거실. 현관과 거실 입구를 살짝 비틀어지게 배치해 공간이분리된 느낌을 만들어냈다.
3 이층에서 본 집. 일층은 통나무를 그대로쌓아 올려 만드는 풀노치 방식으로 지었지만, 이층은 통나무로 골조를 세우고 구조목으로 마무리하는 포스트앤빔 방식으로 완성했다.
4 이층 구석에 있는 창고 겸 다락방. 문이나 벽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 양쪽으로 트여 있다.
5 일층 계단 아래서 올려다본 통나무집. 삼각형 지붕이 인상적이다.
6 일직선으로 연결된 이층방들. 문을 열어두면 모든 공간이 하나가 된다.
7 부드러운 곡선으로 잘라낸 거실 출입구.
8 거실 밖에 걸린 시계. 갈색톤이 통나무 색깔과 잘 어우러진다.
9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통나무로 만들어서 곡선이 살아있다.
조인스 랜드· 월간 전원속의 내집
첫댓글
건축 정보 잘 보고 갑니다.
즐건 주말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