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로 -박수근그림

길-박수근의 그림 / 허만하
잎진 겨울나무 가지 끝을 부는 회오리 바람 소리 아득하고
어머니는 언제나 나무와 함께 있다. 울부짖는 고난의 길 위
에 있다 힌 수건으로 머리를 두르고 한 아이를 업은 어머니
가 다른 아이 손을 잡고 여덟팔자걸음을 걷고 있는 아득하고
먼 길. 길 끝은 잘 보이지 않았으나 어머니는 언제나 머리 위
에 광주리를 이고. 또는 지친 빨랬거리를 담은 대야를 이고
바람소리 휘몰아치는 길 위에 있다. 일과 인내가 삶 자체였
던 어머니. 짐이 몸의 일부가 되어버린 어머니. 손이 모자라
는 어머니는 허리 흔들림으로 균형을 잡으며 걸었다. 아득하
고 끝이 없는 어머니의 길. 저무는 길 너머로 사라져가는 어
머니. 길의 끝에서 길의 일부가 되어버린 어머니. 하학길 담
벼락에 붙어 서서 따듯한 햇살을 쏘이던 내 눈시울 위에 환
하게 떠오르던 어머니. 어머니. 나의 눈시울은 어머니를 담
은 바다가 됨니다. 어머니의 바다는 나의 바다를 안고도 흘
러 넘침니다. 어머니 들립니다. 어디까지 와있나. 임정리 아
직 멀었나. 어디까지 와있나. 골목끝에 부는 바람소리. 나는
한 마리 매미처럼 어머니 등에 붙어 있었지요.어머니 저는
어머니가 걸었던 바람부는 길을 이젤처럼 들러메고 양구를
떠났습니다. 나는 겨레의 향내가 되고 싶습니다. 가야 토기
의 살갖같이 우울한 듯 안으로 밝고 비바람에 시달린 바위의
살결같이 거칠고도 푸근한 어머니의 손등을 그리고 말 것입
니다. 어머니가 끓이시던 시래깃국 맛을 그리겠습니다. 어머
니. 나를 잡아끌던 어머니의 손이 탯줄인 것을 나는 압니다.
잎 진 가지 끝에 바리이 부는 겨울 그립습니다.
-김용택이 사랄하는 시-
(시가 내게로 왔다)
박수근의 그림' 이라는 무게가 붙은 시다. 세상에서 내가 제
일 좋아하는 화가 박수근. 내가 사는 방에는 신문이나 잡지에
서 오린 그의 그림들이 여기저기 붙어 있다. 소. 아이.할아버
지.할머니. 나무들. 초가집........언젠가 아내랑 그의 그림 (독
서) 앞에 나란이 서서 "우리는 참 복도 많아. 이런 그림 앞에
서 있을 수 있다니 말야"하면서 얼마나 행복해 했던지. 이 시인
도 아마 그러 했으리라. 시골 우리 어머님은 지금 홀로 무얼 하
시고 계실까?

박수근에 대한 모든것
궁금해서 찾아 봤다 대단한 사람. 엄청대단하군요
그의 그림값" 내가 그가 대단한 화가라는 관심은
그림가격이 내 상식으로 이해할수 있는 전부.
솔직히 시도 잘모르지만 그림은 더욱 문외한 임니다.
자료 좀 알아 보려 하니까 무지 무지 너무 많아서
대강 훌터보고 일부만 올려 봄니다.
뭘몰라도 너무 모르는 -무산돌이 가 드리는 말-
태어났을 당시 넉넉했던 집안 형편은 그가 보통학교에 들어갈 즈음 어려워졌고 그 이후로는 계속 가난으로 인한 고단한 삶을 살았다.
12세 때 밀레의 '만종'을 보고 자신도 그와 같은 화가가 되고자 독학으로 그림 공부를 계속하여 18세인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 수채화 <봄이 오다>로 입선을 하게 되었고 이후 거듭 선전에서 입선하였다. 화가로서 그의 삶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6·25동란 후 박수근은 한동안 미8군 PX에서 초상화를 그려주고 그 대가로 가족의 생계를 꾸려나갔다.
이후 국전에 수 차례 입선과 특선을 하였고 이 때부터 가난한 이웃을 소재로 하여 평면적이고 독특한 마티에르(질감)를 가진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만들어 나갔고 화가로서도 어느 정도 인정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1957년 심혈을 기울여 그린 대작 <세 여인>이 국전에서 낙선한 것에 크게 낙심한 나머지 과음을 계속하여 백내장으로 한 쪽 눈을 실명하게 되었고 간경화도 심해졌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계속 작업을 해갔으나 건강이 더욱 나빠져 1965년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나는 인간의 선함과 진실함을 그려야 한다는, 예술에 대한 대단히 평범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내가 그리는 인간상은 단순하고 다채롭지 않다.
나는 그들의 가정에 있는 평범한 할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물론 어린아이들의 이미지를 가장 즐겨 그린다."
이것은 박수근 자신의 철학과 그림에 대한 생각이 담긴 유일한 말로 여기에서 그의 작품의 주제와 특징의 근간을 엿볼 수 있다.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소박한 우리네 서민의 일상적인 모습이다.
일하고 있는 여인이나 장터의 풍경, 할아버지와 손자 등 생각만으로도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하는 그들을 박수근은 그리고자 하였다.
그들의 '선함과 진실함'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화강암의 거친 질감을 화폭에 옮겨왔고 그 위에 공간감을 무시하고 극히 단순한 형태와 선묘를 이용한 평면화된 대상을 모노톤의 색채로 그려내어 마치 바위에 각인된 듯한 이미지로 표현했다. 그리고 이렇게 표현된 그의 작품에서는 숭고한 기운마저 느껴진다.
박수근은 정규교육을 받지 못하였고 서구예술을 접할 기회도 많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불리한 상황 속에서 그림을 그리고 계속 실력을 쌓아간 것이 오히려 그 자신만의 시각과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현재 그는 누구나 인정하는 가장 한국적인 화가가 된 것이다.
(출처 : '박수근화백에 대한 모든것' - 네이버 지식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