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원화 약세, 한·미 경제성장률 역전 때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로 경제성장률을 높이면 환율이 안정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의 원화 약세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이 아니라 경제성장률 역전 때문이라는 인식이다.
이택근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은
16일 '환율 안정은 한미 경제성장률 격차 축소가 해법이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시사했다.
지난 2022년 1월 대비 2025년 1월의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절하율은 17.9%로 집계됐는데,
이는 주요 선진국 15개 통화 중 일본 엔화(26.8%), 노르웨이 크로네화(22.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아울러 균형 환율을 추정한 결과 2024년 12월 균형환율은 1,351원으로
실제 12월 달러-원 평균환율 1,437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원화 가치가 약 6% 저평가된 셈이다.
균형 환율은 현재 경제 수준에서의 적정 통화 가치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실제 달러-원 환율이 균형 환율보다 높은 수준에 있어 환율이 향후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미중 무역갈등과 글로벌 관세전쟁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년간 균형 환율이 지속해서 상승한 점도
장기적으로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그럴 경우 1,400원대 환율의 장기화 가능성도 있다"고 부연했다.
최근 원화 약세 요인을 살펴보면,
미국 측 요인으로는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감속 우려 등을,
국내 측 요인으로는 한국 정치 불확실성 등을 꼽았다.
특히 한국과 미국의 성장률 차이에 주목했다.
"무엇보다도 내수 침체로 미국보다 한국 성장률이 3년 연속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환율 결정의 가장 핵심 요인인 양국 간 펀더멘털 격차가 원화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 한미 금리 역전이 아니라
한미 성장률 역전 때문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하를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성장률을 높여 환율을 안정시키는 방향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며
"근본적으로 한국경제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여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는 것이
외환시장 안정의 해법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정정책의 경기부양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필요하다"며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방향성이 하강에서 상승으로 전환될 경우,
성장률이 높아지고 외환시장도 점차 안정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고 부연했다.
첫댓글 환율 결정의 가장 핵심 요인인
양국 간 펀더멘털 격차가 원화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 한미 금리 역전이 아니라
한미 성장률 역전 때문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