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자천주(孔子穿珠)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孔 : 구멍 공(子/1)
子 : 아들 자(子/0)
穿 : 뚫을 천(穴/4)
珠 : 구슬 주(玉/6)
(유의어)
불치하문(不恥下問)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출전 : 목암선경(睦庵善卿)의 조정사원(祖庭事苑)
중국이 세계에 내세우는 유교의 시조, 학문의 전능인 공자(孔子)는 못하는 일이 없을까. 무례한 질문이지만 모든 방면에서 잘 하지는 못했을 테니 모르는 것을 물어보는 것에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불치하문(不恥下問)의 가르침을 남겼을 것이다.
이 가르침의 실제적인 예가 되는 것이 바로 이 성어다. 구슬을 뚫었다(穿珠)는 말은 구슬에 나 있는 여러 구멍을 잘 찾아 실을 꿴다는 뜻이다. 뚫을 천인 穿은 어려운 글자이지만 천공(穿孔), 천착(穿鑿) 등으로 제법 많이 쓰인다.
공자(孔子)는 모르는 것이 있으면 배우는 일이 중요하지 다른 조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나이나 신분, 귀천과 부귀는 더군다나 문제가 아니었다.
공자가 이전에 아는 사람에게 진귀한 구슬을 얻은 적이 있는데 여기에는 아홉 구비나 되는 구멍이 꼬불꼬불 나 있었다. 이 구슬에 실을 꿰어야 갖고 다니기 편할 텐데 아무리 좋은 머리로 생각을 짜내어도 꿰지 못했다.
진(陳)나라를 지나갈 때 일어난 일이다. 뽕밭에서 한 여인이 뽕잎을 따고 있었는데 이 여인은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민망함을 무릅쓰고 구슬 꿰는 방법을 물었다.
구슬을 살펴보던 아낙이 찬찬히 꿀을 가지고 생각해 보라고 하자 그제서야 공자가 깨달았다. 구슬의 구멍 한쪽에 꿀을 바르고 개미를 잡아 허리에 실을 묶고선 반대쪽 구멍으로 넣었다. 꿀 냄새를 맡은 개미가 그곳으로 기어 들어가더니 저쪽 구멍으로 나왔다. 실이 꿰진 것은 물론이다.
이 이야기는 송(宋)나라 목암선경(睦庵善卿)이 엮은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나온다.
최인호(崔仁浩) 작가의 유림(儒林)에도 재미있게 묘사돼 있다. 모든 일을 잘 할 수는 없다. 사소한 일도 없다. 한 가지 일에 매진(邁進)해서 그 방면의 전문가가 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사회에 나서는 젊은이들이 명심했으면 하는 말이다.
공자천주(孔子穿珠)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공자천주(孔子穿珠)란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이다.
공자가 아홉 구비 굽은 구슬에 실을 꿰지 못해 애쓰는 것을 보고 시골 여자가 개미 허리에 실을 매어 그 구멍으로 내보내니, 실을 제대로 꿰어졌다고 하는데서 유래하는 말이다.
공자는 항상 배우는 일에는 상하 귀천(貴賤)이 없다고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그리고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고 설파를 했다
공자천주(孔子穿珠)는 목암선경(睦庵善卿)이 편찬한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나오는 고사이다.
실제로 공자는 실을 세워 요리조리 돌려서 구불구불한 구멍 속으로 밀어 넣었지만 도저히 실이 꿰어지지 않았다. 제자들은 한결같이 스승이 쓸데없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 정도였다. 그런데 뜻하지 않은 곳에서 공자는 그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다.
공자가 진(陳)나라를 지날 때의 일이었으니 가장 고통스러운 시기였는데, 그 무렵 공자는 들판에서 포위되어 양식마저 떨어져 곤경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공자는 강송(講誦)도 하고 악기를 타며 노래하는 일을 그치지 않아 자로(子路)로부터 ‘군자도 곤경에 빠질 때가 있습니까.’ 하고 노골적인 비난도 받았다.
