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sūpaṭṭhitāya 등.
그 외 Ānāpānassatiyā ajjhattaṃ parimukhaṃ sūpaṭṭhititāya
.
.
우다나 3-1.
Tena kho pana samayena aññataro bhikkhu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urāṇakammavipākajaṃ dukkhaṃ tibbaṃ kharaṃ kaṭukaṃ vedanaṃ adhivāsento
sato sampajāno avihaññamāno.
2. 그 때 한 수행승이 세존께서 계신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예전의 업이 성숙하여 생겨난 괴롭고 찌르고 아리고 쓰라린 고통을 참으면서
새김을 확립하고 알아차리며 고뇌를 여의고 앉아 있었다.
.
우다나 3-5.
25.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의 제따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mahāmoggallān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sūpaṭṭhitāya.
2. 마침 존자 마하 목갈라나가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앞으로 새김을 확립하고 앉아 있었다.
Addasā kho bhagavā āyasmantaṃ mahāmoggallānaṃ avidūre nisinnaṃ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sūpaṭṭhitāya.
세존께서는 존자 마하 목갈라나가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신체에 대한 새김을 안으로 잘 확립하고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
Atha kho bhagavā etamatthaṃ viditvā tāyaṃ velāyaṃ imaṃ udānaṃ udānesi –
3. 그리고 세존께서는 그 뜻을 헤아려, 때맞춰 이와 같은 감흥어린 시구를 읊었다.
.
‘‘Sati kāyagatā upaṭṭhitā,
Chasu phassāyatanesu saṃvuto;
Satataṃ bhikkhu samāhito,
Jaññā nibbānamattano’’ti.
“신체에 대한 새김을 확립하고
여섯 접촉감역을 수호하여
항상 삼매에 드는 수행승은
스스로 열반을 알 수 있으리.”
pañcamaṃ;
.
우다나 4-6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piṇḍolabhāradvāj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āraññiko piṇḍapātiko paṃsukūliko tecīvariko appiccho santuṭṭho pavivitto asaṃsaṭṭho
āraddhavīriyo [āraddhaviriyo (sī. syā. kaṃ. pī.)] dhutavādo adhicittamanuyutto.
그 때 존자 삔돌라 바라드와자가 세존께서 계신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앉아 있었다.
그는 숲속에 거주하는 자, 탁발하는 자, 분소의를 입는 자, 삼의를 지니는 자, 소욕을 지닌 자, 만족하는 자,
멀리 여읨을 닦는 자, 열심히 정진하는 자, 두타행을 하는 자, 보다 높은 마음을 추구하는 자였다.
.
우다나 4-10.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sāriputt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attano upasamaṃ paccavekkhamāno.
그 때 존자 싸리뿟따가 세존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서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스스로 적멸을 성찰하며 앉아 있었다.
.
우다나 5-7.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kaṅkhārevat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attano kaṅkhāvitaraṇavisuddhiṃ paccavekkhamāno.
그 때 존자 깡카 레바따가 세존께서 계신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의혹을 극복하며 생겨나는 청정을 관찰하고 앉아 있었다.
.
우다나 6-7.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subhūti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avitakkaṃ samādhiṃ samāpajjitvā.
그 때 마침 존자 쑤부띠는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사유을 여읜 삼매에 들어 앉아 있었다.
‘‘Yassa vitakkā vidhūpitā,
Ajjhattaṃ suvikappitā asesā;
Taṃ saṅgamaticca arūpasaññī,
Catuyogātigato na jātu metī’’ti
[na jātimetīti (syā. pī. aṭṭha. pāṭhantaraṃ)].
“사유들을 모두 불태워 없애서
안으로 남김없이 잘 여의어서
집착을 뛰어넘어 물질의 여읨을 지각하고
네 가지 멍에를 초월하여 태어남을 여읜다.”
.
우다나 7-6.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aññāsikoṇḍañño [aññātakoṇḍañño (sabbattha)]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taṇhāsaṅkhayavimuttiṃ paccavekkhamāno.
그 때 존자 앙냐따 꼰당냐가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갈애의 부숨에 의한 해탈을 관찰하며 앉아 있었다.
