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연맹 김태선이사님 번역본입니다.
26. 페어 플레이 (Fair play)
26.1 오리엔티링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은 공정하고 정직하게 행동하여야 한다. 정정당당한 태도와 우호의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경기자들은 다른 참가자들, 경기 임원들, 기자들, 관객들과 경기장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존중하여야 한다. 경기자들은 테레인 안에서 가능한 한 정숙하여야 한다.
26.2 사고의 경우를 제외하고 경기중에 다른 경기자로부터 도움을 받거나 다른 경기자를 도와주는 것은 금지된다. 부상당한 경기자를 도와주는 것은 모든 경기자들의 의무이다.
26.3 약물 복용은 금지된다. IOF 반도핑 규정(IOF Anti-Doping Rules)은 모든 IOF 대회에 적용되고 IOF 이사회는 도핑 검사 실시를 요구할 수 도 있다.
26.4 개최지가 공개될 때까지는 모든 경기임원은 경기 장소 및 지형에 관해서는 엄격하게 비밀로 하여야 한다. 코스에 대해서는 극비로 유지되어야 한다.
26.5 주최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경기 테레인 내에서의 훈련이나 어떠한 조사를 시도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경기 전이나 경기 도중에 주최자가 제공하는 정보 이상으로 코스에 관련된 어떠한 정보라도 얻고자 시도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26.6 주최자는 해당 지역의 테레인이나 지도를 잘 알고 있어서 다른 경기자들 보다 실질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은 누구라도 경기 참가를 제한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26.7 팀 임원, 경기자, 미디어 취재기자 및 관중은 지정된 장소에 머물러야 한다.
26.8 컨트롤 운영임원은 선수를 방해 하거나 가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어떠한 정보라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컨트롤 운영임원은 조용히 눈에 띄지 않는 옷을 입고 있어야 하며 컨트롤에 접근하는 선수를 도와주면 안 된다. 이 규정은 테레인 내에 있는 다른 모든 사람들(예를 들면 미디어 취재기자 등)에게도 적용된다.
26.9 피니쉬 라인을 통과한 경기자는 주최자의 허가없이 다시 경기 테레인 안으로 들어 갈 수 없다. 기권한 선수는 즉시 도착지점에 이 사실을 알리고 지도와 컨트롤 카드를 제출해야 한다. 기권한 선수는 경기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선수를 도와 주어서는 안 된다.
26.10 규정을 위반하거나 규정 위반으로 이득을 얻은 경기자는 실격 처리 될 수 있다.
26.11 경기자가 아닌 사람이 규정 위반을 했을 경우에는 징계 처분을 받을 수 있다.
26.12 만약 어떠한 시점에서 경기자, 임원 또는 관중들에게 위험한 상황 발생이 분명해진다면 주최자는 경기를 중단, 연기 또는 취소를 하여야 한다.
26.13 만약 경기가 심각하게 불공정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주최자는 경기를 무효로 하여야 한다.
27. 불만제기 (Complaints)
27.1 이 규정 또는 주최측의 방침에 침해를 받았을 경우는 불만제기를 할 수 있다.
27.2 불만제기는 팀 임원 또는 경기자만 할 수 있다.
27.3 불만제기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서면상으로 주최측에게 전해져야 한다. 불만제기 사항에 대해서는 주최측에 의해서 판정되고 그 결과는 즉시 불만제기를 한 사람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27.4 불만제기를 위한 비용은 들지 않는다.
27.5 주최측은 불만제기 마감 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마감 시한 이후에 제출된 불만제기 신청 사항은 해명되어야만 하는 예외적인 사정이 있다고 인정될 때만 고려된다.
28. 이의제기 (Protests)
28.1 불만제기에 대한 주최측의 판정결과에 승복할 수 없을 경우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28.2 이의제기는 팀 임원 또는 경기자만 할 수 있다.
28.3 이의제기는 불만제기에 대한 주최측의 판정이 불만제기를 한 사람에게 통지된 후 15분 이내에 심판위원에게 서면상으로 제출되어야 한다. 마감시간 이후에 제출된 이의제기에 대해서는 그 이의제기의 정당한 사유가 설명되는 예외적인 상황이 있을 경우에만 심판위원의 재량에 의해 인정될 수 있다.
28.4 이의제기를 위한 비용은 들지 않는다.
29. 심판위원 (Jury)
29.1 이의제기에 대한 심사 및 재정(載定)을 위해 심판위원이 임명되어야 한다.
29.2 심판위원은 IOF 이사회에서 임명한다. 만약 IOF가 심판위원을 임명하지 않으면 주최 연맹에서 심판위원을 임명해야 한다.
29.3 심판위원은 규정 29.10-29.14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연맹의 대표들로 3명 또는5명으로 구성된다.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심판위원 회의를 주관 하지만 투표권은 없다.
29.4 주최자의 대표는 심판위원 회의에 참석할 권리가 있지만 투표권은 없다.
29.5 주최자는 심판위원의 결정 사항에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주최자가 실격으로 처리한 선수에 대한 합격 처리, 주최자가 합격시킨 선수에 대한 실격 처리, 주최자가 합격시킨 기록에 대한 무효 처리, 또는 주최자가 무효로 선언한 기록에 대한 합격 처리 등.
29.6 심판위원 멤버 모두가 참석했을 때에만 결정사항이 유효하다. 시급한 경우 심판위원 멤버 과반수가 결정에 동의 했을 때 예비 결정을 내릴 수 있다.
29.7 심판위원 멤버 스스로 공평한 판정이 곤란함을 선언하는 경우 또는 임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가 대행자를 지명해야 한다.
29.8 이의제기에 대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심판위원은 주최자에게 지침을 내리는 일뿐 아니라 중대한 규정 위반을 한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IOF에서 주관하는 향후의 일부 또는 모든 이벤트에 대해서 출장 정지를 하도록 IOF 이사회에 건의 할 수 있다.
29.9 심판위원의 결정은 최종 결정이 된다.
WOC 29.10 심판위원은 IOF 이사회에 의해 임명된다. 서로 다른 연맹에서 5명의 멤버로 구성된다.
JWOC |
29.11 심판위원은 IOF 이사회에 의해 임명된다. 서로 다른 연맹에서 3명의 멤버로 구성된다.
WOC |
29.12 심판위원은 남녀 양쪽 모두 구성되어야 한다. 주최 연맹에서는 심판위원이 나올 수 없다.
WG |
29.13 심판위원은 서로 다른 연맹 소속인 3명의 멤버로 구성된다. 2명은 IOF 이사회에 의해서 임명되고 1명은 주최 연맹에 의해서 임명된다.
WRE 29.14 심판위원은 3명으로 구성되고 가능하면 서로 다른 연맹의 출신으로 한다.
30. 항소 (Appeals)
30.1 심판위원이 아직 구성되지 않았거나 이벤트가 끝나 심판위원이 해산 되었을 경우에는 규정 침해 행위에 대항하여 항소를 할 수가 있다.
30.2 항소는 오직 연맹에 의해서만 제기될 수 있다.
30.3 항소는 가능한 한 빨리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에게 서면으로 제출되어야 한다.
30.4 항소에는 어떠한 비용도 들지 않는다.
30.5 항소에 대한 결정은 최종 결정이다.
30.6 IOF 이사회가 항소를 처리한다.
31. 이벤트 운영 (Event control)
31.1 이 규정이 적용되는 모든 이벤트들은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지휘 아래 운영되어야 한다.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대회 운영자가 결정되고 3개월 이내에 임명되어야 한다.
31.2 IOF 이사회는 어느 이벤트에 어느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를 임명할 것인지 결정하여야 한다.
31.3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가 IOF 에 의해서 임명되면 그(또는 그녀)는 대회 운영자에게 IOF의 공식 대표자로서 IOF 이사회에 종속되어 IOF 사무국에 의사소통의 역할을 하게 된다.
31.4 대회 운영 연맹은 항상 독립된 국가 콘트롤러를 임명해야 한다. 이 콘트롤러는 IOF 에 의해서 임명된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를 보조 한다. IOF 가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어드바이저를 임명하지 않았다면 연맹에 의해서 임명된 콘트롤러가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연맹으로부터 임명되는 콘트롤러는 대회 운영 연맹의 출신일 필요는 없다.
31.5 모든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라이센스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나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어시스턴트는 출전 팀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가지지 않는다.