어느 날 공자는 근처에서 누에를 치기 위해서 뽕을 따는 아낙네를 만나게 되었다. 그 아낙네라면 실을 꿰는 방법을 알고 있을 것 같아 공자가 직접 나서서 아낙네에게 그 비결을 물었다.
그러자 아낙네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조용히 생각하십시오. 생각을 조용히 하십시오(密爾思之, 思之密爾).”
아낙네의 대답은 공자에게 있어 벽력(霹靂)과도 같은 것이었다. 공자는 즉시 강송(講誦)과 노래를 그치고 아낙네의 가르침대로 혼자서 조용히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그때 마침 공자의 눈 앞으로 개미떼의 모습이 보였다. 먹이를 운반하는 개미들의 모습을 조용히 생각하고, 또 생각을 조용히 하며 지켜보던 공자는 마침내 한 가지 방법을 깨달았다.
공자는 즉시 개미를 잡아다가 개미 허리에 실을 매었다. 그리고 개미를 구슬의 한쪽 구멍에 밀어 넣고 다른 출구 쪽 입구에 꿀을 발라 유인했다. 그러자 실을 매고 있던 개미가 꿀을 찾아 출구로 나옴으로써 실이 꿰어진 것이었다.
공자는 아낙네가 하였던 ‘조용히 생각하십시오(密爾思之)’라는 말 중 조용한 밀(密)에서 꿀밀(蜜)을 떠올렸으며, 개미를 본 순간 꿀을 연상함으로써 마침내 비결을 터득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유명한 고사는 그 상대가 어떤 신분이든 가리지 않고 스승으로 삼는 공자의 면학(勉學) 정신을 나타내는 장면으로 자주 인용되는 부분인데, 일찍이 ‘세 사람이 길을 가면 그 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 必有我師)’라고 말하였던 공자의 가르침과 일치하고 있음인 것이다.
그러나 뽕밭의 여인으로부터도 가르침을 얻은 공자의 이 태도보다 더 주목할 것은 구슬을 꿰는 천주(穿珠)의 비결을 통해 언젠가는 자신도 현명한 군주를 만나서 실이 꿰어진 보배가 될 것을 확신하는 공자의 집념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그러나 공자의 집념과 열정은 결국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자신을 상인을 기다리는 아름다운 옥(美玉)으로 비유했던 공자는 자신을 팔아 주는 상인을 만나지 못했으며 또한 자신을 아홉 개의 구멍을 가진 진귀한 구슬로 생각하고 있던 공자는 실을 꿰어 주는 군주를 만나지 못한 채 노(魯)나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공자는 실이 꿰어진 구슬을 자신의 부적(符籍)처럼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었는데, 아이로니컬한 것은 13년의 천하 주유가 아홉 개의 구멍에 실을 꿰어 주는 군주를 만나기 위한 순회였다면 노(魯)나라에 있어 공자의 말년기 6년은 아홉 개의 구멍에 학문과 사상을 실로 꿰는 대발분(大發奮)의 절정기였던 것이다.
공자천주(孔子穿珠)는 문자 그대로 공자가 구슬을 꿰다라는 뜻의 이 말은 그런 의미에서 정반대의 양면성을 지닌 야누스적 교훈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공자는 뽕잎을 따는 여인이 말하였던 ‘조용히 생각 하십시오. 생각을 조용히 하십시오.’라는 가르침에서 개미를 통해 실을 꿰는 비결뿐 아니라 말년기의 삶을 정리할 수 있었으니 묘비(墓碑)에 새겨진 위대한 완성자란 칭송은 공자의 그런 통찰력을 기리고 있음인 것이다.