.
우다나 7-8.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mahākaccān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parimukhaṃ sūpaṭṭhitāya.
그 때 존자 마하 깟짜나가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바로 세우고
신체에 대한 새김을 안으로 완전히 확립하고 앉아 있었다.
.
여시어경 85(3-4-6). 부정관의 경
‘‘Asubhānupassī, bhikkhave, kāyasmiṃ viharatha;
ānāpānassati ca vo ajjhattaṃ parimukhaṃ sūpaṭṭhitā hotu;
sabbasaṅkhāresu aniccānupassino viharatha.
“수행승들이여, 몸에 대하여 부정관을 닦아라.
호흡새김을 내적으로 두루 잘 정립하라.
일체의 형성된 것들에 대해서는 무상관을 닦아라.
.
Asubhānupassīnaṃ, bhikkhave, kāyasmiṃ viharataṃ
yo subhāya dhātuyā rāgānusayo so pahīyati [pahiyyati (ka.)].
Ānāpānassatiyā ajjhattaṃ parimukhaṃ sūpaṭṭhititāya
ye bāhirā vitakkāsayā vighātapakkhikā, te na honti.
Sabbasaṅkhāresu aniccānupassīnaṃ viharataṃ yā avijjā sā pahīyati, yā vijjā sā uppajjatī’’ti.
수행승들이여, 몸에 대하여 부정관을 닦으면, 아름다운 세계에 대한 탐욕의 성향이 버려진다.
호흡새김을 내적으로 두루 잘 정립하면, 고뇌와 한편이 되는 외부적인 사유의 성향이 없어진다.
일체의 형성된 것들에 대해서는 무상관을 닦으면, 무명이 버려지고 명지가 생겨난다.”
.
.
무애해도
‘nisīdati pallaṅkaṁ ābhujitvā’ ti. nisinno hoti pallaṅkaṁ ābhujitvā.
‘가부좌를 꼬고 앉아’란 가부좌를 꼬고 앉는 것이다.
‘ujuṁ kāyaṁ paṇidhāyāti’ ujuko hoti kāyo ṭhito supaṇihito.
‘몸을 똑바로 세우고’란 몸을 바르게 세워서 잘 지니는 것이다.
.
‘parimukhaṁ satiṁ upaṭṭhapetvā’ ti.
‘면전(parimukhaṁ)에 마음챙김을 챙긴다’고 할 때,
‘parī ti’ pariggahaṭṭho,
‘pari’란 취함(攝受)의 의미이며,
‘mukhan’ ti niyyānaṭṭho,
‘mukhaṁ’이란 벗어남(離)의 의미이다.
‘satī ti’ upaṭṭhānaṭṭho;
마음챙김이란 챙김의 의미이다. <*念이란 近立의 의미이다.>
tena vuccati ‘parimukhaṁ satiṁ upaṭṭhapetvā’ ti.
그러므로 말한다. ‘면전에 마음챙김을 챙긴다’고.
.
.
[*5蓋]
So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paṭikkanto nisīda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abhijjhaṃ loke pahāya vigatābhijjhena cetasā viharati,
abhijjhāya cittaṃ parisodheti.
Byāpādapadosaṃ pahāya abyāpannacitto viharati sabbapāṇabhūtahitānukampī,
byāpādapadosā cittaṃ parisodheti.
Thinamiddhaṃ pahāya vigatathinamiddho viharati ālokasaññī, sato sampajāno,
thinamiddhā cittaṃ parisodheti.
Uddhaccakukkuccaṃ pahāya anuddhato viharati, ajjhattaṃ vūpasantacitto,
uddhaccakukkuccā cittaṃ parisodheti.
Vicikicchaṃ pahāya tiṇṇavicikiccho viharati, akathaṃkathī kusalesu dhammesu,
vicikicchāya cittaṃ parisodheti.
.
[*4念處-들숨날숨]
374. ‘‘Kathañca pan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Idha, bhikkhave,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nisīda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satova assasati, satova passasati.