31.6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반드시 규정이 준수되도록 하고 실수를 배제하여 공정성이 항상 우선하도록 해야 한다.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이벤트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여기면 그것의 조정을 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31.7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대회 운영자와 긴밀하게 협력을 해야 하고 모든 관련정보를 제공 받아야 한다. Bulletin 등과 같이 각 연맹에 보내지는 모든 공식 자료는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에 의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8 최소한, 다음과 같은 행위들이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권한 아래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벤트 장소 및 테레인 승인
・이벤트 조직의 검토, 그리고 제안된 숙박시설, 음식, 수송, 프로그램, 예산 및 트레이닝 가능성 등에 대한 적정성 평가
・식전행사 계획의 평가
・대회 조직과 스타트, 피니쉬, 체인지·오버 구역의 레이아웃 승인
・계시 및 결과 산출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정확성 평가
・지도가 IOF 기준에 맞는지 확인
・지도의 정확성, 우연성 요소, 컨트롤 설치와 장비, 난이도를 포함한 품질을 평가한 후 코스의 승인
・코스의 분할 방법과 조합에 대한 확인
・미디어를 위한 준비상태 및 설비의 평가
・도핑 테스트를 위한 준비 및 장비의 평가
・공식 결과의 승인
31.9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한 횟수에 관계없이 방문하여야 한다. 그 방문은 지정된 이벤트 책임자 및 대회 운영자와의 협의를 거쳐 계획되어야 한다. 각각의 방문 후 즉시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간략한 보고서를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 지명 기관에 서면으로 제출하고 그 복사본을 대회 운영자에게 송부해야 한다.
31.10 특히 지도제작, 코스설정, 자금조달, 후원 및 홍보 분야에서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를 보조하기 위한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어시스턴트를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 지명 기관에 의해 선정할 수 있다.
31.11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 지명 기관은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의 임명을 취소하는 권한을 가진다.
WOC 31.12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최소한 세 번의 방문을 해야 한다 : 대회 유치 단계, 대회 1년 전, 대회 3, 4개월 전
32. 이벤트 보고서 (Event reports)
32.1 이벤트가 끝난 후 3주 이내에 대회 운영자는 결과 리스트를 포함한 악식 보고서를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에게 제출해야 한다.
32.2 이벤트가 끝난 후 4주 이내에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는 IOF 이벤트 어드바이저 지명 기관에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보고서에는 이벤트의 특기 사항과 상세한 이의 제기 및 항의 사항 등을 포함한다.
WOC |
32.3 이벤트가 끝난 후 3주 이내에 대회 운영자는 요약 보고서와 상세 코스가 기재된 지도 2부와 최종 결과 리스트를 IOF에 제출해야 한다.
WMOC 32.4 이벤트가 끝난 후 3주 이내에 대회 운영자는 요약 보고서와 상세 코스가 기재된 모든 A-결승 지도를 포함한 지도집과 최종 결과 리스트를 IOF에 제출해야 한다.
WOC 32.5 이벤트가 끝난 후 6개월 이내에 모든 Bulletin, 스타트·리스트를 포함한 최종 프로그램, 조직 계획 및 최종 결산보고서의 복사본 각 1 부가 기록 보존을 위해서 IOF 사무국에 제출되어야 한다.
33. 광고 및 후원 (Advertising and sponsorship)
33.1 담배 및 술 광고는 금지한다.
33.2 공식 식전 행사중에 참가자들이 입는 단체복 또는 그 외의 의류에 붙이는 광고는 300 cm2 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배번을 제외한 경기용 의류 또는 용품에 붙이는 광고의 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34. 미디어 서비스 (Media service)
34.1 대회 운영자는 미디어 취재기자에게 이벤트를 취재와 관련하여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34.2 대회 운영자는 미디어 취재기자에게 최소한 다음 사항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중급 수준의 호텔 숙박시설, 이용 요금은 사용자 부담
・스타트·리스트, 프로그램 소책자 및 그 외 필요 정보 등은 경기 전날까지 제공
・모델·이벤트에 참가할 기회
・피니쉬 지점에 우천을 대비한 조용한 작업 공간
・경기 종료 후 즉시 결과 리스트와 코스가 기재된 지도 제공
・인터넷 환경 제공, 요금은 이용자 부담
34.3 페어 플레이를 해치지 않는 한 대회 운영자는 최대한 미디어 보도를 위해 모든 노력을 해야 한다.
부록1: 일반 경기 클래스 (General competition class)
1. 연령별 클래스 분류
1.1 선수는 그들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서 클래스가 나뉜다. 여자는 남자 클래스에 참가할 수 있다.
1.2 나이가 20세 이하인 선수는 그들의 연령이 해당하는 그 해의 마지막까지 각각의 클래스에 속한다. 그들은 최대 21세 클래스까지 등급을 올려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1.3 나이가 21세 이상인 선수는 그들의 연령이 해당하는 그 해의 처음부터 각각의 클래스에 속한다. 그들은 최대 21세 클래스까지 등급을 내려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1.4 메인이 되는 경기 클래스는 W21, M21이다. 각각 여자부, 남자부를 의미한다.
1.5 21세 미만의 선수들은 W20, M20 그리고 W18, M18 등과 같이 2 세의 간격을 두고 클래스를 설정한다. 21세 보다 많은 선수들은 W35, M35 그리고 W40, M40 등과 같이 5 세의 간격을 두고 클래스를 설정하여 사용한다.
1.6 각 클래스는 코스의 난이도 그리고/또는 거리에 따라 서브·클래스로 나뉘어질 수 있다. 난이도와 코스 길이에 따른 서브·클래스는 E(엘리트)라고 명명된다. 만약 해당된다면 A, B, N(novice)을 사용할 수 있다. 오직 코스 거리만으로 분류한 서브·클래스는 S(short), L(long) 이라고 명명된다.
1.7 엘리트(E) 클래스는 18, 20, 21세 연령의 클래스만 적용된다. 엘리트(E) 클래스로의 출전은 각 연맹에 의해서 엘리트 선수로서 선정되었거나 각 연맹의 랭킹·시스템, 또는 선발·시스템을 통해 선발된 선수들로 참가 자격이 제한된다.
2. 병행 클래스 (Parallel classes)
2.1 한 클래스에 참가자가 너무 많을 때 그 클래스는 병행 클래스로 나눌 수 있다. 엘리트·클래스의 분할은 선수의 바로 이전 성적을 기준으로 나눈다. 엘리트·클래스를 제외한 나머지 클래스는 같은 클럽, 지역, 연맹별로 선수들을 병행하는 클래스 사이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나눈다.
부록2: 코스 설정의 원칙 (Principles for course planning)
1. 서언 (Introduction)
1.1 목적 (Purpose)
1.2 이 원칙의 적용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2. 기본 원칙 (Basic principles)
2.1 오리엔티어링의 정의 (Definition of orienteering)
2.2 좋은 코스 설정의 목적 (Aim of good course planning)
2.3 코스 설정자가 지켜야 할 원칙 (Course planner's golden rules)
3. 오리엔티어링 코스 (The orienteering course)
3.1 테레인 (Terrain)
3.2 오리엔티어링 코스의 정의 (Definition of orienteering course)
3.3 스타트 (The start)
3.4 코스 레그 (The course legs)
3.5 컨트롤 (The controls)
3.6 피니쉬 (The finish)
3.7 지도 읽기의 요소 (The elements of map reading)
3.8 루트 선택 (Route choices)
3.9 난이도 (The degree of difficulty)
3.10 경기의 형태 (Competition types)
3.11 코스 설정자의 목표 (What the course planner should aim)
4. 코스 설정자
1. 서언 (Introduction)
1.1 목적
이 원칙은 경기의 공정성을 보장하고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의 독특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풋·오리엔티어링 코스의 설정을 위한 공통 표준을 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 이 원칙의 적용
모든 국제 풋·오리엔티어링 대회의 코스는 이 원칙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 원칙은 기타 오리엔티어링 대회의 코스 설정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이 문서에서 ‘오리엔티어링’ 이라고 하는 용어는 특별히 ‘풋· 오리엔티어링’을 의미 한다.
2. 기본 원칙 (Basic principles)
2.1 오리엔티어링의 정의
오리엔티어링은 지상에 설치된 다수의 포인트, 즉 컨트롤들을 지도와 나침반만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짧은시간에 찾아 돌아오는 스포츠이다. 풋·오리엔티어링은 ‘달리면서 방향을 찾는 것’으로서 특징 지어질 수 있다.
2.2 좋은 코스 설정의 목적
코스 설정의 목적은 선수들의 기량을 시험하기 위해서 정확하게 설계된 코스를 경기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경기 성적은 선수들의 기술적, 체력적 능력이 반영되어야 한다.
2.3 코스 설정자가 지켜야 할 원칙
코스 설정자는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명심하여야 한다.