만약 공자가 그 아낙에게 묻지 않았다면 구슬을 실로 꿰는 데 시간이 한참 더 걸렸겠지요. 공자가 지금까지도 성인으로 존경받는 이유에는 누구에게라도 배우기를 주저하지 않던 그런 겸손한 태도도 한몫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공자의 이 이야기로부터 어떤 사람에게라도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은 부끄러운 게 아니라는 뜻의 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이 나왔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보다 못한 사람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아낙의 지혜처럼 사람은 누구에게나 나름대로의 특기가 있다. 서로 무시하지 않고 남의 장점을 받아들이며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로 공자천주(孔子穿珠)의 교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孔(구멍 공)은 ❶회의문자로 어린 아이가(子) 젖통에서 젖을 빠는 모양(乚; 은)으로 젖이 나오는 구멍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孔자는 '구멍'이나 '비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孔자는 子(아들 자)자와 乚(숨을 은)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乚자는 뜻과는 관계없이 어미의 젖가슴을 표현하고 있다. 孔자의 금문을 보면 어린아이가 무언가에 머리를 맞대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아이가 어미의 젖을 빠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孔자는 본래 '젖가슴'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하지만 지금의 孔자는 주로 공자를 대표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孔(공)은 ①구멍, 굴 ②성(姓)의 하나 ③공자(孔子)의 약칭(略稱) ④동전(銅錢) ⑤새의 이름, 공작(孔雀) ⑥매우, 심히 ⑦비다, 공허(空虛)하다 ⑧깊다 ⑨크다, 성대(盛大)하다 ⑩아름답다 ⑪통(通)하다, 지나가다 ⑫허무(虛無)하다, 헛되다 ⑬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뫼 구덩이 광(壙), 구멍 혈(穴), 굴 굴(窟), 구멍 규(竅), 구멍 두(竇)이다. 용례로는 공자의 본명은 공구(孔丘), 공자를 성인으로서 일컫는 말을 공성(孔聖), 공자와 맹자를 공맹(孔孟), 공자와 노자를 공로(孔老), 몹시 밝음을 공명(孔明), 사람이 많이 다니는 큰길을 공로(孔路), 매우 급박함이나 몹시 지독함을 공극(孔劇), 구멍 무늬를 공문(孔文), 꽃밥의 정수리에 구멍이 생기어 꽃가루를 날리는 일을 공렬(孔裂), 구멍으로 사람 몸의 혈도를 공혈(孔穴), 털구멍을 모공(毛孔), 콧구멍을 비공(鼻孔), 눈구멍을 안공(眼孔), 눈동자로 눈알의 한가운데에 있는 빛이 들어가는 부분을 동공(瞳孔), 구멍을 뚫음을 천공(穿孔), 구멍이 많음을 다공(多孔), 몸안으로부터 몸 밖으로 땀을 내보내는 살갗에 있는 구멍을 한공(汗孔), 총알로 뚫린 구멍을 탄공(彈孔),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을 공자천주(孔子穿珠), 공자의 자리는 따스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한군데 오래 머무르지 않고 왔다갔다 함을 이르는 말을 공석불가난(孔席不暇暖), 공자의 문하에서 나온 열 사람의 뛰어난 제자를 이르는 말을 공문십철(孔門十哲), 묵자 집의 굴뚝엔 그을음이 낄 새가 없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을 공석묵돌(孔席墨突), 형제는 서로 사랑하여 의좋게 지내야 한다는 말을 공회형제(孔懷兄弟),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으을 이르는 말을 원공방목(圓孔方木), 백의 구멍과 천의 상처라는 뜻으로 갖가지 폐단으로 엉망이 된 상태를 이르는 말을 백공천창(百孔千瘡) 등에 쓰인다.