Dīghaṃ vā assasanto ‘dīghaṃ assasāmī’ti pajānāti,
.
[*4禪定]
So yadeva tattha honti tiṇāni vā paṇṇāni vā tāni ekajjhaṃ saṅgharitvā nisīdām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
[*4梵住]
So yadeva tattha honti tiṇāni vā paṇṇāni vā tāni ekajjhaṃ saṅgharitvā nisīdām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mettāsahagatena cetasā ekaṃ disaṃ pharitvā viharāmi, tathā dutiyaṃ, tathā tatiyaṃ, tathā catutthaṃ,
iti uddhamadho tiriyaṃ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ṃ lokaṃ
mett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hena [abyāpajjhena (sabbattha)] pharitvā viharāmi.
Karuṇāsahagatena cetasā…pe…
.
[*A3:63 -
4禪定:천상에 머뭄, 4梵住:범천에 머뭄, 탐진치滅:성자의 머뭄.]
So yadeva tattha honti tiṇāni vā paṇṇāni vā tāni ekajjhaṃ saṅgharitvā nisīdām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evaṃ jānāmi –
‘rāg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dos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ṅ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moh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ṅ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
.
[*A6:28 존경하는 비구들에게 찾아가기 적당한 때]
Evaṃ vutte aññataro bhikkhu there bhikkhū etadavoca –
‘‘yasmiṃ, āvuso, samaye manobhāvanīyo bhikkhu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aṭikkanto pāde pakkhāletvā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so samayo manobhāvanīyassa bhikkhuno dassanāya upasaṅkamitu’’nti.
.
S54:7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mahākappino bhagavato avidūre nisinno ho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Addasā kho bhagavā āyasmantaṃ mahākappinaṃ avidūre nisinnaṃ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Disvāna bhikkhū āmantesi –
2. 그 무렵 마하깝삐나 존자가 세존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 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아 있었다.
세존께서는 마하깝삐나 존자가 멀지 않은 곳에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 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아있는 것을 보셨다.
보고는 비구들을 불러서 말씀하셨다.
.
‘‘Passatha no tumhe, bhikkhave, etassa bhikkhuno kāyassa iñjitattaṃ vā phanditattaṃ vā’’ti?
3.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 비구의 몸이 흔들리거나 동요하는 것을 보는가?"
.
‘‘Yadāpi mayaṃ, bhante, taṃ āyasmantaṃ passāma saṅghamajjhe vā nisinnaṃ ekaṃ vā raho nisinnaṃ,
tadāpi mayaṃ tassa āyasmato na passāma kāyassa iñjitattaṃ vā phanditattaṃ vā’’ti.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저 존자가 승가 가운데 앉아있거나 혼자 한적한 곳에 앉아있을 때에도
저 존자의 몸이 흔들리거나 동요하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
‘‘Yassa, bhikkhave, samādhissa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tassa so, bhikkhave, bhikkhu samādhissa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비구들이여, 삼매를 닦고 많이 [공부]지었기 때문에
몸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고 마음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는 그런 비구는
삼매를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고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은 자이다."
.
Katamassa ca, bhikkhave, samādhissa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삼매를 닦고 많이 [공부]지었기 때문에
몸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고 마음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는가?
.
‘‘Ānāpānassatisamādhissa, bhikkhave,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비구들이여,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을 통한 삼매를 닦고 많이 [공부]지었기 때문에
몸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고 마음이 흔들리거나 동요하지 않는다."
.
S7:18
3. 그러자 바라드와자 족성을 가진 바라문은 그 바라문 학도들과 함께 그 밀림으로 가서
세존께서 그 밀림에서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 챙김을 확립하여 앉아계신 것을 보았다.
그러자 세존께 다가가서 게송으로 말씀드렸다.
Atha kho bhāradvājagotto brāhmaṇo tehi māṇavakehi saddhiṃ yena so vanasaṇḍo tenupasaṅkami.
Addasā kho bhagavantaṃ tasmiṃ vanasaṇḍe nisinnaṃ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Disvāna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4. 그래서 바라드와자 가문의 바라문은 그 젊은 제자들과 함께 우거진 숲으로 찾아왔다.