・달리면서 방향을 찾는 것으로 정의되는 풋·오리엔티어링 고유의 특성
・경기의 공정성
・참가자의 즐거움
・야생동물과 환경의 보호
・매스컴과 관중의 요구에 대한 부응
2.3.1 고유의 특성
모든 스포츠는 나름대로의 특성을 가진다. 오리엔티어링의 고유 특성은 미지의 지형을 통하여 얼마나 빠른 시간에 가장 좋은 루트를 찾아내 따라갈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이 다음의 오리엔티어링 기술들을 요구한다: 정확한 지도 읽기, 루트 선택의 판단력, 나침반 조작, 긴박한 상황에서의 집중력, 신속한 결단력, 자연 지형에서의 달리기 능력 등등.
2.3.2 공정성
공정성은 경쟁 스포츠에서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다. 코스 설정과 설치의 각 단계에서 세심한 주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리엔티어링 경기에서는 행운이 간단하게 승패를 좌우할지도 모른다. 코스 설정자는 시합이 공정하고 모든 선수들이 코스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조건에 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든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2.3.3 참가자의 즐거움
오리엔티어링의 인기는 참가자가 주어진 코스에 만족할 때만이 증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거리, 체력적 기술적 난이도, 컨트롤 설치 등의 관점에서 적정한 코스가 되도록 신중하게 코스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각각의 코스가 그 코스를 달리는 경기자에게 적합하여야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2.3.4 야생동물과 환경
환경은 민감하다: 야생 동물을 교란시킬 수도 있고 식생뿐만 아니라 땅은 남용으로 인해 악화될 수도 있다. 환경에는 경기 지역 내에 주거하는 주민, 벽, 울타리, 경작지, 건물 및 기타 건축물 등도 포함된다.
피해 없이 가장 민감한 지역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길을 찾는 것은 대개 가능하다. 경험과 조사에 의하면 적절한 예방 조치와 잘 설정된 코스가 있으면 규모가 큰 이벤트라도 영구적인 손상 없이 민감한 지역에서 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스 설정자는 선택된 테레인에 대한 접근성과 테레인 안에 어떠한 민감 지역이 있는지를 사전에 확인해 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3.5 매스컴 및 관중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의 좋은 대중적 이미지를 주기 위한 노력은 코스 설정자에게 있어서 변하지 않는 일이어야 한다. 코스 설정자는 스포츠로서의 공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관중과 기자에게 경기의 진행을 가능한 한 근접하여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3. 오리엔티어링 코스 (The orienteering course)
3.1 테레인
테레인은 모든 경기자에게 공정한 경기를 제공할 수 있는 지형이 선정되어야 한다. 스포츠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테레인은 주행 가능하고 경기자의 오리엔티어링 기술을 시험하는데 적합하여야 한다.
3.2 오리엔티어링 코스의 정의
오리엔티어링 코스는 스타트, 컨트롤, 그리고 피니쉬에 의해서 정의된다. 테레인에 정확히 설치되고 그 설치 위치가 지도상에 일치되도록 표시된 이러한 포인트들 사이가 선수가 오리엔티어링 해야 하는 코스 구간(leg)이라고 한다.
3.3 스타트
스타트 구역은 다음과 같은 곳에 위치하고 구성되어야 한다.
・워밍업 구역이 있는 곳
・대기중인 선수가 스타트한 사람의 루트 선택을 볼 수 없는 곳
첫 번째 구간의 오리엔티어링을 개시하는 지점은 펀칭기구가 없는 컨트롤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고 지도상에서는 삼각형으로 표시된다.
3.4 코스 구간(leg)
3.4.1 좋은 구간
코스 레그는 오리엔티어링 코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크게는 코스의 질을 결정한다.
좋은 레그는 선수들에게 재미있는 지도 읽기 문제를 제공하고 독자적인 루트 선택의 가능성과 함께 양호한 테레인으로 이끈다.
같은 코스안에 다른 종류의 구간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어떤 것은 지도 읽기 능력을 강조 하거나 또 다른 것은 좀 더 쉽게 루트 선택을 하여 달릴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구간의 거리나 난이도 등에 변화를 주어 선수들이 다양한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주행 스피드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코스 설정자 역시 선수들이 빈번한 방향 전환 및 확인을 반복 하도록 연속된 구간에 대해 대략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수준이 낮은 다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코스보다 몇 개 안되지만 짧은 연결들로 이어진 양질의 구간을 가진 코스가 바람직하다.
3.4.2 구간의 공정성
어떠한 구간도 경쟁적인 조건 아래에서 선수가 지도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어떠한 유리함이나 불리함을 주는 루트 선택이 있도록 해서는 안 된다.
선수가 금지된 구역 또는 위험 지역을 횡단하도록 조장하는 구간은 반드시 피하여야 한다.
3.5 컨트롤
3.5.1 컨트롤 설치 위치
컨트롤은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는 테레인에 있는 특징물에 설치된다. 찾는 순서가 지정되어 있다면 선수들은 각자의 루트선택에 따라서 주어진 순서대로 찾아야 한다. 이것은 신중한 코스 설계와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확인이 요구된다.
특히 지도상에 컨트롤 부근의 지형을 정밀하게 묘사하고 또 컨트롤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각도로부터의 방향과 거리를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만약 지도상에 다른 도움이 되는 특징물이 없는 경우 근접한 거리까지 가야만 볼 수 있는 작은 특징물에 컨트롤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컨트롤은 지도 또는 컨트롤 위치 설명으로부터 판단될 수 없는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는 선수에게 컨트롤 플래그가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해서는 안 된다.
3.5.2 컨트롤의 기능
컨트롤의 주요 기능은 오리엔티어링 구간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것이다.
때로는 다른 특정 목적으로 컨트롤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위험 지역이나 경계 밖의 지역을 선수들이 우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가 있다.
그 외에도 음료를 제공하거나 보도 및 관중을 위한 포인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3.5.3 컨트롤 플래그
컨트롤 장비는 IOF 이벤트 규정을 따라야 한다.
컨트롤 플래그는 가능한 선수가 컨트롤 위치설명에 묘사된 특징물에 도달하였을 때 볼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공정성을 위해서 컨트롤의 가시성은 컨트롤 위치에 선수의 유무에 관계없이 같아야 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컨트롤 플래그가 숨겨져서는 안 된다.:선수가 컨트롤에 이르렀을 때에 플래그를 찾아 헤매지 않도록 해야 한다.
3.5.4 컨트롤 설치 위치의 공정성
컨트롤 설치 위치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서 선택되어야 하며 특히 나가는 선수에 의해 공격해 들어오는 선수가 컨트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예각효과’를 피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3.5.5 컨트롤의 근접
서로 다른 코스의 컨트롤이 너무 근접하여 놓여지면 컨트롤 위치를 향해 정확하게 방향을 잡고 오는 선수를 현혹시키게 될 수 있다. 경기 규정 19.4항에 따라서 컨트롤은 서로 30m이내(지도축척이1:5000 또는1:4000의 경우는 15m 이내)에 들도록 인접하여 설치하여서는 안 된다. 지도에서 뿐만 아니라 테레인에서도 컨트롤 특징물이 뚜렷하게 다를 경우에만 컨트롤은 60m(지도축척이1:5000 또는 1:4000의 경우는 30m) 보다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3.5.6 컨트롤 위치 설명
지도에 표시된 특징물에 관한 컨트롤의 위치는 컨트롤 디스크립션에 의해서 정의된다.
지상의 정확한 컨트롤 특징물과 지도에 표시된 지점은 이론의 여지없이 명백하여야 한다. IOF 컨트롤 식별 기호에 의해서 분명하고 용이하게 정의할 수 없는 컨트롤은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3.6 피니쉬
최소한 루트의 마지막 부분에서 피니쉬 라인까지는 유도 루트가 되어야 한다.
3.7 지도 읽기의 요소
좋은 오리엔티어링 코스는 선수가 레이스 내내 방향을 찾아 운행하는 것에 집중하도록 한다. 선수가 특별히 좋은 루트를 선택한 경우가 아니면 지도 읽기가 필요 없거나 방향 찾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는 구간은 없어야 한다.
3.8 루트 선택
다양한 루트는 선수로 하여금 지도를 사용하여 테레인을 파악하여 그것으로부터 자신의 루트를 결정하도록 한다. 루트 선택은 선수에게 스스로 생각하게 만들고 필드에 분산되도록 하여 앞 선수를 쫓아가는 것을 최소화 한다.
