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 악 (惡) : 악할 악, 미워할 오, 나쁠 악, 어찌 오.
(ㄱ) 왈 부순 오득이금지 부유소수지야 (曰 夫舜 惡得而禁之 夫有所受之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 “순(舜)임금이 어떻게 금지할 수 있겠는가?
전수받은 바가 있는 것이다.”
☞ 오(惡)는 ‘어찌’ 로 해석하는 의문사(疑問詞)이다.
(ㄴ) 거오재 인시야 로오재 의시야 (居惡在 仁是也 路惡在 義是也):
‘거(居)하는 것은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인(仁)이 이것이요,
길은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의(義)가 이것이다.
☞ 오(惡)는 ‘어디’ 로 해석하는 의문사(疑問詞)이다.
(ㄷ) 자왈 중 호지 필찰언 중 오지 필찰언 (子曰 衆 好之 必察焉 衆 惡之 必察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사람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고
여러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 오(惡)는 ‘미워하더라도’ 로 해석하는 동사(動詞)이다.
(ㄹ) 장자왈 일일불념선 제악 개자기 (莊子曰 一日不念善 諸惡 皆自起):
장자가 말하였다. “하루라도 선(善)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惡)이 저절로 일어난다.”
☞ 악(惡)은 ‘악’ 으로 해석하는 명사(名詞)이다.
(ㅁ) 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인(仁)에 뜻을 두면 악(惡)이 없다.”
☞ 악(惡)은 ‘악’ 으로 해석하는 명사(名詞)이다.
첫댓글 알기 쉬운 二千字文 文法
158. 악 (惡):악할 악. 미워할 오. 나쁠 역. 어찌 오.
惡(오)는 '어찌' '어디' '미워 하더라도'로 해석 하는 疑問詞이다.
惡(악)은 '악'으로 해석 하는 名詞이다.
感謝드리면서 잘 배웁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惡=>악할 악, 미워할 오, 나쁠 역, 어찌 오, 字는
疑問詞와 動詞로 그리고 名詞로도 쓰임을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악(惡) : 악할 악, 미워할 오, 나쁠 악, 어찌 오, 에 대한
해석하는 명사(名詞)와 동사(動詞),
그리고 의문사(疑問詞)를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惡이란 한자만 봐도
항상 무섭습니다.
하루라도 善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惡이 저절로 일어 난다 하시니
사람의 마음속에는 언제나
善과惡이 같이 존재하나 봅니다.
가장 위대한 것이 사람이면서
가장 악한 것이 사람이라는 말씀이시겠지요?
그래서 악하지 않은 환경과
끊임없이 마음을 다듬는 공부
꼭 선생님의 가르침이
필요한 것인가 봅니다.
감사히 공부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고맙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感謝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오(惡)는 ‘어찌’로 해석하는 의문사(疑問詞)이다
오(惡)는 ‘어디’로 해석하는 의문사(疑問詞)이다
오(惡)는 ‘미워하더라도’로 해석하는 동사(動詞)이다
오(惡)는 ‘악’으로 해석하는 명사(名詞)이다
오(惡): 악할 악, 미워할 오, 나쁠 역, 어찌 오, 字의 여러 가지 쓰임을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