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성산(星山)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성주(星州)의 옛 지명이다. 6가야연합국의 하나인 성산가야국(星山伽倻國)의 영토였다. 6세기 무렵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하여 성산군(星山郡)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하였다가 980년(경종 6)에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하여 개칭되었다. 995년(성종 14) 대주(岱州)로 바뀌어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에 와서는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를 두어 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경산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성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이후 1616년(광해군 9)에는 신안군으로, 1631년(인조 1)에는 신안현으로 개칭되어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관할면이 성주·벽진면 등 9개면으로 폐합되었고, 1979년에 성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성씨의 역사
배씨(裵氏)의 도시조(都始祖)는 지타(祗沱)로 신라의 전신인 사로(斯盧)의 6촌 중에 금산가촌(金山加利村)의 촌장으로 다른 5부 촌장들과 함께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한 공으로 개국공신이 되었으며 총재태사(冢宰太師)에 올랐다. 32년(유리왕 9)에 금산가리촌이 한지부(漢祗部)로 개칭되었고 배씨를 사성(賜姓)받게 되면서 배씨의 시원이 되었다.
성산배씨(星山裵氏) 시조 배위준(裵位俊)은 도시조 지타(祗沱)의 후손이자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으로 고려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 그의 현손 배인경(裵仁敬)이 충선왕 때 추밀원사(樞密院事)를 지낸 후 충숙왕 때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성산의 옛 지명)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고 성산(星山: 성주)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분적종 및 분파
1764년(영조 40)에 편찬된 《갑신합보(甲申合譜)》에는 배현경(裵玄慶)의 현손인 배사혁(裵斯革)의 둘째 아들 배천룡(裵天龍)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지만 계대(繼代)의 내력이 자세하지 않기 때문에 배위준(裵位俊)를 시조로 계대(繼代)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이론이 지배적이다.
성산배씨는 경주배씨(慶州裵氏)에서 분적한 성씨이다.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화당공파(花堂公派), 안렴공파(按廉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재신공파(宰臣公派)로 나뉘어졌다.
주요 세거지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죽대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송촌리
셩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함경남도 영흥군 억기면 양중리
함경남도 영흥군 억기면 양하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성산배씨는 11,293가구 총 36,164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