3.9 난이도
어떠한 지형과 지도에서도 코스 설정자는 여러 가지 난이도를 가지는 코스를 설계할 수 있다. 구간의 난이도는 선형 특징물을 따르는 정도를 많게 하거나 적게 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선수들은 지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에서 컨트롤에 접근하는 난이도를 판단할 수 있고 적절한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선수에게 요구되는 기술, 경험, 지도를 상세하게 독해하는 능력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초보자나 어린이를 위한 코스를 설계할 경우에는 난이도의 레벨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3.10 경기 유형
코스 설정은 경기 유형에 따른 특정한 요구사항을 뚜렷이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스프린트나 미들·디스턴스 경기는 코스 전반에 걸쳐 세밀한 지도 읽기와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도록 코스 설정을 한다. 릴레이 경기의 코스 설정은 경기의 진행 과정을 가까이서 주시하고자 하는 관중들의 욕구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 릴레이 코스는 충분한 분기 시스템(Forking system)을 혼합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3.11 코스 설정자가 목표로 해야 하는 것
3.11.1 테레인을 숙지한다.
코스 설정자는 컨트롤이나 구간을 사용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기 전에 그 테레인이 대해서 완전히 정통하고 있어야 한다.
코스 설정자는 경기 당일의 지도와 테레인에 관한 상태들이 코스를 설계했을 당시의 상태와 달라질 수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3.11.2 올바른 난이도를 부여한다.
초보자 및 어린이를 위한 코스를 너무 어렵게 설계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코스 설정자는 자기 자신의 방향 찾기(네비게이션) 능력이나 그 지역을 조사할 때의 걷는 속도를 기준으로 난이도를 판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11.3 공정한 컨트롤 설치 위치를 사용한다.
훌륭한 구간을 만들고자 하는 코스 설정자의 욕구는 종종 부적절한 컨트롤 설치 위치를 사용하게 한다.
선수들은 좋은 구간과 아주 뛰어난 구간과의 차이는 거의 깨닫지 못하지만 컨트롤 설치 위치 또는 플래그가 숨겨져 있거나, 애매함이 있거나, 헷갈리게 하는 컨트롤 위치 설명 등으로 인해 예기치 않았던 시간 손실이 생긴다면 즉시 알아챌 것이다.
3.11.4 충분한 간격을 두고 컨트롤을 설치한다.
컨트롤 식별 번호가 있더라도 컨트롤을 서로 너무 가깝게 설치해서는 안 된다. 자신들의 코스상에서 정확하게 컨트롤 위치에 찾아오는 선수들에게 잘못된 컨트롤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3.11.5 너무 복잡한 루트 선택은 피한다.
코스 설정자는 결코 사용되지 않을 루트를 보고 그것 때문에 난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을 소비할지도 모른다. 반면에 선수들은 차선의 루트를 선택하고 그로 인해서 루트를 계획하는 시간을 절약 할지도 모른다.
3.11.6 과도한 체력을 요구하지 않는 코스로 한다.
코스는 일반적으로 선수들이 그들의 능력에 맞게 대부분의 코스를 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코스의 전체 등행거리는 일반적으로 가장 짧은 루트 거리의 4%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마스터즈 클래스에서는 참가자들의 연령 증가에 맞춰 코스의 체력적인 난이도를 점진적으로 낮추어야 한다. M70 이상, 그리고 W65 이상의 클래스를 위한 코스는 체력적인 요구가 너무 과도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4. 코스 설정자 (The course planner)
코스 설정 책임자는 개인적으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로부터 습득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좋은 코스의 품질에 대해서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코스 설정자는 코스 설정의 이론뿐만 아니라 클래스별 및 경기 유형별로 특별히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코스 설정자는 경기장 내에서 경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예를 들어 테레인의 상태, 지도의 품질, 참가자와 관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해서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코스 설정자는 코스와 스타트로부터 피니쉬 라인까지의 경기 진행에 대한 책임이 있다. 코스 설정자의 일은 반드시 콘트롤러에 의해서 점검 되어야 한다. 이것은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실수가 수많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부록3: 좋은 환경 실천을 위한 IOF 결의문 (IOF resolution on good environmental practice)
국제 오리엔티어링 연맹은 1996년 4월12-14일의 회의에서 오리엔티어링의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유지 보존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1995년 10월 26일 GAISF 환경 결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채택하였다.
· 건강한 환경 보존에 대한 필요성를 인식하고 이 원칙을 오리엔티어링 기본 행동규범 속에 포함한다.
· 경기 규정과 대회를 준비함에 있어 최상의 실천은 동식물을 보호하고 환경 존중의 원칙과 조화를 이루는 것임을 확고히 한다.
· 환경보호를 위한 최상의 실천 방법이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도록 땅 소유주, 행정 당국 그리고 환경 기구와 협력한다.
· 환경보호를 위한 지방자치 규정을 준수하고 쓰레기 발생이 없는 오리엔티어링의 특성 유지 및 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 오리엔티어 및 임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에 환경보호 실천을 포함한다.
· 환경에 민감한 농촌지방의 사용에 있어서 오리엔티어링의 환경 친화적인 원칙을 보급하고 적용, 채택하기 위하여 각국 연맹의 세계적인 환경 문제의 인식을 고취한다.
· 각국 연맹은 자국 고유의 환경보호 실천 지침을 마련하고 그것을 따르는 것을 추천한다.
부록 4: 공인된 펀칭시스템 (Approved punching systems)
[경기 규정 20.1항에 ‘IOF가 승인한 전자 펀칭 시스템만 사용하여야 한다.’]
・ 2014년 1월 기준 승인된 컨트롤 펀칭 시스템은 아래와 같다.
・ Emit Electronic Punching & Timing system
・ SportIdent system
・ 최근 승인된 버전의 상세 내용은 IOF 홈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 상기 이외의 컨트롤 펀칭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사전에 IOF 규정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 Emit system의 경우 백업 마킹용으로 경기자의 전자 컨트롤 카드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은 경기중 일어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물에 잠기는 사례 포함). 만약 전자 펀치가 이상이 있을 때 백업 카드에 마킹이 명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은 경기자의 책임이다.
・ SportIdent system 의 경우 각 컨트롤에 백업용 핀 펀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경기자는 전자 펀치의 피드백 시그널을 확인할 때까지 전자 카드를 뽑지 않아야 하며 이것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경기자의 책임이다. 만약 피드백 시그널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백업 펀치를 사용해야 한다.
・ 컨트롤 카드는 모든 컨트롤을 찾았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 주어야 한다. 컨트롤 펀칭을 하지않았거나 불확실한 경우 펀칭 미스 및 불확실한 펀치가 경기자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할 수 없으면 순위에서 제외된다. 예외적으로 컨트롤 심판 또는 카메라 또는 컨트롤 유닛에서 읽어낸 기록 등이 컨트롤을 찾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어떠한 증거들도 인정되지 않고 경기자는 실격이 된다. SportIdent system 의 경우 이 규정은 이하를 의미한다.
・ 1개의 유닛이 고장인 경우 경기자는 준비되어 있는 백업을 사용하여야 하며 펀칭한 기록이 없으면 실격이 된다.
・ 경기자의 펀칭 행위가 너무 빨라서 피드백 시그널을 받지 못한 경우 카드에 펀칭을 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경기자는 실격이 된다. (비록 컨트롤 유닛에 경기자의 카드 번호가 기록될 수 있더라도)
부록 5: 라이프니츠 협정 (The Leibnitz Convention)
2000년 8월 4일 오스트리아의 라이프니츠에서 개최된 제20회 IOF 총회에 참석한 우리 IOF 멤버는 아래와 같이 선언한다.
오리엔티어링을 보다 많은 사람들과 새로운 지역으로 확대하여 스포츠로서의 인지도를 높이는일과 올림픽 종목에 들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는 다음과 같다.
・경기자, 임원, 미디어, 관객, 스폰서, 외부 파트너들을 위한 높은 수준의 매력적이고 흥미진진한 오리엔티어링 대회를 개최하는 것.
・ TV나 인터넷을 위한 매력적인 IOF 이벤트를 만드는 것.
우리의 목표은 다음과 같다..
・이벤트를 사람들이 있는곳 가까이에서 개최하여 우리 스포츠의 비저빌러티를 증가시킨다. .
・대회 시설의 디자인과 품질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대회장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든다.
・대회장에 스타트와 피니쉬를 마련하여 대회장이 열광적인 분위기가 되도록 개선한다.
・흥미진진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대회장이 보다 많고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텔레비전과 다른 미디어로의 보도 범위를 높인다.
・미디어 취재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더 나은 Catering으로 미디어 서비스를 개선한다(통신시설, 스타트/finish 및 숲에서의 선수들 접근, 연속적인 중간기록 정보, 음식과 음료의 제공 등의 측면에서).
・ IOF 이벤트에 연관된 스폰서나 외부 파트너들의 홍보에 많은 주위를 기울인다.
우리 IOF의 멤버는 이러한 대책들이 향후 모든 IOF 이벤트의 주최자에 의해서 고려될 것을 기대한다.
