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문고 동문 산악회를 이번 호 고교 동문 산악회 탐방대상으로 택했다. 휘문고는 1904년 민영휘 선생이 광성의숙이란 이름으로 창립한 교육기관을 모태로, 1906년 고종황제의 칙명에 따라 교명을 휘문의숙으로 바꿔 지금에 이르고 있다. 학교 역사가 100년을 훌쩍 넘긴 전통 명문 사학이다. 졸업생들도 어느 고교 못지않게 많이 배출했다. 3만여 명에 달하는 졸업생들이 사회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학교 명예를 드높이고 있다. 이들도 여느 조직과 마찬가지로 등산동호회를 만들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산악회를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었으며,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 ▲ 백두산 첫 해외원정에 만주벌판을 배경으로.
휘문고는 역사는 오래됐지만 동창회 활동은 미약했다. 1950년 동창회가 조직된 이래 초대 백두진, 2대 최영희 동창회장이 취임하여 90년까지 역임했으나 조직의 기초를 다지고 구성원들을 집결시키는 데 의의를 두어야 했다. 90년 3대 채희병 회장이 취임하면서 조직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채 회장은 93년 집행부가 모인 자리에서 “교우회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자”고 제의했다. 휘문고는 다른 학교와 달리 동문회를 교우회라 부른다. 이에 임원진들은 동문들을 단합시킬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러 동호회를 만들어 체육대회를 개최하자고 했다. 93년 즉시 체육대회가 열렸고, 각종 동호회도 만들어졌다. 산악모임도 예외가 아니었다.
마침내 8월22일 북한산으로 첫 산행을 했다. 이름도 없었고, 집행부도 구성이 채 안된 설익은 모임이었지만 휘문 교우회의 활동 중심이 되는 구심점 역할을 하기로 다짐했다. 그해 11월21일 네 번째 산행에서 휘문교우산악회를 ‘휘산회’라 부르기로 하고, 매월 셋째 주 일요일에 정기산행 하기로 해 진용과 모양새를 제대로 갖췄다.
이어 바로 며칠 뒤인 11월27일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교우회 산악모임에서 총무 이강우(53회), 부총무에 민병우(69회) 교우를 선임했다. 이강우 총무는 이듬해 북한산 시산제에서 채희병 교우회장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휘산회 초대회장에 만장일치로 추대됐고, 초대 산행대장엔 황경연(56회) 교우가 임명됐다. 정기산행도 매월 셋째 주에서 첫째 주로 옮겨 실시키로 했다. 이젠 집행부도 완전한 진용을 갖춰 본격 출발했다.
불과 10년만에 참석인원 10배 늘어94년 6월엔 휘문고가 개교 이래 처음으로 청룡기 야구대회 우승을 기념하는 설악산 종주를 감행했다. 이후 해외 산행, 무박 산행 등 각종 산행이 계속 이어져 왔지만 첫 기념 산행에 조난 수준으로 고생한 추억을 모두 잊지 못했다. 아침 6시40분에 떠난 등산팀이 공룡릉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밤 8시가 넘어서야 갔던 길로 다시 되돌아오는 고생담은 두고두고 교우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 ▲ 쓰레기를 많이 수거한 교우에게 집행부가 시상하고 있다. / 2006년 지리산 삼도봉에서.
이강우 회장과 황경연 산행대장이 기반을 닦은 휘산회는 이종성(56회) 회장과 안영원(65회) 산행대장이 맡고나서부터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다. 해외산행을 기획하고, 다양한 코스를 개발하고, 각종 이벤트를 만드는 등 교우들의 관심을 끌만한 모임으로 변모시켰다.
90년대엔 40여 명에서 100명을 넘지 못하던 산행 참석인원이 이들이 맡고나서부터 평균 100여 명으로 늘었다. 산행 시 버스도 한두 대에서 지금은 기본 석 대는 이미 예약돼 있는 상태고, 인원을 보고 한두 대 늘리는 정도로 발전했다. 94년 40명이 참석했던 북한산 시산제에 비해 2003년부터는 그 10배 가량 되는 400명 내외로 비약했다.
이어 각 기수별로 산행모임도 잇따라 생겼다. 볼재산악회(61회), 휘마루(62회), 휘선회(63회), 볼재산우회(64회), 휘봉회(65회), 육산회(66회), 휘공회(67회), 휘슬회(68회), 휘파람산악회(69회), 휘솔회(70회), 한티산악회(71회), 망통산악회(73회), 휘오름산악회(74회), 막강산악회(82회) 등 각 기수별 모임도 휘산회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매월 첫째 주는 휘산회 산행이고, 셋째 주는 기수별 산행모임을 가진다.
참석인원이 많아지자 집행부 할 일도 갈수록 많아졌다. 휘산회의 정해진 행사준비만 해도 바빴다. 매년 음력 정월에 시산제, 7월엔 가족에 봉사하고, 8월엔 해외 산행, 연말엔 선배 원로를 모시는 일정이 기본으로 짜여져 있다.
- ▲ 1 2006년 원로 선배 초청 및 휘산회 송년회. / 2 2004년 시산제 직전, 94년과 비교해서 참석인원이 크게 늘었다. / 3 94년 첫 시산제에서 교우회장과 휘산회장 등 임원진과 교우 40여 명이 참석했다. / 4 2006년 북한산에서 휘문 산사랑 운동을 펼칠 때의 교우들.
99년부터 매년 12월 셋째 주 화요일 휘산회 송년회 때 원로 선배 초청회도 겸해서 행사를 치른다. 조촐한 행사지만 원로 선배 모두가 기다리는 연례행사로 자리 잡았다. 송년회 때 참석한 수백 명에게 휘산회 로고가 새겨진 등산모자와 배낭 등 각종 장비를 제공한다.
2003년부터는 3대 이종성 회장의 제의로 매년 한 번씩 해외산행에 나서기로 했다. 그 첫 대상으로 우리 민족의 성지인 백두산에 다녀왔다. 교우 60여 명이 참석했다. 93년 첫 산행 때 40명이 참석했던 모임이 불과 10년만에 국내 산행이 아닌 해외 산행에 그보다 많은 인원이 참석할 정도로 비대해졌다. 또 휘산회 가족의 안전한 등산을 위해 4년 전부터 산행 참석자들은 자동으로 여행자보험에 가입되는 조치를 취했다. 교우들의 모든 인적 사항은 이미 집행부가 파악하고 있는 상태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또 매년 휘산 캘린더를 만들고 있다. 전년 10월까지 다음해 산행 계획지가 잡히면 사진과 함께 휘산회 모든 일정을 새겨 회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매년 2,000부 정도 만들어 산행지 음식점에도 기념으로 주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