▶️ 子(아들 자)는 ❶상형문자로 어린 아이가 두 팔을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아들을 뜻한다. 지금의 子(자)라는 글자는 여러 가지 글자가 합쳐져 하나가 된 듯하다. 지지(地支)의 첫째인 子와 지지(地支)의 여섯째인 巳(사)와 자손의 뜻이나 사람의 신분이나 호칭 따위에 쓰인 子가 합침이다. 음(音)을 빌어 십이지(十二支)의 첫째 글자로 쓴다. ❷상형문자로 子자는 ‘아들’이나 ‘자식’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子자는 포대기에 싸여있는 아이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양팔과 머리만이 그려져 있다. 고대에는 子자가 ‘아이’나 ‘자식’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중국이 부계사회로 전환된 이후부터는 ‘남자아이’를 뜻하게 되었고 후에 ‘자식’이나 ‘사람’, ‘당신’과 같은 뜻이 파생되었다. 그래서 子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아이’나 ‘사람’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子(자)는 (1)아주 작은 것을 나타내는 접미어 (2)신문(新聞), 잡지(雜誌) 따위 간행물(刊行物)의 어느 난을 맡은 기자(記者)가 자칭(自稱)할 때 쓰는 말 (3)십이지(十二支)의 첫째 쥐를 상징함 (4)자방(子方) (5)자시(子時) (6)글체에서, 그대의 뜻으로 쓰이는 구투(舊套) (7)글체에서, 아들의 뜻으로 쓰이는 말 (8)민법상에 있어서는 적출자(嫡出子), 서자(庶子), 사생자, 양자(養子)의 통틀어 일컬음 (9)공자(孔子)의 높임말 (10)성도(聖道)를 전하는 사람이나 또는 일가(一家)의 학설을 세운 사람의 높임말, 또는 그 사람들이 자기의 학설을 말한 책 (11)자작(子爵) 등의 뜻으로 ①아들 ②자식(子息) ③첫째 지지(地支) ④남자(男子) ⑤사람 ⑥당신(當身) ⑦경칭(敬稱) ⑧스승 ⑨열매 ⑩이자(利子) ⑪작위(爵位)의 이름 ⑫접미사(接尾辭) ⑬어조사(語助辭) ⑭번식하다 ⑮양자로 삼다 ⑯어리다 ⑰사랑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여자 녀/여(女), 어머니 모(母), 아버지 부(父)이다. 용례로는 아들과 딸의 높임말을 자녀(子女), 며느리 또는 아들의 아내를 자부(子婦), 아들과 사위를 자서(子壻), 아들과 손자 또는 후손을 자손(子孫), 아들과 딸의 총칭을 자식(子息), 남의 아들의 높임말을 자제(子弟), 십이시의 첫째 시를 자시(子時), 밤 12시를 자정(子正), 새끼 고양이를 자묘(子猫), 다른 나라의 법률을 이어받거나 본떠서 만든 법률을 자법(子法), 모선에 딸린 배를 자선(子船), 융통성이 없고 임기응변할 줄 모르는 사람을 자막집중(子莫執中), 자애로운 어머니의 마음을 자모지심(子母之心), 듣고 본 것이 아주 좁고 고루한 사람을 일컫는 자성제인(子誠齊人), 자식은 아비를 위해 아비의 나쁜 것을 숨긴다는 자위부은(子爲父隱) 등에 쓰인다.
▶️ 穿(뚫을 천)은 회의문자로 穴(혈)과 牙(아)의 합자(合字)이다. 엄니로 구멍을 뚫음의 뜻이다. 그래서 穿(천)은 ①뚫다 ②꿰뚫다 ③뚫어지다 ④개통하다 ⑤통과하다 ⑥관통하다 ⑦실을 꿰다 ⑧신발을 신다 ⑨옷을 입다 ⑩구멍 ⑪묘혈(墓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뚫을 찬(鑽), 뚫을 착(鑿)이다. 용례로는 구멍을 뚫음 또는 학문을 깊이 연구함을 천착(穿鑿), 구멍을 뚫음 또는 위벽이나 복막 등에 상해 구멍이 남 또는 그 구멍을 천공(穿孔), 떨어진 옷을 꿰맴을 천결(穿結), 담을 뚫음을 천장(穿墻), 시체를 묻기 위하여 구덩이를 파는 일을 천광(穿壙), 나라 안을 꿰뚫고 지나감을 천국(穿國), 바늘에 실을 뀀을 천닌(穿紉), 길을 꿰뚫고 지나감을 천도(穿道), 땅을 팜 또는 그 구덩이를 천지(穿地), 옷을 입음을 천착(穿著), 옷을 뒤집어 입음을 반천(反穿), 꿰뚫는다는 뜻으로 학문에 널리 통함을 관천(貫穿), 구멍을 뚫는 일에 종사하는 장인을 천혈장(穿穴匠), 식물의 잎에 작은 구멍이 동그랗게 뚫리는 병을 천공병(穿孔病), 문장 속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이 달의 허리를 뚫는다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문장을 이르는 말을 사천월협(思穿月脅), 떨어지는 빗방울이 돌을 뚫다라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일지라도 적극적인 돌파구를 마련하면 해결되지 않는 일은 없다는 우수천석(雨垂穿石), 옷은 헤어지고 신발은 구멍이 났다는 뜻으로 빈천한 차림을 이르는 말을 의리폐천(衣履弊穿), 굳은 의지로 업을 바꾸지 않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철연미천(鐵硯未穿), 담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으로 재물이나 여자에게 탐심을 가지고 몰래 남의 집에 들어감을 이르는 말을 유장천혈(窬墻穿穴),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수적천석(水滴穿石),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을 공자천주(孔子穿珠) 등에 쓰인다.