부록6: 경기 형식 (Competition Format)
SUMMARY TABLE | Sprint | Middle Distance | Long Distance | Relay | Sprint Relay |
Controls | 기술적으로 쉬움 | 시종일관 기술적으로 어려움 |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혼합됨 |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혼합됨 | 기술적으로 쉬움 |
Route Choice | 루트 선택이 어렵고 높은 집중력이 요구됨 | 중,소규모의 루트 선택 | 대규모의 루트 선택을 포함하고 루트 선택이 중요 | 중,소규모의 루트 선택 | 루트 선택이 어렵고 높은 집중력이 요구됨 |
Type of Running | 매우 빠른 속도 | 빠른 속도이지만 테레인의 복잡성에 대응한 스피드의 조정이 요구됨 | 체력이 요구됨. 지구력과 페이스 배분의 판단이 필요함 | 빠른 속도. 같은 컨트롤을 찾거나 하기 때문에 자주 다른 주자와 가까이 근접함 | 매우 빠른 속도 |
Terrain | 대개 아주 달리기 쉬운 공원이나 도시(도로, 건물) 지형. 빠르게 달릴수 있는 숲도 포함 됨. 관중이 코스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됨 | 기술적으로 복잡한 지형 | 좋은 루트 선택 가능성을 제공하고 체력적으로 터프한 지형 | 어느정도 루트 선택 가능성을 제공하고 적당히 복잡한 지형 | 대개 아주 달리기 쉬운 공원이나 도시(도로, 건물) 지형. 빠르게 달릴수 있는 숲도 포함 됨. 관중이 코스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됨 |
Map | 1:4000 또는 1:5000 | 1:10000 (때로는1:15000) | 1:15000 | 1:10000 (때로는 1:15000) | 1:4000 또는 1:5000 |
Start Interval | 1 분 | 2 분 | 3 분 | Mass start | Mass start |
Timing | 1 초 | 1 초 | 1 초 | 매스 스타트이므로 도착순서는 Finish 라인을 통과한 순서가 됨 | 매스 스타트이므로 도착순서는 Finish 라인을 통과한 순서가 됨 |
Winning Time | 12-15분 | 30-35분 | 남자 90-100분 | 각 주자당 30-40분 | 각 주자당 12-15분 합계 55-60분 |
Summary | 스프린트 오리엔티어링은 빠르고, 보기 쉽고, 구성이 알기 쉽고, 많은 관객이 있는 장소에서 개최할 수 있음 | 미들 디스턴스 오리엔티어링은 적당히 긴시간과 빠르고 정확한 오리엔티어링이 요구된다. 작은 실수조차 결과에 치명적으로 작용함 | 롱 디스턴스 오리엔티어링은 모든 오리엔티어링 기술 뿐만 아니라 스피드와 체력적인 지구력을 시험함 | 릴레이 오리엔티어링은 결승점을 먼저 통과한 팀이 이기는 방식을 기본으로 3명의 러너가 한 팀이 되어 정면 대결을 하는 경기임. 관객이나 경기자 모두에게 익사이팅한 경기임 | 스프린트 릴레이는 4명의 선수가 한 팀이 되어 대결하는 경기임. 한 팀에는 최소한 2명의 여자가 포함되어야 하고 첫 번째와 마지막 주자는 여자로 해야함. |
1. SPRINT
1.1 개요
스프린트 경기는 빠른 속도에 중점을 둔다. 스프린트는 경기자가 빠르게 달리면서 복잡한 상황하에서 지도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과 루트 선택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시험한다. 코스는 경기 전반에 걸쳐 속도의 요소가 유지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코스에는 오르막 구간이 포함되어도 되지만 경기자가 걷지 않으면 진행할 수 없는 급사면은 피해야 한다. 컨트롤을 찾는 것이 해결과제가 아니라 최선의 루트를 선택해서 코스를 완주하도록 하는 것을 요구해야 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로부터의 가장 확실한 출구가 반드시 가장 유리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코스는 경기 전반에 걸쳐서 경기자에게 높은 집중력을 요구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도전 과제를 제공할 수 없는 환경은 스프린트에 적합하지 않다.
1.2 코스 플랜 고려사항
스프린트 경기는 코스를 따라서 관중의 접근이 허용된다. 코스 설정은 그 점을 고려하여 모든 컨트롤을 유인 컨트롤로 한다. 중요한 통로에서는 경기자의 접근을 보고 관객에게 경고하여 경기자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감시 요원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출발 지점은 대회장에 있어야 하고 관중석은 코스를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가설 스탠드를 설치하고 코스 실황 아나운서를 둔다면 관중들에게 있어서의 가치는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대회장에서는 관중석과 기자/사진기자석 모두 경기가 실황중계 된다. 코스는 경기자로 하여금 사유지나 출입 금지 지역을 통과하여 지름길을 취하는 것을 부추기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만약 그런 우려가 있을 경우 문제가 있는 장소에 심판을 배치하여 사전에 그런 시도를 예방하도록 하여야 한다. 너무 복잡하여 경기자가 고속으로 달리면서 지도를 해석할 수 없을 것 같은 장소(예를 들면 복잡한 3차원 구조가 있을 때)는 피해야 한다.
1.3 지도
지도는 스프린트 지도제작 규정(ISSOM)에 따라야 한다. 지도의 축척은1:4000 또는 1:5000 이다. 지도는 정확해야 하고 빠른 속도에서도 읽을 수 있어야 하며 루트 선택과 스피드에 영향을 주는 특징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시가 아닌 지역에서는 달리는 스피드를 떨어뜨리게 되는 상황에 대해서 그 정도와 범위를 올바르게 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 지역에서는 통과를 방해하는 장애물은 정확하게 표시되어야 하고 그 크기에 맞게 그려져야 한다.
1.4 우승설정시간, 출발간격과 계시
우승설정 시간은 남녀 모두 12~15분이며 되도록이면 그 중 약간 짧은 쪽으로 한다. WOC와 월드컵에서는 예선과 결승의 우승설정 시간 차이는 없다. 출발간격은 1분이고 개인경기이다. 계시는 통상 1초 단위로 행해지지만 WOC 결승에서는 0.1초 단위로 하고 출발 게이트와 빔 피니쉬 라인과 함께 계시 수단으로 전자장비를 사용한다. 경기자는 출발 게이트를 통과하고 나서 지도를 볼 수 있다.
2. MIDDLE DISTANCE
2.1 개요
미들 디스턴스 경기는 테크닉에 중점을 둔다. 도회지가 아닌 지역(주로 삼림지역)에서 실시하며 정확한 방향찾기 능력이 강조되고 컨트롤을 찾는 것이 도전과제가 되도록 코스를 설계한다. 지도 읽기에 일관된 집중이 필요하고 컨트롤로 향하거나 또는 떨어지는 방향이 수시로 변화한다. 루트 선택이라는 요소가 중요하지만 오리엔티어링 기술을 구사하는 것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 루트 그 자체가 방향찾기 기술 구사를 수반하도록 해야 한다. 코스는 속도의 변화가 필요한데, 예를 들면 다른 타입의 식생을 통과하는 구간으로 속도의 변화를 준다.
2.2 코스 플랜 고려사항
경기자가 골인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코스 중간에 경기하는 모습도 관중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출발은 대회장에서 하며 경기 도중에 경기자가 대회장을 통과하도록 코스를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회장 선정은 적합한 테레인을 제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관중에게 주자들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곳인지, 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관중은 대회장을 횡단하는 부분을 제외한 코스에서의 관전은 허용되지 않는다(대회장에 있는 컨트롤을 포함).
2.3 지도
지도는 국제 오리엔티어링 지도제작 규정(ISOM)에 따라야 한다. 지도의 축척은1:10000이다.테레인은 1:15000 축척으로 작도 된 다음 ISOM의 규정에 따라 확대되어야 한다.
2.4 우승설정시간, 출발간격과 계시
우승설정 시간은 남녀 모두 30~35분이다. WOC 와 월드컵 이벤트에서는 예선전 우승설정 시간은 25분으로 한다. 출발간격은 2 분 이고 개인 경기이다. 계시는 통상 1 초 단위로 행해진다. 경기자는 출발 게이트를 통과하고 나서 지도를 볼 수 있다.
3 LONG DISTANCE
3.1 개요
롱 디스턴스 경기는 지구력에 중점을 둔다. 야외(주로 삼림지역)에서 실시하고 경기자의 효율적인 루트 선택 능력, 지도를 읽고 해석하는 힘, 긴 육체적 어려움 속에서 지구력을 유지하고 레이스를 운영하는 능력이 시험 받는다. 이 경기는 거칠고 가능하면 기복이 있는 테레인에서 루트 선택과 방향찾기 능력이 강조된다. 컨트롤은 어려운 루트 선택이 있는 롱 구간(Leg)의 종착점이며 반드시 발견이 어려울 필요는 없다. 롱 디스턴스는 부분적으로 미들 디스턴스의 요소를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코스는 갑자기 루트 선택 오리엔티어링 패턴에서 보다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있는 구간으로 변화하게 된다.