그는 세존께서 우거진 숲에서 가부좌를 한 채 몸을 곧게 세우고
주의를 기울이며 새김을 확립하고 앉아 계신 것을 보았다.
보고 나서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다가왔다.
5. 가까이 다가와서 세존께 시로 여쭈었다.
.
“깊숙하고 많은 공포가 도사리고 있는 숲
텅 비고 쓸쓸한 밀림에 들어와서는
움직이지 않는 굳건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비구여, 단아한 모습으로 참선을 하는군요.
‘‘Gambhīrarūpe bahubherave vane,
Suññaṃ araññaṃ vijanaṃ vigāhiya;
Aniñjamānena ṭhitena vaggunā,
Sucārurūpaṃ vata bhikkhu jhāyasi.
[바라문]
"깊숙해서 많은 위험이 도사린
텅 빈 숲속에 홀로 들어
동요하지 않고 [181] 확고하고 아름답고
단정하게, 수행자여, 명상에 들었다.
.
노래 없고 음악도 없는 곳에서
성자 홀로 밀림에서 숲을 의지해
희열에 찬 마음으로 숲에 홀로 머무는
경이로운 그대 모습 제게 감동이옵니다.
‘‘Na yattha gītaṃ napi yattha vāditaṃ,
Eko araññe vanavassito muni;
Accherarūpaṃ paṭibhāti maṃ idaṃ,
Yadekako pītimano vane vase.
6. 노래도 없고 음악도 없는 곳에
홀로 숲속에 사는구려, 현자여,
홀로 기꺼이 숲속에 살다니
나로서는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
세상의 주인인 [범천]의 동무가 되고
위없는 범천의 세상을 그대 원한다 생각됩니다.
그래서 당신은 이 쓸쓸한 밀림 의지하여
범천이 되기 위해 여기서 고행합니다.”
‘‘Maññāmahaṃ lokādhipatisahabyataṃ,
Ākaṅkhamāno tidivaṃ anuttaraṃ;
Kasmā bhavaṃ vijanamaraññamassito,
Tapo idha kubbasi brahmapattiyā’’ti.
7. 생각하건데 위없는 세 하느님의 세계의
주재자와 하나가 되길 나는 원하는데,
왜 그대는 홀로 숲속에서 지내길 원하는가?
하느님이 되려고 여기 고행하는가?"
.
4. [세존]
“어떤 소원 가졌든 어떤 기쁨 가졌든
여러 가지 요소들에 범부 항상 집착하네.
무지를 뿌리로 소망이 생기나니
그 모두를 끝장내고 나는 뿌리 뽑았도다.
‘‘Yā kāci kaṅkhā abhinandanā vā,
Anekadhātūsu puthū sadāsitā;
Aññāṇamūlappabhavā pajappitā,
Sabbā mayā byantikatā samūlikā.
8. [세존]
"사람에게 소망이나 기쁨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여러 대상에 항상 집착되어 있다.
무지의 뿌리에서 생겨난 갈망들,
그 모든 것들을 나에게 뿌리째 제거되었다.
.
그런 나는 소망 없고 집착 없고 속박 없어
제법(諸法)에 대한 나의 봄[見]은 청정하게 되었도다.
위없는 완전한 깨달음, 저 상서로움을 얻어서
바라문이여, 담대하게 나는 홀로 참선하노라.”
‘‘Svāhaṃ akaṅkho asito anūpayo,
Sabbesu dhammesu visuddhadassano;
Pappuyya sambodhimanuttaraṃ sivaṃ,
Jhāyāmahaṃ brahma raho visārado’’ti.
9. 소망도 없고 갈망도 없고 집착도 없으니,
모든 존재에게 청정한 시선을 보낸다.
위없는 깨달음의 지복을 얻으니,
바라문이여, 나는 두려움 없이 홀로 선정에 든다."
.
S7:17
Addasā kho navakammikabhāradvājo brāhmaṇo bhagavantaṃ aññatarasmiṃ sālarukkhamūle nisinnaṃ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Disvānassa etadahosi –
나와깜미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은 세존께서 그 밀림에서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 세우고 전면에 마음 챙김을 확립하여 앉아 계신 것을 보았다.