▶️ 珠(구슬 주)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구슬옥변(玉=玉, 玊; 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朱(주)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珠자는 ‘구슬’이나 ‘진주’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珠자는 玉(구슬 옥)자와 朱(붉을 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朱(붉을 주)자는 ‘적심목(赤心木)’이라 부르는 나무를 뜻하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珠자는 둥근 형태의 보석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그래서 珠자는 진주(珍珠)나 구슬처럼 동그란 모양의 보석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珠(주)는 ①구슬 ②진주(眞珠) ③방울 ④붉은색 ⑤붉다 ⑥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구슬 원(瑗), 구슬 경(瓊), 구슬 선(璿), 구슬 옥(玉), 구슬 벽(璧)이다. 용례로는 구슬과 옥을 주옥(珠玉), 주판으로 하는 셈을 주산(珠算), 구슬과 같이 아름다운 꽃봉오리를 주뢰(珠蕾), 오리 형상으로 만든 구슬을 주부(珠鳧), 구슬을 박아서 만든 비녀를 주전(珠鈿), 구슬로 꾸민 비녀를 주잠(珠簪), 구슬을 달아서 꾸며 만든 채찍을 주편(珠鞭), 구슬과 옥 따위로 아름답게 꾸민 옷을 주복(珠服), 구슬처럼 떨어지는 눈물을 주루(珠淚), 구슬땀으로 구슬처럼 방울방울 맺힌 땀을 주한(珠汗), 구슬이나 구슬 모양의 물건을 꿰어 만든 발을 주렴(珠簾), 구슬을 꿰어 만든 갓끈을 주영(珠纓), 고운 빛이 나는 아름다운 구슬을 명주(明珠), 보배로운 구슬을 보주(寶珠), 염불할 때에 손으로 돌려 그 수효를 세는 기구를 염주(念珠), 이슬 방울을 노주(露珠), 좋은 구슬과 옥을 상주(上珠), 깨어진 구슬 조각을 쇄주(碎珠), 신기한 구슬을 신주(神珠), 구슬을 꿰어 맴을 철주(綴珠), 관이나 갓의 끈에 꿴 구슬을 영주(纓珠), 수를 셈하는데 쓰는 구슬을 산주(算珠), 물 속에 들어가 진주를 캐냄을 채주(採珠), 구슬처럼 흘러나오는 눈물 방울을 누주(淚珠), 구슬을 뀀 또는 꿴 구슬을 연주(聯珠),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을 공자천주(孔子穿珠), 수후의 구슬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수주탄작(隨珠彈雀),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 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미주신계(米珠薪桂), 보배로운 구슬을 어둠속에 던진다는 뜻으로 어떤 귀한 선물도 도리에 벗어난 방법으로 주면 도리어 원망을 삼을 명주암투(明珠闇投), 늙은 방합에서 구슬이 나온다는 뜻으로 총명한 아들을 둔 사람에게 그를 기려 축하하는 말을 노방생주(老蚌生珠), 큰 바다에 남아 있는 진주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현자나 명작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창해유주(滄海遺珠), 금을 산에 버리고 구슬을 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재물을 가벼이 보고 부귀를 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연금침주(捐金沈珠), 금과 은과 구슬과 옥이라는 뜻으로 온갖 귀한 보물을 이르는 말을 금은주옥(金銀珠玉)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