3.2 코스 플랜 고려사항
경기자가 골인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코스 중간에 경기하는 모습도 관중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출발은 대회장에서 하며 경기 도중에 경기자가 대회장을 통과하도록 코스를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롱 디스턴스 특유의 요소는 평균의 구간(Leg)길이보다 훨씬 긴 롱 구간(Leg)이 있다는 점이다. 롱 구간은 테레인의 성질에 따라 1.5km~3.5km의 길이에 이른다. 복수의 그 같은 롱 구간이 코스의 일부를 구성한다(거기서도 선택한 루트상에서의 지도 읽기의 집중력은 요구된다). 롱 구간의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그룹을 형성한 경기자를 분산시키는 코스 설정 기술이다. 버터플라이 루프는 그런 분산 기술의 하나다. 시야가 제한적인 지역을 코스에 넣어 테레인 자체를 분산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관중은 대회장을 횡단하는 부분을 제외한 코스에서의 관전은 허용되지 않는다(대회장에 있는 컨트롤을 포함).
3.3 지도
지도는 국제 오리엔티어링 지도제작 규정(ISOM)에 따라야 한다. 지도의 축척은1:15000이다.
3.4 우승설정시간, 출발간격과 계시
우승설정 시간은 여자는 70~80분, 남자는 90~100분이다. WOC 와 월드컵 이벤트에서는 예선전의 우승설정 시간은 여자 45분, 남자 60분으로 한다. 출발간격은 3 분 이고 개인 경기이다. 경기자는 출발 게이트를 통과하고 나서 지도를 볼 수 있다.
4 RELAY
4.1 개요
릴레이는 팀 경기에 중점을 둔다. 릴레이는 거리가 아닌 장소(많은 경우 삼림)에서 행해진다.이 형식은 기술적 요구의 컨셉으로 행해져 롱 디스턴스보다는 미들 다스턴스의 컨셉에 가깝다.경기자가 직접 접촉없이 추월할 수 있도록 비교적 긴 루트선택 구간과 같은 롱 디스턴스의 특징도 겸비해야 한다. 경기자가 서로의 눈 맞춤을 놓칠 수 있는 특징(식생 밀집지역이나 많은 오르내림 지역 등과 같은)을 가지는 테레인이 좋은 릴레이 테레인이다. 계속해서 전망이 좋은 테레인은 릴레이에 적합한 테레인이 아니다.
4.2 코스 플랜 고려사항
릴레이는 팀간 직접 정면승부를 하는 경기이며 먼저 도착한 팀이 승자가 되는 관중 친화적인 경기이다. 대회장 레이아웃과 코스 설정은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예를 들면 포크 형식의 경우 다른 코스의 소요 시간 차이를 작게 해야 한다). 경기자는 각 주자들 모두 대회장을 횡단하도록해야 하고 가능하면 경기자가 최종 컨트롤에 접근하는 것을 대회장에서부터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수의 중간 계시(가능하면 실황중계자와 함께)를 준비해야 한다(대회장의 스크린에 보여주는 TV 제어장치도 포함하여). 단체출발 형식이기 때문에 경기자를 분산시키는 코스플랜의 테크닉(예를 들면 포킹 같은)이 필요하다. 유력팀은 신중하게 다른 포킹 패턴에 할당해야 한다. 공평함을 유지하기 위해 최종 주자의 마지막 부분은 모든 경기자에게 동일해야 한다. 관중은 대회장을 횡단하는(대회장내의 컨트롤을 포함) 장소 이외에서 코스를 따라 관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4.3 지도
지도는 국제 오리엔티어링 지도제작 규정(ISOM)에 따라야 한다. 지도의 축척은1:15000 또는1:10000이다. 지도 축척은 코스 설계의 복잡함을 기본으로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컨트롤간이 근접한 짧은 구간이 있는 경우 큰 축척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1:10000을 사용하는 경우 테레인은 1:15000 축척으로 작도되어 ISOM의 규정에 따라 확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4 우승설정시간, 출발간격과 계시
우승설정 시간(우승팀의 합계시간)은 여자 120분, 남자 135분이다. 이 합계시간의 범위 내에서 주자(주순) 간의 시간은 차이가 나도 괜찮다. 다만 어느 주자도 40분보다 길고 또는 30분보다 짧게 해서는 안 된다. 릴레이는 단체출발 형식이고 남녀 모두 3레그(3명)로 구성된다. WOC에서는 계시는 전자식이 바람직하지만 수동 시스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결승선에서는 정확한 순위 판정을 보조하기 위한 사진 촬영 장비를 준비해야 한다.
5. SPRINT RELAY
5.1 개요
스프린트 릴레이의 특징은 혼성팀간의 빠른속도 경기에 중점을 둔다. 경기는 도회지 또는 공원에서 실시된다. 그 형식은 스프린트와 릴레이 컨셉을 조합시킨 형식이다. 한 팀은 4명의 주자로 구성되며 첫 번째 주자와 마지막 주자는 여성으로 해야 한다.
5.2 코스 플랜 고려사항
경기를 위해 비교적 작은 지역이 필요하다(특히 대회장 통로의 사용과 함께). 이 이벤트는 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TV 카메라가 코스의 최소 70~80%를 커버 할 수 있어야 한다. 경기는 75분의 생방송을 기본으로 대회장 중계 개념으로 해야 한다. 그 중 15분은 소개나 인터뷰, 시상식 방송에 할당되어야 한다. 대회장 통로는 가능하면 너무 많은 코스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코스에 대한 포괄적인 TV 보도가 있는 경우 대회장 통로는 항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또한 코스 계획을 위한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더 많은 도전적인 코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도의 각 측면에 인쇄된 하나의 루프와 함께 아레나 통로가 있는 경우에 주자 당 두 개의 루프가 사용되어야 한다. 코스는 포크 형식으로 해야 한다. GPStracking이 필요하며 "터치 프리” 펀칭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5.3 지도
Sprint 1.3항 참조
5.4 우승설정시간, 출발간격과 계시
우승설정 시간(우승팀의 합계시간)은 55~60분이다. (여성에 의해 실행되는) 첫 번째와 마지막 주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주자보다 조금 더 짧게 해야 하므로 각각의 주자에 대한 소요 시간은 12~15분으로 한다. WOC에서의 계시는 전자식이 바람직하지만 수동 시스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결승선에서는 정확한 순위 판정을 보조하기 위한 사진 촬영 장비를 준비해야 한다..
부록 7: 유럽 오리엔티어링 선수권대회(The European Orienteering Championships)
유럽 오리엔티어링 선수권대회(약칭 EOC)는 오리엔티어링의 유럽 챔피언의 타이틀을 결정하는 공식 대회이다. EOC는 유럽 Working Group(약칭 EWG)에서 지명된 연맹에 의해 IOF의 감독하에 운영된다.
이 규정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Foot 오리엔티어링 대회를 위한 IOF 경기 규정’을 따른다.
1. EOC의 대회규범
선수권은 아래의 규범에 따라 운영되는 것으로 한다.
・참가자에게 국제적인 기술 수준의 대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주최자는 이동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하고 경기자, 리더, 그 외의 오리엔티어링 관계자가 숲 밖에서도 만날 수 있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컴팩트한 선수권 모델의 디자인을 따른다.
・참가비용은 저렴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여러 수준의 숙박시설과 가격이 제공되어야 한다.
2. 이벤트 프로그램
대회는 매 2년 마다 짝수해에 개최된다. 프로그램은 7일 이내에 Relay, Long, Middle, Sprint 경기가 포함되어야 한다.
개인전 경기는 예선전을 하여 A-결승, B-결승으로 운영된다. 선수권은 이 규정에 특별히 정해지지 않는 한 세계선수권대회(WOC)에 적용되는 IOF 경기규정을 따른다. 각 경기는 분리된 하나의 이벤트이다. EOC의 개최 날짜는 다른 국제 이벤트와 상호 조율되어 IOF에 의해 최종적으로 승인된다.
3. 이벤트 유치 신청과 주최자의 선정
IOF 회원국인 유럽의 연맹이라면 EOC의 유치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서는 대회 3년전의 1월 1일 이전까지 IOF 사무국에 제출되어야 한다. EOF의 연례 회의에서 주최자가 예비 선정된다. 예비 선정된 후에는 주최자의 협약서에 서명하고 IOF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시니어 이벤트 어드바이저가 IOF에 의해 지명된다.