그러자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
'나는 이 우거진 숲에서 일을 하며 즐기고 있다.
저 수행승 고따마는 무엇을 하면서 즐기고 있는가?'
‘‘ahaṃ kho imasmiṃ vanasaṇḍe kammantaṃ kārāpento ramāmi.
Ayaṃ samaṇo gotamo kiṃ kārāpento ramatī’’ti?
‘나는 이 밀림에서 일이 되어가는 것을 기뻐한다.
그런데 이 사문 고따마는 무엇이 되어가는 것을 기뻐할까?’
.
Atha kho navakammikabhāradvājo brāhmaṇ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3. 그러자 나와깜미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게송으로 여쭈었다.
.
"수행자여, 쌀라 나무 숲속에서
그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홀로 숲속에 머물며
고따마여, 어떠한 즐거움을 찾는가?"
‘‘Ke nu kammantā karīyanti, bhikkhu sālavane tava;
Yadekako araññasmiṃ, ratiṃ vindati gotamo’’ti.
“비구여, 이 살라 숲에서 그대 어떤 일을 하십니까?
혼자 이 밀림에서 무슨 기쁨 얻습니까?”
.
"나에게는 숲속에서
해야 할 일이 없도다.
숲도 덥불도
나에게 뿌리를 뽑혔다.
‘‘Na me vanasmiṃ karaṇīyamatthi,
Ucchinnamūlaṃ me vanaṃ visūkaṃ;
4. [세존]
“숲에서 해야 할 일 나에게는 없나니
뿌리 잘린 나의 숲은 메말라버렸도다.
.
여기 숲속에서 숲도 없고
화살도 맞지 않고
홀로 불만을 여의고 즐거워한다."
Svāhaṃ vane nibbanatho visallo,
Eko rame aratiṃ vippahāyā’’ti.
숲이 없어지고 쇠살이 없어지고
따분함을 제거한 그러한 나는
숲에서 홀로 기뻐하도다.”
.
[*M62]
[라훌라] “세상에 존경받는 님께서는 오직 물질만을 언급하신 것입니까?
올바른 길로 잘 가신 님께서는 오직 물질만을 언급하신 것입니까?”
‘‘Rūpameva nu kho, bhagavā, rūpameva nu kho, sugatā’’ti?
"오직 물질만 그러합니까, 세존이시여? 오직 물질만 그러합니까, 선서시여?"
.
[세존] “라훌라여, 느낌도 마찬가지이다. 라훌라여, 지각도 마찬가지이다.
라훌라여, 형성도 마찬가지이다. 라훌라여, 의식도 마찬가지이다.”
‘‘Rūpampi, rāhula, vedanāpi, rāhula, saññāpi, rāhula, saṅkhārāpi, rāhula, viññāṇampi, rāhulā’’ti.
"라훌라여,
물질도 그러하고, 느낌도 그러하고, 인식도 그러하고, 심리현상들도 그러하고, 알음알이도 그러하다."
.
4. 그래서 존자 라훌라는 ‘오늘 세존으로부터 친히 가르침을 받았는데,
어찌 마을로 탁발하러 들어가겠는가?’라고 생각했다.
Atha kho āyasmā rāhulo
‘‘ko najja [ko nujja (syā. kaṃ.)] bhagavatā sammukhā ovādena ovadito gāmaṃ piṇḍāya pavisissatī’’ti
4. 그러자 라훌라 존자는 [이렇게 생각했다.]
"누가 세존으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고 오늘 마을로 탁발을 가겠는가?"
.
그래서 돌아와서 한 나무 밑에 앉아서 몸을 바로 세우고 얼굴 앞으로 새김을 확립하고 가부좌했다.
tato paṭinivattitvā aññatarasmiṃ rukkhamūle nisīd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그래서 그는 되돌아와서 어떤 나무 아래에서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았다.
.
[* http://cafe.daum.net/pali-study/9akK/221
지금 라훌라 존자의 전면에 마음챙김의 확립<수행주제>은 세존께 직접 받은 가르침인 五蘊....]
