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1편<구지(九地)>
손자병법 13편 중에 가장 긴 구지(九地)편은 한자(漢字)로 1,000자 정도의 긴 분량이다.
제목에서 이르듯이 아홉 가지 지형을 분석하고,
그러한 지형에서의 공격과 방어 전술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데,
간략하게 요약하여 정의(定意)만 내릴 정도로 소개한다.
1. 산지(散地)
흩어져 도망가기 쉬운 지역을 말한다.
제후가 자신의 땅에서 적과 전쟁하는 곳을 '산지'라고 한다.
아군의 입장에서는 가장 유리한 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2. 경지(輕地)
쉽게 퇴각할 수 있는 지역,
적군의 땅에 들어갔으나 깊지 않은 곳을 일컫는다.
3. 쟁지(箏地)
적군과 아군이 싸우고 있는 땅,
아군이 점거해도 유리하고 적군이 점거해도 유리한 곳을 말한다.
4. 교지(交地)
사방이 만나는 지역,
아군이 갈 수 있고 적군도 올 수 있는 곳을 말한다.
5. 구지(衢地)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지역,
제후국의 땅이 세 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서
먼저 이르는 쪽이 천하의 백성을 얻을 수 있는 땅을 말한다.
6. 중지(重地)
군대의 보급, 병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땅,
적의 영토 깊숙이 들어가서 많은 성(城)과 읍(邑)을 등지고 있는 곳을 말한다.
7. 비지(圮地)
움푹 꺼진 땅,
험준한 곳, 늪지 등이 있어 행군하기 어려운 지역을 일컬음.
8. 위지(圍地)
사방이 포위되기 쉬운 땅,
진입하는 길은 좁고 돌아 나오는 길은 멀어
소수 병력의 적군이 다수 병력의 아군을 공격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9. 사지(死地)
죽을 수밖에 없는 꽉 막힌 땅,
빨리 싸우고 나오면 생존할 수 있으나, 빨리 싸우지 못하면 멸망하는 곳을 일컫는다.
손자는
전략, 전술을 펼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지형에 대한 숙지라고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을 잘 알고 있는 길잡이를 이용해 지형의 모든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적에게 승리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다.
또한,
손자는
한편으로는
미시적인 전쟁을 지양하고
천하를 두루 안 다음에 승부를 낼 수 있다고 항상 주창하고 있다.
*衢(구); 네거리, 사통팔달
*圮(비); 무너지다, 내려앉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