4. 참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유럽 대륙에 속한 것으로 정의된 IOF 회원국(정가맹 및 준가맹국)의 대표들이 EOC에 참가할 수 있다.
유럽 이외의 IOF 회원국 대표 선수들도 EOC에 참가할 수는 있지만 아시아의 타이틀, 메달, 상장의 수여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개인전 경기에는 한 연맹당 각 클래스별로 최대 6명까지 참가할 수 있다. 현 유럽챔피언은 소속 연맹의 참가 정원외에 추가로 다음 EOC에 참가할 수 있는 와일드 카드가 부여된다(그 경우 하나의 스타트 그룹에 같은 연맹 소속인 3명의 선수가 있을 수 있다).
각 개인전 경기에서 예선 각 조의 17위까지가 A-결승에 진출할 수 있고 그 외의 경기자는 B-결승에 들어간다. 예선전에 출전하여 스타트했지만 순위에 들지 못한 경기자는 B-결승에 참가하여 예선 순위에 랭크된 경기자에 앞서서 스타트 할 수 있지만 결과 리스트에는 등외로 표시된다.
릴레이에서는 한 연맹당 2팀(팀당 3명으로 구성)이 참가할 수 있지만 그 중 가장 좋은 성적을 낸 팀만이 시상 대상이 된다. 인원수가 부족한 팀과 하나의 연맹이 아닌 2개 이상의 연맹으로 구성된 팀은 참가할 수 없다.
5. 결과
경기에 비유럽권 선수가 참가한 경우 경기결과는 두 개로 분리하여 발행한다. 하나는 비유럽권 선수를 제외한 EOC의 경기결과를 보여주고 다른 하나는 비유럽권 선수까지 포함한 경기결과를 보여주도록 한다.
6. 시상
주최자는 EWG에 의해 제공된 특별하게 디자인 된 메달의 비용을 지불하고 메달은 모든 개인전 경기의 각 클래스 3 위까지, 릴레이에서는 각 클래스 3위 팀까지의 모든 선수들에게 수여되고 상장은 1위에서 6위까지 수여된다.
7. 심판 위원
심판 위원은 각기 다른 연맹으로부터 3명의 투표 인원으로 구성된다. 2명은 IOF Council에 의해서 임명되고 1명은 주최자의 연맹에서 임명된다.
8. 월드 컵
EOC의 일부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기가 World Cup 시리즈의 경기로 IOF에 의해 지정된 경우 적용되는 규정은 IOF에 의해서 정해진다.
부록 8: 아시아 오리엔티어링 선수권대회(The Asian Orienteering Championships)
아시아 오리엔티어링 선수권대회(약칭 AsOC)는 오리엔티어링의 아시아 챔피언의 타이틀을 결정하는 공식 대회이다. AsOC는 아시아 지역 Working Group을 통한 IOF의 후원 아래 지명된 IOF의 회원 연맹에 의해 개최된다.
이 규정은 남자 엘리트 클래스와 여자 엘리트 클래스에 적용한다.
1. AsOC의 대회규범
선수권은 아래의 규범에 따라 운영되는 것으로 한다.
・참가자에게 국제적인 기술 수준의 대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선수권은 경쟁적인 오리엔티어링의 발전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 전체의 오리엔티어링 성장을 목표로 한다.
・참가비용은 저렴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여러 수준의 숙박시설과 가격이 제공되어야 한다.
・선수권은 아시아 지역 회원 연맹에서 더 많은 참여를 장려하는 것이 목적이다.
2. 이벤트 프로그램
대회는 매 2년마다 짝수해에 개최된다. 프로그램은 최소한 Relay를 포함하여 Long 또는 Middle, Sprint 경기로 한다. 주최 연맹은 연맹의 상황과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따라 Long 또는 Middle 경기를 선택할 수 있다.
Long/Middle, Sprint는 결승 경기만 실시한다. 릴레이는 각 팀당 3 명으로 구성한다. 대회는 이 규정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IOF 경기 규정을 따른다. AsOC의 날짜는 다른 국제 이벤트와 조율되어야 하고 최종적으로 IOF에 의해서 승인된다.
3. 이벤트 유치 신청과 주최자의 선정
IOF 회원국인 아시아의 연맹이라면 AsOC 유치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서는 대회 2년전의 1월 1일 이전까지 IOF 사무국에 제출되어야 한다. 주최자 또는 주최연맹의 임시 선정은 같은해 10월 31일까지 아시아 지역 회의에서 이루어진다. 임시로 선정된 주최자 또는 주최연맹은 이벤트 운영 계약 6개월 이내에 서명을 함으로써 확정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시아 지역회의에서는 다른 주최자로 대체 선정할 수 있다. 이벤트 감독을 위해 다른 연맹 소속의 인가된 이벤트 어드바이저가 IOF에 의해 지명된다.
4. 참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아시아 대륙에 속한 것으로 정의된 IOF 회원국(정가맹 및 준가맹국)의 대표들이 AsOC에 참가할 수 있다.
아시아 이외의 IOF 회원국 대표 선수들도 AsOC에 참가할 수는 있지만 아시아의 타이틀, 메달, 상장의 수여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개인전 경기에는 각 연맹에서 여자 10명, 남자 10명까지 참가할 수 있다.
릴레이에는 각 연맹에서 남자, 여자별로 최대 2개팀씩 참가할 수 있지만 그 중 가장 좋은 성적의 팀만이 시상 대상이 된다.
팀 임원의 인원수는 제한이 없다.
5. 스타트 순서
개인전 경기의 스타트 순서는 임의로 추첨된다. 추첨은 3개의 스타트 그룹(초기, 중기, 말기)으로 나누어 실시된다.
6. 심판 위원
심판 위원은 IOF Council에 의해서 임명된다. 주최자는 3명의 투표 위원을 제시한다.
7. 시상
주최자는 특별하게 디자인 된 메달 또는 그 유사한 것을 준비하고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메달은 모든 개인전 경기의 각 클래스 3 위까지, 릴레이에서는 각 클래스 3위 팀까지의 모든 선수들에게 수여되고 상장은 1위에서 6위까지 수여된다.