.
존자 싸리뿟따는 존자 라훌라가 한 나무 밑에 앉아서 몸을 바로 세우고
얼굴 앞으로 새김을 확립하고 가부좌한 것을 보고 존자 라훌라에게 말했다.
Addasā kho āyasmā sāriputto āyasmantaṃ rāhulaṃ aññatarasmiṃ rukkhamūle nisinnaṃ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Disvāna āyasmantaṃ rāhulaṃ āmantesi –
5. 사리뿟따 존자는 라훌라 존자가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어떤 나무 아래에 앉아있는 것을 보았다. 그를 보고서 라훌라 존자에게 말했다.
.
[싸리뿟따] “라훌라여, 호흡새김을 닦으십시오.
호흡새김을 닦고 반복하면 커다란 과보와 커다란 공덕이 있습니다.”
‘‘ānāpānassatiṃ, rāhula, bhāvanaṃ bhāvehi.
Ānāpānassati, rāhula, 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mahapphalā hoti mahānisaṃsā’’ti.
"라훌라여,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을 닦아라.
라훌라여,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을 닦고 많이 공부지으면 실로 큰 결실과 큰 공덕이 있다."
.
M91
24. 그가 승원에 들어가면, 마련된 자리에 앉습니다.
자리에 앉아서 그는 비록 두 발을 씻되 치장하는데 신경을 쓰지는 않습니다.
So ārāmagato nisīdati paññatte āsane.
Nisajja pāde pakkhāleti; na ca so bhavaṃ gotamo pādamaṇḍanānuyogamanuyutto viharati.
20. "그분은 원림으로 돌아가시면 마련된 자리에 앉으십니다. 앉아서 발을 씻습니다.
그분 고따마 존자님은 발을 돌보는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머뭅니다.
.
그는 두 발을 씻고
결가부좌를 하고 몸을 곧게 펴고
얼굴 앞으로 새김을 확립하고 앉습니다.
So pāde pakkhāletvā nisīda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그분은 발을 씻고서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고 앉습니다.
.
그는 결코 자신을 해칠 생각을 하지 않고, 남을 해칠 생각을 하지 않고,
자신과 남을 해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존자 고따마는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고, 남의 이익을 생각하고,
자신과 남의 이익을 생각하고 양자의 이익, 온 세상의 이익을
생각하며 앉습니다.
So neva attabyābādhāya ceteti, na parabyābādhāya ceteti, na ubhayabyābādhāya ceteti;
attahitaparahitaubhayahitasabbalokahitameva
so bhavaṃ gotamo cintento nisinno hoti.
그분은 결코
자신을 해칠 생각을 하지 않고 남을 해칠 생각을 하지 않고 둘 다를 해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그분 고따마 존자님은
자신의 이로움과 남의 이로움과 둘 다의 이로움과
온 세상의 이로움을 생각하면서 앉아있습니다."
.
25. 그는 승원에 들어가 대중에게 가르침을 설하되, 대중에게 아첨하거나 대중을 매도하지 않고,
반드시 가르침으로 사람들을 훈계하고 교화하고 격려하고 기쁘게 합니다.
So ārāmagato parisati[ṃ] dhammaṃ deseti, na taṃ parisaṃ ussādeti, na taṃ parisaṃ apasādeti;
aññadatthu dhammiyā kathāya taṃ parisaṃ sandasseti samādapeti samuttejeti sampahaṃseti.
21. "그분은 원림에 가시면 대중에게 법을 설하십니다.
대중에게 아첨하거나 대중을 꾸짖지도 않고
오로지 법문으로 그 대중을 가르치고 격려하고 고무하고 기쁘게 하십니다.
[*세존의 마음챙김의<기억하고 상기하시는> 내용 自利利他와 모두의 이익를 생각하(시면서 앉아계)심
------------------------------------ '온 세상 <모두에게 이익될> 법을'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고서: '알아차림'의 확립이나 '코 밑, 인중'에 마음을 집중하는 것이 아닌 듯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반드시 수행에만 해당되는 용어는 아닌 것 같음.]