주요 메이저 대회 규정 색인(Index to major event rules)
이 색인은 일반적으로 세계 오리엔티어링 선수권(WOC), 오리엔티어링 월드컵(WCup), 쥬니어 세계 오리엔티어링 선수권(JWOC), 세계 마스터 토너먼트 오리엔티어링 선수권(WMOC) 또는 세계 랭킹 이벤트(WRE)에만 적용되는 규정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이벤트에 대한 경기 규정의 유효성은 2.1항에 정의되어 있고 이 색인에 어떠한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결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총칙 | WOC | WCup | JWOC | WMOC | WRE |
Accommodation | 7.7, 9.4 |
| 7.7, 9.4 |
|
|
Advertising & sponsorship | 33.1, 33.2 | 33.1, 33.2 | 33.1, 33.2 | 33.1, 33.2 | 33.1, 33.2 |
Application to organise | 4.2, 4.5 | 4.2, 4.6 | 4.2, 4.7 | 4.2, 4.7 | 4.2, 4.8 |
Bulletins | 8.1–8.7 | 8.1, 8.2, 8.4–8.6, 8.8 | 8.1–8.7 | 8.1, 8.9, 8.10, 8.12, 8.13 | 8.1, 8.9, 8.11, 8.12, 8.13 |
Classes | 5.7 | 5.7 | 5.2, 5.8 | 5.3, 5.9 | 5.4, 5.5, 5.6 |
Control descriptions | 18.1–18.4 | 18.1–18.4 | 18.1–18.4 | 18.1–18.4 | 18.1–18.4 |
Control proximity & security | 19.4, 19.10 | 19.4, 19.10 | 19.4, 19.10 | 19.4, 19.10 | 19.4, 19.10 |
Costs | 7.1–7.8 | 7.1–7.6, 7.8 | 7.1–7.6, 7.8 | 7.1–7.6, 7.8 | 7.1–7.6, 7.8 |
Course planning | 16.1–16.9 | 16.1–16.5, 16.7, 16.9 | 16.1–16.7, 16.10 | 16.1–16.5, 16.11 | 16.1–16.4, 16.7 |
Definition | 1.9 | 1.10 | 1.11, 2.14 | 1.12 | 1.14 |
Deviations from rules | 2.11, 2.12 | 2.11, 2.12 | 2.11, 2.12 | 2.11, 2.12 | 2.11, 2.12 |
Eligibility | 6.1, 6.2, 9.2 | 6.1, 6.2, 6.8, 9.2 | 6.1, 6.2, 9.2 | 9.2 | 9.2 |
Entries | 9.1–9.3, 9.5–9.9 | 9.1–9.3, 9.5–9.8 | 9.1–9.3, 9.5–9.9 | 9.1–9.3, 9.15 | 9.1–9.3 |
Event Advisers – no of visits | 31.9, 31.12 | 31.9 | 31.9 | 31.9 | 31.9 |
Event Advisers – costs | 7.5, 7.6 | 7.5, 7.6 | 7.5, 7.6 | 7.5, 7.6 | 7.5, 7.6 |
Finish Timing | 23.5–23.9 | 23.5–23.7, 23.9 | 23.5–23.7, 23.9 | 23.5, 23.6 | 23.5, 23.6 |
Guidelines | 2.12 | 2.12 | 2.12, 2.14 | 2.12 | 2.12 |
Heats-allocation | 12.7, 12.11 |
| 12.7, 12.11 | 12.17 |
|
Heats-courses | 16.5 | 16.5 | 16.5 | 16.5 | 16.5 |
Heats-number | 3.7 |
| 3.8 | 12.17 |
|
Jury membership | 29.3, 29.10, 29.12 | 29.3, 29.13 | 29.3, 29.11, 29.12 | 29.3, 29.11 | 29.3, 29.14 |
Maps | 15.1–15.7, 15.9 | 15.1–15.7, 15.9 | 15.1–15.7, 15.9 | 15.1–15.9 | 15.1–15.7 |
Model event | 11.1–11.6 | 11.1–11.5 | 11.1–11.5 | 11.1–11.5 | 11.1–11.5 |
Participants-number | 6.6 | 6.8 | 6.10 |
|
|
Prizes and titles | 25.1–25.4 25.7–25.10 | 25.1–25.3, 25.11, 25.12 | 25.1–25.3, 25.5, 25.7, 25.9, 25.10, 25.13 | 25.1–25.3, 25.14 | 25.1–25.3 |
Programme | 3.1, 3.2 | 3.1, 3.3–3.5 | 3.1, 3.6, 6.11 | 3.1, 3.9 | 3.1, 3.11 |
Qualifying for final | 6.6 |
| 6.12 | 6.14 |
|
| WOC | WCup | JWOC | WMOC | WRE |
Quarantine zones | 22.16 | 22.16 | 22.16 |
|
|
Refreshments on courses | 19.8, 19.9 | 19.8, 19.9 | 19.8, 19.9 | 19.8, 19.9 | 19.8, 19.9 |
Relay teams – after disqualification | 22.14 |
|
|
|
|
Relay teams-incomplete and mixed | 6.7 |
| 6.13, 12.13, 24.11 |
|
|
Relay teams-number | 6.7 |
| 6.10, 24.12 |
|
|
Replacement of competitors | 9.10–9.13 | 9.10, 9.12 | 9.10–9.13 |
|
|
Reports | 32.1–32.3, 32.5 | 32.1–32.3 | 32.1–32.3 | 32.1, 32.2, 32.4 | 32.1, 32.2 |
Scoring systems |
| 24.10 | 24.11–24.13 |
|
|
Start draw | 9.14, 12.2–12.12 | 12.2, 12.4, 12.8, 12.10 | 9.14, 12.2–12.12 | 12.2–12.4, 12.8, 12.17 | 12.2–12.4, 12.8 |
Start interval | 12.15 | 12.14 | 12.14, 12.16 | 12.18 | 12.14 |
Starting group allocation | 9.8, 9.10, 9.14 | 9.8, 9.10 | 9.8, 9.10, 9.14 |
|
|
Starting order | 12.5–12.9 |
| 12.5–12.9 | 12.8, 12.17 | 12.8 |
Team changes | 9.7, 9.13 | 9.7 | 9.7, 9.13 |
|
|
Team officials’ meetings | 13.1–13.3 | 13.1–13.3 | 13.1–13.3 | 13.4 | 13.4 |
Team size | 6.5 | 6.8 | 6.9 |
|
|
Times-winning and maximum | 16.9, 22.13, 23.13 | 16.9, 23.11 | 16.10, 22.13, 23.11 | 16.11, 23.11 | 23.11 |
Transport | 10.1–10.4 | 10.1, 10.3, 10.4 | 10.1–10.4 | 10.4 | 10.4 |
Significant changes to the previous printed version (January 2013)
Rule references are to the new January 2014 rules (unless otherwise stated).
· 1.8 The World Games abbreviation is now TWG
· 2.10 Inclusion of IOF Protocol Guide
· 3.2 WOC has no qualification races for Middle and Long distance. New Sprint Relay.
· 3.6 JWOC Sprint and Long distance are single race competitions.
· 6.5 WOC The number of competitors in a team is unlimited.
· 6.7 WOC New rule about participation in Middle and Long distance.
· 6.8 WOC New rule about participation in the Sprint Relay.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6.13 JWOC Rule deleted (incorporated in 3.6).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10.2 WOC JWOC Clarification that the teams may have to pay for transport from the airport or railway station.
· 12.5 WOC Starting order for Middle and Long distance.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12.14 WOC In the Sprint Relay the first and last legs shall be run by women
· 16.9 WOC Winning times added for Sprint Relay.
· 16.10 JWOC relay times same as WOC.
· 19.4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ontrols is measured in a straight line.
· 22.4 Clock at pre-start shows call-up time
· 23.9 JWOC Sprint final may use 0.1 second timing.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24.15 A section of course may be eliminated if it has been specified in advance e.g. the section including a road crossing
· 25.4 WOC New Sprint Relay champions
· 25.11 Revised prizes for the individual World Cup events
· 25.12 Revised prizes for the overall World Cup
· 26.14 Competitors and officials may not participate in betting.
· 32.3 & 32.4 Organisers shall send a short report to the IOF.
· Appendix 6 Sprint Relay format defined
Significant changes to the previous printed version (January 2011)
Rule references are to the new January 2013 rules (unless otherwise stated).
· 1.5 References to micr-o removed
· JWOC 6.12 C-Final added for Middle Distance
· 8.3/8.4/8.5/8.12/8.13 No need for fax number in Bulletins (or address in early Bulletins)
· WMOC WRE 8.9-8.13 Bulletins renumbered as Bulletin 1 and Bulletin 2
· 18.4 Control Descriptions shall be available at the pre-start or in the Start Lanes
· Old WRE 18.5 Rule replaced by 18.4
· 19.6 Minimum height of control codes reduced to 3 cm
· WOC WCup JWOC 21.5 Competitors may not wear the team clothing of another Federation.
· 28.3 Time limit for Protests reduced from 1 hour to 15 minutes
· 29.11 Full WMOC jury is appointed by IOF Council
· 31.8 Extra point: To approve the official results
· 32.3 Three week time limit added
· New version of European Championship Rules
Significant changes to the previous printed version (June 2009)
Rule references are to the new January 2011 rules (unless otherwise stated).
· 1.1 Definition of orienteering rewritten.
· 1.2 New definition for individual interval start races.
· 1.3 New definition for mass and chasing start races.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1.6 Reference to full membership of IOF removed (following removal of the associate membership category)
· 1.16 Definition of Event Adviser
· JWOC 3.6 The programme shall be kept within 7 days (previously 6).
· WOC 4.5 Applications must be received by 1st January (not 31st)
· WCup 4.6 Applications must be received by 1st January (not 31st)
· JWOC WMOC 4.7 Applications must be received by 1st January (not 31st)
· WMOC 5.9 5-year age classes are provided for all those who enter.
· WMOC 6.14 The organiser should allow non-competitive runs in the lowest final for those who did not start in one or more of the qualification races.
· WOC WCup JWOC 8.6 Extra point about quarantine zones for Bulletin 4.
· WMOC 9.15 New rule defining earliest closing date for entries.
· WOC 12.15 Long distance start interval changed to 3 minutes.
· WMOC 12.17 Requirement to run heats simultaneously has been removed.
· WOC 16.9 Relay winning times reduced.
· JWOC 16.10 Relay winning times reduced.
· 21.4 GPS data loggers with no display or audible feedback can be used.
· WOC 22.14 This rule now only applies to WOC (and World Games).
· WOC WCup JWOC 22.16 Definition of quarantine zones.
· 23.3 Reduced minimum finish width for interval start races.
· 26.2 (June 2009 version) Rule removed. Subsequent rules renumbered.
· 26.2 Clarification that seeking to obtain assistance is not permitted.
· 26.12 Split into two rules – one concerning safety and the other concerning fairness.
· Appendix 7 European Championships. Minor clarifications to wording.
· Appendix 8 Asian Championships. Limit of 10 women and 10 men in individual competitions.
국제오리엔티어링연맹 Foot-O 경기규정 2014 (번역본-김태선).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