.
M32
‘‘Sabbesaṃ vo, sāriputta, subhāsitaṃ pariyāyena.
Api ca mamapi suṇātha yathārūpena bhikkhunā gosiṅgasālavanaṃ sobheyya.
"사리뿟따여, 그대들 모두가 다 각자의 방법에 따라 잘 말했다.
이제 어떤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하는지에 대한 나의 말을 들어라.
Idha, sāriputta, bhikkhu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aṭikkanto nisīdati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
‘ na tāvāhaṃ imaṃ pallaṅkaṃ bhindissāmi yāva me nānupādāya āsavehi cittaṃ vimuccissatī ’ti.
사리뿟따여, 여기 비구는 공양을 마치고 탁발에서 돌아와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취착 없이 내 마음이 번뇌에서 해탈할 때까지 이 가부좌를 풀지 않으리라.'라고 결심한다.
Evarūpena kho, sāriputta, bhikkhunā gosiṅgasālavanaṃ sobheyyā’’ti.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한다."
[*여기서의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구체적 내용은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 = '취착 없이 내 마음이 번뇌에서 해탈할 때까지 이 가부좌를 풀지 않으리라.']
|
첫댓글 빠리묵캉이......여러 수행의 앞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경증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구체적인 자료가 많이 도움이 됩니다.
우다나경이 4부니까야는 아니지만... 까야가타사띠와 빠리묵캉이 같이 언급되는 경문이... 흥미롭게도 있네요.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parimukhaṃ sūpaṭṭhitāya.
'안으로' 빠리묵캉하면서... 몸에 대한 사띠를 하네요.......
사띠는 밖으로, 안팎으로도 해야하지만... 시작은 안으로이기 때문이겠죠.
지향하는... 해석때문에..........해피스님 사이트 가서 보다가...
avitakkomhi avicāro, ajjhattaṃ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출처] 비구니 거처 경(S47:10) ㅡ [향하는 수행-향하지 않는 수행] (해피법당[부처님-불교-삶-마음-업장소멸 바로보기]) |작성자 해피스님
아자땅 사띠마와... 아자땅 빠리묵캉이.......... 뭔가 통하는 것 같네요.
[여러 수행의 앞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경증을 ]....니까야님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반드시 수행에만 해당되는 용어는 아닌 것 같음.]... 봄봄. ㅎㅎ
4부 니까야에서 본 정형구와 관계되는 것은 중복되는 것은 제외하면
다 올렸다고 여기셔도 됩니다.
혹시라도 중요한 용례가 빠진 것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봄봄 오해가 있으신 듯........
'많은' 여러 수행의 앞부분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아님.........
위에서 소개하신..... 오개, 사념처, 사선정, 사梵住, 통찰의 앞부분에서 나오기도 한다는 뜻임.
그리고... 수행을 정의할 때 저는... 교리를 실천으로써 체득하는 모든 것을 의미함니다..... 계율, 감각단속, 언어, 행동, 마음자세 등등도 모두요.
그런 의미에서 빠리묵캉도... 수행이라고 봅니다.... 좀더 일반적인 말로 하면... '실천해서 경험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http://cafe.naver.com/happybupdang/9451
이미 오래전에 많은 자료를 정리해 두셨네요.......
@니까야 봄봄이 드리고자 하는 뜻은
세존의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를 수행이라고 하기에 조금 이상하지 않느냐는 의미가...
빨리가 깨지지 않으니 정말 편하네요. ㅎㅎ
@봄봄 paṇidhāya라는 단어의 의미를 위 경문에 대입 해보시고서
일관되게 관통하는 의미를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본문 제목에서..
pallaṅkaṃ ābhujitvā ujuṃ kāyaṃ paṇidhāya
+ parimukhaṃ satiṃ upaṭṭhapetvā
+ kāyagatāya satiyā ajjhattaṃ sūpaṭṭhitāya 등.......으로 나타냈지만,
+ [블랭크] = 즉 paṇidhāya 다음에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간주해도 되는 것이
우다나에 나오는 경문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